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주파 진동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High Frequency Vibration Analysis of Arrayed Panel Structures by Using the Ray Tracing Method (레이 추적 기법을 이용한 연결된 평판 구조물의 고주파수 진동해석)

  • 채기상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303-30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수 대역의 진동 전달 현상을 묘사할 수 있는 원형파를 기본 개념으로 한 레이 추적기법(RTM)을 개발하였다. 2차원 원형파를 묘사할 수 있는 레이튜브 개념을 제안하고, 진동 연성경계에서의 입사파, 전달파, 그리고 반사파가 경계조건을 만족하도록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평판 연속 구조물이 고주파수 진동 전달 해석에 적용하여 보았으며, 유사 해석 기법인 SEA 및 파동 인텐시티해석법(WIA)과의 비교를 수행하여 보았다. 그 결과, SEA에 비하여 이론해와 더 잘 맞는 예측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WIA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RTM은 진동전도해석(VCA)과 같이 지역적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으며, 2차원 진동구조물의 고주파수 진동 전달 해석시 기존이 SEA 및 WIA를 대체할 수 있는 기법으로 판단된다.

  • PDF

Modeling the Occurence of High-frequency Reignition Oscillation by Closing the Vacuum Circuit Braker on the Electric Railway Vehicle (전기철도차량용 진공차단기의 투입에 따른 고주파 재발호 진동발생 모의분석)

  • Jeong, Ki-Seok;Jang, Uk-Dong;Chung, Jong-D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93-159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진공 차단기의 투입 시 발생하는 고주파 재발호 진동현상을 모의하여 계통의 전압-주파수 특성을 분석한다. 우선 시간영역에서 차단기 투입에 따른 개폐 서지 현상을 모의하여 다중 재발호에 의한 진행파의 주파수 특성을 검토한다. 모의 결과를 통해 추정된 고주파 회로저항과 기존 전원, 고압케이블, 변압기로 구성된 고주파 재발호 진동해석용 등가 회로를 구현하고 주파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계통의 임피던스 크기변화를 확인한다. 끝으로,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도출된 계통의 공진 주파수와 철도차량용 주 변압기의 공진주파수를 비교하여 내부 공진 여부에 따른 권선간 전압 확대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 PDF

Transmission of Vibration Energy in Box-like Structures (격자형 구조물내의 진동에너지 전파)

  • 김현실;강현주;김재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26-13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굽힘파(bending wave)의 전달만 고려하였는데 실제로는 보 및 비틀림 모드도 존재하나 고주파수 대역에서는 굽힘모드가 지배적이며 소음의 발생도 굽힘모드에 의해 주로 발생하므로 보 및 비틀림모드의 생략이 큰 오차를 가져오지는 않는다. 테스트 모델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구조물의 고주파수 진동소음 해석방법으로 널리 쓰이는 통계적 에너지 해석법(SEA)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유도전동기의 자기적 소음에 대한 고찰

  • 황영문
    • 전기의세계
    • /
    • v.25 no.2
    • /
    • pp.40-45
    • /
    • 1976
  • 유도전동기의 고주파진동토오크의 산정법에 대하여는 Morrill, Chang, Puchstein Kimball 및 Veinott씨 등에 의한 불평형공간자속분포의 대칭좌표법 또는 2회전자계법해석으로 많은 연구가 거듭되어 기계정수가 고주파토오크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풀이하고 있다. 또한 Jordan과 Lax씨에 의하여 편심 및 기계적진동에 따른 전자력파의 분포력 mode수 및 그 주파수를 개발함으로서 소음방지대책에 많은 진전을 보았다. 소음진동측정방법으로는 원래 진동측정이 정밀한 장치에 의존하여야 하며 그 방법 또한 어려운 점이 많아 method of 1-point measurement of electromagnetic-force waves로 처리되어 왔으나 요즈음에는 anechoic chamber와 같은 장치에서의 특별한 조작에 의하여 method of resultant measurement of accoustic noise powers에 의하여 보다 합리적인 소음측정 및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Filters for Eliminating High-Frequency Noise in Accelerometer Measurements (가속도 측정에 있어 고주파 잡음 제거를 위한 기계적 필터의 재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i, Won-Yeong;Yoo, Seong-Yeol;Cha, Ki-Up;Kim, Sung-Soo;Noh, Myoung-Gy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7
    • /
    • pp.773-778
    • /
    • 2011
  • Accelerometers are widely used to measure the lateral vibrations of pipe-like structures such as a gun tube under impulse loads. Stress waves that precede the lateral vibrations due to the explosion within a gun contribute little to the vibrations, but saturate the accelerometer input. A mechanical filter eliminates this high-frequency stress wave and only transmit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vibrations. The mechanical filter consists of a mechanical structure for mounting the accelerometers and a damping material. The low-pass filter characteristics are determined from the equivalent damping and stiffness property of this damping material. In this paper, we tested nine commercially available damping materials for their vibration characteristics by using a test rig. We also observed the change i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while compressing the material.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mechanical filter and verified its filtering performance.

