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공 PMO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ffect of Public PMO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공공 PMO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HYUNG-CHUNG, BACK;JA-HEE, KI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467-474
    • /
    • 2023
  • After the revision of the Software Promotion Ac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ith little experience in e-government projects began to participate in public projec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public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in July 2013 to reduce the risks and secure the quality of informatization business, and the public PMO is still spreading. However, the public PMO service currently experiences sluggish business, such as low-priced orders, due to cut-throat competition, and thus needs improvement plans. In this research, we establish a research model for quality factors of public PMO services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plans, measure and evaluate quality factors based on the model, and then analyze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that, we measure quality factors using the SERVPERF model for those who have used public PMO services,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research model, and empirically analyze and evaluate the impact of quality factors. Lastly, we suggest improvement plan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MO servic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dapt PMO in Public Sectors (공공부문 PMO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uh, Bai-Sun;Hwang, Gee-Hyun;Kim, Sung-K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5
    • /
    • pp.159-169
    • /
    • 2014
  • The purpose of PMO (Project Management Office) systems implementation in public sectors is to prevent the potential risks of IT projects with the project management for the electronic governmen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As a leading country in software areas, PMO system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lead the best smart electronic government in the global world. This study suggested an operating model of PMO systems in public sectors in advance to use the PMO systems in public sectors by conducting a research investigating the key organizational role as the major factor which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We tested a hypothesis that Effort Expectancy factors and Facilitating Condition among the interested party groups will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and the result have given no difference to the Control Effect among the interested party groups.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interested party groups have common recognition about the Behavioral Intention of PMO systems implementation in the public sectors.

Main features of PMO to support Public Information Projects (공공정보화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PMO 주요 기능에 관한 연구)

  • Kim, JooHa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557-560
    • /
    • 2015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성공적인 완료를 위하여 지원, 감독, 통제 등의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PMO의 도입으로 인한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대한 연구는 이미 해외에서는 여러 차례 보고 되었고, 최근 정부에서도 전자정부법을 개정하여 공공정보화 사업에 대한 안정적인 PMO 제도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공공정보화 프로젝트 지원에 필요한 PMO 8개 카테고리, 33개 주요 기능을 2000년 이전과 2000년 이후로 구분하여 각 기능에 대한 증가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더 효과적인 PMO 제도의 안착을 기대한다.

Research of the Comparison Between Standardized Project Management Process and the related Legal Processes applying for PMO in Public (공공 정보화 부문 PMO제도 도입에 따른 관련 법제도와 표준화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적합성 비교 연구)

  • Park, HeonJoo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921-924
    • /
    • 2013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해당 영역의 프로젝트를 조정된 중앙 통제 방식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책임을 배정받은 조직, 부서나 주체를 말하며, 프로젝트 관리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일부터 직접적인 프로젝트 관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책임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MO 제도 도입에 따른 성공적인 공공 정보화 사업 완수를 위해 우리나라 PMO 관련 현 법제도 현황을 선행 연구자들에 따른 PMO 기능 분석 종합 자료와 미국의 표준화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인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관리 지식 영역 프로세스를 적용해 우리나라 현 법제도의 적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공공 정보화 사업에서 PMO 제도를 도입함에 있어 우리나라 현 법제도가 공공 정보화 사업의 품질을 높이는데 보완되어야 할 영역들이 요구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공공 정보화 사업의 PMO 제도 도입 시 법적 제도화와 전문성을 제고하여 성공적인 사업 수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한다.

Stakeholder's Valuation of Public PMO System Using Laddering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공공 PMO)제도의 이해관계자 별 가치체계)

  • Back, Hyung-Chung;Park, Chan-Hyuk;Jang, Seong-Yong;Kim, Ja-H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4 no.4
    • /
    • pp.127-136
    • /
    • 2015
  • The e-government project management consignment system to allow the public PMO has been introduced to resolve the quality management issue and the business risk, pointed out by the reorganized Software Industry Promotion Act. The additional regulation improvements are demanded because the public PMO system cannot settle down due to the different opinions among related parties: owner, operator and PMO. Therefore, to make balanced regulation improvements, the in-depth studies are necessary to analyze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related parties. This study analyses the each related party's cognitive structure to perform public PMO successfully and the fundamental reasons that cause the different opinions by applying the cognitive psychological Means-end chain theory, the laddering technique and the HVM, Hierarchical Value Map. In addition, this study analyses the regulations required for the related parties to obtain the expected benefits.

