• 제목/요약/키워드: 공사비분류체계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1초

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Space Cost Breakdown Structure(CBS)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 현창택;구교진;연희정;문현석;조규만;홍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78-187
    • /
    • 2007
  • 최근 정부의 주택보급정책 강화에 따라 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건축공사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아파트 공사비내역 구성은 공종별 분류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공공아파트의 건축공사비를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아파트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좀 더 합리적인 공사비 예측을 위해, 델파이분석(Delphi)기법을 이용하여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는 공공아파트의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부문, 주택외부문, 가산부문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부문을 공간별 해당 부위와 각 세부공종으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구축된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에 공공아파트 공사비 내역서를 분석하여 공간별 분류체계의 실용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공동주택에 대한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 -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lemental Costs for an Apartment Building)

  • 강현욱;유종환;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적용하여 사례대상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를 산정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적공사비제도, 표준품셈제도, 공사비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현행 공동주택 공사비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H사가 시행한 공동주택 사례를 선정하여 부위별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하도급 업체와 거래한 실행단가를 분류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 분류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의 부위별 분류 체계를 정립하였고, 둘째, 부위별 분류 체계에 따른 공사비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 for WBS-based cost)

  • 윤회수;문진석;김성진;한충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30-1432
    • /
    • 2011
  • 공사비정보와 일정정보는 사업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들이 연계활용되어야 공정공사비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정은 공사비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관리됨에 따라 설계사에서 작성되어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갖고 있던 수량정보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정보들을 상실하고 시공사에서는 다시 물량분개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사업을 대상으로 작업분류체계(WBS)를 그 연계방안으로 제시하고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통해 설계사에서 작성된 정보를 시공사에서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는 이러한 작업분류체계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검토, 지원도구 활용 공사비 작성, 시험적용을 통한 지원도구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역정보와 공정정보의 연계가 실현되고,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토목공사용 정보분류 코드체계의 개발 (Project Informations Classification System for Civil Works)

  • 이배호;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97-905
    • /
    • 1994
  • 건설공사 정보분류체계는 공사관리기법의 적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공사의 단계별 발생정보를 네트워크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고, 효과적인 원가관리로서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사관리기법에 적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건설공사 정보분류체계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며, 연구내용은 크게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된다: (i) 토목공사 전체를 시설요소, 구조요소, 공사요소의 3단계로 분류하여 코드화한 공사분할체계의 개발, (ii) 적산과 공정 관리등에 관련되는 기타정보들을 포함한 통합 정보체계의 구축, (iii) 전산적용시 입력자료로 활용가능한 연관 데이타베이스의 구축. 본 연구결과 제안된 정보분류체계는 실무설계내역서 등과의 검증결과 공사의 각 단계별로 발생되는 정보들의 체계적이고 표준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로건설공사 공사비·공사기간 증감요인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Factors Classification Associated with Cost and Schedule Variations in Road Construction Projects)

  • 문준부;이주희;백승원;이강욱;윤성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21-830
    • /
    • 2023
  • 건설공사의 공사비 초과 및 공기 지연에 대한 원인 파악을 위해 공사비·공사기간 변동 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동 요인들은 관련 지침, 관련 연구, 시설물별로 매우 다양하여 표준화된 정보 수집 분석·관리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업의 계획 및 진행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 도로건설공사 공사비·공사기간 증감요인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고찰을 통해 공사비·공사기간 증감요인을 도출 및 그룹핑한 후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또한 관련 지침 요인들과 연계성을 확인하고 실제 도로건설공사 사례를 적용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 도로건설공사 공사비·공사기간 증감요인 분류체계는 관련 지침 및 연구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증감요인을 더 명확히 구분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무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의 실무적용 효율화 방안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for Practical Application)

  • 이우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00-503
    • /
    • 2003
  • 현재, 국내 건설업에서 공정과 공사비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EVMS)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일정규모 이상의 대형건설공사에 적용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EVNS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공사분류체계(WBS)를 연계하는 방법론을 제안하고 있으며, 또한 실무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방법론 기초한 웹기반 공정${\cdot}$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의 시안을 구축하였다.