Experimental Study on the Power Flow Analysis of Vibration of a Plate (평판 진동 해석에 대한 파워흐름해석법의 실험적 연구)

  • Lee Byoung-Chul;Kil Hyun-Gwon;Lee Hyo-Haeng;Lee Yong-Hyun;Hong Suk-Y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27-330
    • /
    • 2004
  • 파워흐름해석법은 진동에너지 흐름 형태에 따른 에너지지배방정식을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진동에너지의 공간적인 분포와 전달 경로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파워흐름해석법은 고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 서는 평판 구조물 진동에 대한 파워흐름해석법의 예측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할 진동 특성들은 손실계수, 주파수 응답함수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파워흐름해석법이 고주파수 진동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Waterborne Noise Prediction of the Reinforced Cylinderical Shell Using the SEA Technique (SEA 기법을 이용한 보강 원통형 셀의 수중방사소음 해석)

  • 배수룡;전재진;이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107-112
    • /
    • 1992
  • 선박 내부에 탑재된 추진 기계류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마운트 Deck을 통하 여 선체에 전달되어 수중으로 전파된다. 기계류에 의해 발생되는 수중방사소 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선체로 전달된 진동수준 및 수중방사소음 예측이 우선 중요하다. 수중방사소음 예측 방법으로 FEM과 BEM에 의한 저주파수 대역 예측, 전달함수에 의한 실험적 예측, SEA(Statistical Energy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고주파수 대역 예측으로 나눌 수 있다. R.H.Lyon 등에 의해 발전된 SEA 기법은 항공기, 선박등 복잡한 구조물의 고주파수 대역 진동해 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SEA 기법의 선박에 대한 적용은 소형선박의 기계 류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선체 진동수준 및 수중방사소음 해석 등에 적 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강 원통형 셀 모델에 대한 수중방사소음을 SEA 기법을 이용하여 예측하고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High Frequency Vibration Analysis of Single Curved Beam Using the Ray Tracing Method (레이 추적 기법을 이용한 단일 곡보의 고주파수 진동 해석)

  • 정철호;이정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1a
    • /
    • pp.90-95
    • /
    • 2001
  • 현재까지 고주파수 진동해석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통계적 에너지 해석법 (SEA)이다. 그러나 SEA는 많은 가정을 사용하고 있고 시간 및 공간 평균된 에너지 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결과에서 알아낼 수 있는 정보가 제한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진동 전도 해석법(VCA)이나 파동 인텐시티기법 (WIA)등이 제안되었고, 기하음향학의 한 방법인 레이 추적 기법 (RTM)도 구조음향학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오일러-베르누이 보 이론에 근거한 고정단-자유단 경계조건을 가지는 단일 곡보의 진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예제를 통한 해석 결과, 주파수가 높을수록, 또 감쇠가 클수록 더 정확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기존 해석법들의 가정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Towards reducing acoustical high-frequency noise of a direct current relay via contact structure (직류 계전기의 접촉구조에 의한 고주파수 소음저감)

  • Junhyeok, Yang;Jongseob, Won;Wonjin, Kim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6
    • /
    • pp.691-697
    • /
    • 2022
  • In this work, a straightforward component design of a direct current (DC) relay equipped in electric vehicles is discussed. The work aims to provide and evaluate effective measures for reducing high-frequency sound from the DC relay carrying electric power. From the operation experiments for the relay, it is observed that noise is caused by the resonance from the forced vibration by the electromagnetic repulsive force originating at the area of electric contacts with a resonance frequency of around 710 Hz ~ 730 Hz. A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relay was established to conduct vibration mode analysis, consisting of stationary and movable contacts and a contact spring. Vibration mode analysis indicates that in the resonance frequency, the movable contact with two-point contacts experiences rotational vibration mode. For the proposed relay with a three-point contact, vibration mode analyses give reasonable results of reducing noise at that frequency. Furthermore, for the fabricated relays with the three-point contact, similar results have been obtained. In conclusion, one can see that the proposed measures provide one of the feasible solutions to the reduction of relay no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