Issues on Project Management Offices for the IT-enabled Projects in Public Sector (공공부문 정보화사업 PMO 도입의 과제)

  • KWON, Ho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1264-126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PMO도입을 위한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공부문 정보화사업 추진현황과 공생발전형 SW생태계 구축전략에 대하여 살펴보고, 효과적인 PMO도입의 선결과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A Study on PMO for Betterment of Project Success (프로젝트 성공 촉진을 위한 프로젝트관리조직(PMO)에 관한 연구)

  • Kim, TaeWoo;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25-1428
    • /
    • 2012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조직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PMO 도입으로 인한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PMO운영을 통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에서는 공공기관 PMO제도 의무화를 발표하였고, 국내 IT 기업들은 PMO도입을 고려하는 등 PMO제도 정착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PMO 초기화 단계로 어떤 기능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조직에서 PMO가 어떤 가치를 줄수 있는지는 정의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전문가 집단 인터뷰를 바탕으로 국내 PMO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PMO 조직이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통합 관리 부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Adapting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to EA-based national informatization (EA 기반의 국가정보화 PMO제도 적용·활용 방안 연구)

  • Lee, Jae-Du;Kang, Sun-Mu;Kim, T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97-600
    • /
    • 2009
  • 최근의 정보화환경을 반영한 정보화 관리방법과 도구의 통합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제는 기존 프로젝트관리 방식만으로는 다원화된 업무,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EA, PMO 등 보다 발전된 방법들을 도입하고 활용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공공부문 정보화추진에 유용한 개념과 도구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공공부분 정보화 정책 환경이 변했지만 아직 현실에 맞게 그러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변화에 맞게 적절한 수단과 방법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키지 못하면 기대한 효과를 거두기도 어렵다. 이제는 CIO 등 정보화를 추진하는 여러 주체가 범정부 EA, IT거버넌스, IT아웃소싱, 각종 지침과 기준 등을 통해 업무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EA기반의 PMO제도 적용 활용을 위해 방법론 및 도구의 통합적 활용이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 연구결과, 정책, 사업에 대한 문헌연구 및 분석 등을 통해 함의를 도출한다. 결과는 공공부문 정보화 추진 시 생산성 제고를 위한 참조 및 연관되는 유사 IT정책을 추진할 때 방향 정렬(Alignment)에 필요한 시사점 제공과 선행연구로서 의미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An Effect on the Projec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by PMO Service (PMO 서비스가 프로젝트 및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Seong-Mong;Kim, Hyunsoo;Kim, Eun-Ho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2 no.2
    • /
    • pp.53-79
    • /
    • 2012
  • According to Electronic Times(2012. 1. 3), "PMO was introduced from 1950s in the USA and as of 2010, PMO participated in 84% of project ordered by public and private sector." And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nounced that the Ministry will organize Task Force for arranging "standard for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PMO" for support of project implementation and strengthening specialty of ordering organization, and then, actively launch the Task Force from February, 2012. Thus, necessity of PMO is regarded as natural in some aspect but thesis for doctoral degree written by Kim Gi-yeong(2007) suggested, "performance of several projects begun at the same time cannot be interpreted as high according to whether PMO team exists or not." Martin et al.(2005) asserted, "according to whether PMO team exists or no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factor." In the contradictory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more various approaches for performance and necessity of PMO in the academic aspect.

  • PDF

A Priority Analysis on Influential Factors for Invigorating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in Public Sectors based o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계층분석과정을 이용한 공공분야 PMO 제도 활성화요인 우선순위 분석)

  • Back, Hyungchung;Kang, Pil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37 no.4
    • /
    • pp.42-53
    • /
    • 2014
  • This study identifies influential factors for invigorating the public management office (PMO) system for system integration (SI) projects in public sectors and analyzes the priority of each factor from the point of different stakeholders, i.e., owners, SI company, and PMO.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first-level influential factors are identified: legal system maintenance, owner's capability, SI company's capability, and PMO's capability. Among them, the PMO's capability is determin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by all the stakeholders. Among the second-level influential factors, the capabilities of professional engineers and project manager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among the PMO's capability, whereas the reasonable consulting fee is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the legal system maintenance. With respect to each stakeholder,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owners, while the reasonable consulting fee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P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