  • PDF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분류와 보할의 분석 (Analysis of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Cost-Rate for Small Interior Works in Apartment)

  • 김채용;이종규;이재용;이수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219
    • /
    • 2010
  • 본 연구는 부산에 있는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 6가지 평형의 실적자료 200개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공사와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분류체계를 비교하고, 일반적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공종별 공사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비는 1,000~1,500만원 범위인 79.2M2(24PY)과 105.6M2(32PY)에 대해서 주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2가지 평형에 대한 자재비, 노무비에 대한 심층적인 원가분석이 필요하다. (2) 아파트 소규모 인테리어공사는 일반적인 건축공사의 분류체계와 다르게 마감공사가 주로 진행되므로 건축공사표준시방서의 22개의 대분류와는 다른 9개의 분류체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3) 소규모 인테리어공사의 각각의 평형별 평균공사금액과 공종보할을 검토한 결과, 24평형(24PY)의 평균공사금액은 약 1,050만원이고 공종별 보할은 금속공사 12.8%, 수장공사 17.8%, 화장실공사 19.7%로 분석되었으며, 싱크 가구공사가 22.1%로 가장 높은 보할을 나타내었다. 또한, 32평형의 평균공사금액은 약 1,250만원이며, 공종별 공사보할은 수장공사가 2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8평형이상에서는 수장공사의 공종보할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동주택의 공사정보분류체계를 활용한 적산 자동화 개념 모형 개발 (A Conceptual Model for Automated Cost Estimating Using Work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 Lee, Yang Kyu;Park, Hong 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5-24
    • /
    • 2014
  • 본 연구는 설계 과정의 분해, 시공 과정의 조립, 공사비 적산 등 공사의 계획과 관리에 걸친 모든 공사 관리의 업무를 체계화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공사정보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 공사정보분류체계를 작업순서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Data Base)로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근거로 적산 자동화 시스템 개념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적산 자동화 시스템 개념 모형은 기존 적산 시스템들의 근본적인 문제점이었던 부적절함을 해소하여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과학적인 적산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토목공사 정보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s For Civil Construction)

  • 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02-111
    • /
    • 2003
  • 최근 건설업은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에서부터 해체에 이르기까지 프로젝트 전 과정에서 생성되고 사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한 일관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각 기관마다 정보분류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하여 정보의 재생산 및 교환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고 있다. 이러한 비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체계적이고 통일된 건설정보분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여 그 동안 국내외에서 건설정보분류체계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대부분이 건축공사를 위주로 진행되어 토목공사를 위한 정보분류체계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건설교통부에서 국내 건설정보분류체계를 정비하고 외국의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토목 건축 모두 활용가능 한 건설정보 표준분류체계를 공시하였으나 분류체계 자체의 논리성 및 현업활용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표준으로서의 표준분류체계를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분류체계의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분류체계가 갖추어야 할 논리성 및 요구조건에 따라 외국의 대표적인 분류체계인 Uniclass 및 Uniformat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시각화 지표 및 좌표식 정보분류체계에 의한 공정.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by Using Visualization Index and WBS Map)

  • 이우식;강인석;박서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6-35
    • /
    • 2009
  • 건설공사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시스템(EVM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에서 대부분의 정보들은 공사정보 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를 중심으로 활용된다. 즉, 공정편차와 비용편차 등의 EVM 성과정보 역시 WBS에서 선택된 공종을 중심으로 결과물이 분석되므로, EVMS에서 WBS는 정보중심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WBS 정보가 4상한의 좌표방식으로 표현되어 프로젝트의 대 중 소 공종이 용이하게 표현될 수 있는 좌표식 공사정보분류체계(WBS Map) 표현기법을 구축하였다. 또한 연구에서는 WBS Map에 근거한 EVMS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EVMS에서는 각종 속성 지표값들을 색상기호 등으로 시각화하는 방법론을 구축하여 EVMS 정보의 실무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