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에 대한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 -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lemental Costs for an Apartment Building

  • 강현욱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
  • 유종환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
  • 김용수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 발행 : 2007.04.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적용하여 사례대상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를 산정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적공사비제도, 표준품셈제도, 공사비지수에 대해 고찰하고, 현행 공동주택 공사비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례 H사가 시행한 공동주택 사례를 선정하여 부위별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하도급 업체와 거래한 실행단가를 분류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부위별 공사비 분류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으로 연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의 부위별 분류 체계를 정립하였고, 둘째, 부위별 분류 체계에 따른 공사비 분류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elemental costs of an apartment building. The adapted research method includes a case study from $^{\circ}{\AE}H^{\circ}{\phi}$ construction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n elemental cost format of an apartment building is proposed, 2) An elemental cost table based on a case study of $^{\circ}{\AE}H^{\circ}{\phi}$ construction company is sugges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공사비 예측 모델에 관한 연 구', 고려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5
  2. 김선국, '공동주택 사업비 산정을 위한 표준DB 연구', 경희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3
  3.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 공사비 분석자료. 2005
  4. 이상호, '실적공사비제도 시행에 따른 건설업계의 대응방안',. 한국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2000
  5. 임병록, '아파트 개산 견적 프로그램', 쌍용 기술연구소. 2005
  6. 전재열, '실적공사비에 의한 적정 건축공사비 산정 방안', 단국 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1
  7. 최석인, '실적공사비 제도의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선설산업연구원. 2004
  8. 최인성, '실적공사비 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명지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5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실적공사비, 표준품셈, 공사비 지수', 2006년 상반기 실적 공사비 적용 공종 및 단가
  10. 신종현, 공동주택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체공사의 최적화공사계획에 관한 연구, 1995
  11. Roleans Australian Construction Hand book
  12. Means Facilities Construction Cost data book, 2005
  13. 이찬식,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적정 공사계획 시스템', 인천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