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령노인

Search Result 90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effect of ADL and IADL on the Depression of the Older-elder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elder abuse -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Bae, Jin-Hee
    • 한국노년학
    • /
    • v.29 no.1
    • /
    • pp.353-36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LD/IADL,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elder abuse and the depression of the older-elderly. It wa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elder abuse between ADL/IADL and depression. For these purposes, 603 older-elderly in Chonbuk province were interviewed using structured questionair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the depression level of the older-elderly was very high. Second, ADL/IADL influences the dep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ir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DL/IADL and the depression. Fourth, elder abuse ha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ADL/IADL and the depression. Result indicate that lower ADL/IADL, social activities and elder abuse related negatively to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are suggested for prevention the depression of the older-elderly.

Effects of Family Fun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고령노인의 가족기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 Lee, Jong-un;Hoe, Maan-s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307-31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9 to July 31, 2019, and 29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rameters. Results, as the main results, first,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Soci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re suggest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in the context. A further discussion on this has been presented.

The status analysis of the Chinese television program for old people (중국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 현황 분석연구)

  • Liu, danya;Lee,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7-378
    • /
    • 2015
  • 중국의 고령화 사회의 현황을 연구배경으로 중국의 고령층 TV프로그램의 발전현황 및 노인층의 심리 및 생리적 수요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 검색, 인터넷 검색, 인터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중국의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의 현황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TV프로그램의 특징과 문제점, 중국이 고령사회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노인층의 생리 및 심리적 수요를 한중일의 성공적 TV프로그램 사례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Suicide Attempt of the older Seneior citizen (후기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Lee, Gwa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15-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여 이들의 경험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bigcirc}{\bigcirc}$구에 거주하는 자살시도를 경험한 75세 이상 노인 6명을 연구참여자로 의도표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Giorgi가 제시한 4단계 분석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6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를 통해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의 4가지 구성요소는 <모진 세월의 회한; 죽도록 고생한 모진 인생, 조실부모와 가난의 대물림, 도무지 잊을 수 없는 자식들의 외면, 가족갈등에서 온 깊은 원망>, <절망적이며 처량한 신세; 경제력을 상실과 절망, 마음대로 죽을 수 없는 처절함, 차라리 죽고 싶은 죄책감>, <쓸모없는 무가치한 삶; 아무 쓸모없는 사람, 자녀들 및 신세지기 싫은 강박관념에 괴로움, 자살충동이 일어남>, <참을 수 없는 신체의 고통과 무기력: 죽음과 삶의 두려움, 우울증, 정신병, 치매, 무기력>,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 하루 종일 고립됨, 숨쉬고 있지만 마지 못해 살아감, 죽은 것처럼 살고 있는 나, 하루가 지루함>,<마지막 선택; 세상이 싫어 떠날 것임, 먼저 간 배우자 따라.., 아무것도 바라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기 고령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논의하고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실천 현장의 구체적 개입전략, 생명존중문화의 실질적인 대처 방안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Differences in Intake of Elderly-Friendly Foods according to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고령친화식품 섭취 차이)

  • Jeon, Ji-Eun;Jung, Eun-Ha;Kim, Soo-Min;Han, S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697-70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suitable for the level of oral health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of elderly-friendly foods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sing data from the health questionnaire, oral examination, and nutrition survey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oral health status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by each stage of elderly-friendly foods were analyzed, and a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elderly who mainly consume stage 3 elderly-friendly foods appear to have very poor or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Therefore, when developing elderly-friendly foo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oods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considering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appropriate nutrients.

An Analysis of Limbs Movement and Judgement Speed with Age (연령대별 수족 동작 및 판단속도의 변화분석)

  • 장규표;이동춘;이상도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84-93
    • /
    • 1995
  • 우리 나라도 최근들어 소득수준 향상, 건강의식의 고조, 평균수명의 연장등으로 고령화 사회의 진전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87)의 조사에 의 하면 국내 인구의 고령화 속도는 급속히 빨라져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가 전체 인구의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2,000년에는 노인이 전체인구의 7%, 2,025년에는 14%에 달할 것이라고 하며, 이 속도는 프랑스 보다 4.6배, 미국에 비해서는 3배나 빠르다 한다. 인구 구성비에서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7%를 넘는 사회를 고령화 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로 정의를 하고 있는 유엔의 규정을 감안한다면 우리 나라도 앞으로 수년내에 본격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행동이 머리의 판단과 수족의 동작으로 이루어 지므로 동작 및 판단속도의 연령대별, 성별 수행성취도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로 고령 자의 고용에 필요한 근로능력의 평가, 고령자의 근로적응을 위한 직무나 작업장의 설계, 더 나아가서는 노인의 복지향상을 위한 복지시설의 설계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derly Welfare Act between the Korea and Japanese (한·일 노인복지법의 비교법적 연구)

  • Lee, Doh-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3
    • /
    • pp.429-440
    • /
    • 2019
  •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in the world's major advanced nations is increasing to a significant extent. Aging population causes various socioeconomic problem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s the welfare of the elderly. Advanced foreign countries that have already experienced aging early are investing a lot of money or legal system to provide welfare services necessary for old age such as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elderly, health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long-term protection problems. The contents of the social welfare legislation including the welfare of the elderly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of each country. Both Korea and Japan are actively intervening in the social security of the na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al ideology. The elderly welfare Act is a time when more careful diagnosis is needed because it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asic direction based on human dignity and pursuing the most efficient way to achieve it in such an ideology and re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lderly Welfare Act of Japan, which is the selection country of aging,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Welfare Act in Korea.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in-home elderly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Cho, Woo-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357-360
    • /
    • 2010
  • 본 연구의 논의의 전개는 오늘날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해 고도의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인구 고령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고령화 사회에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전문적인 서비스 수준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 재가노인복지 사업, 문제점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과제와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Welfa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Creating an Aging-Friendly City

  • Lee, Duk-Na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5
    • /
    • pp.127-132
    • /
    • 2021
  •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posed guidelines for creating an age-friendly city in 2007, Efforts have been underway to create an age-friendly city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around the world. At this point in time, This study shows the local governments that are currently certified as an age-friendly city and the local governments that prepare for certification, improving the welfare level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elderly-friendly cit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reflecting the eight major areas of the development of an aged-friendly city residential, economic, health,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for senior citizens in a single household presented policy reflections on four level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Un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Single Household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survey.

Daily health, family support and the aged's life quality (일상적 건강성 및 가족 지지와 고령자 삶의 질)

  • Lee, mi-r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29-330
    • /
    • 2015
  • 전지구적인 고령화시대를 살아가는 인류에게 행복한 노년기 삶의 질에 관한 유용한 방안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령노인의 건강은 삶의 최우선 순위가 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 그리고 국가의 다양한 정책과 제도적 시스템을 조절하는 요인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공적 시스템과 비공식적 지원체계는 노년후기 가족의 삶의 질에 큰 영향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노인에 대한 가족 지원을 조절하기 때문에 전방위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적 건강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에 대한 가족지원체계를 보완하며, 성공적이고 행복한 삶의 질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은 노년기 삶의 긍정적 마무리 및 행복감과 관련성이 높다. 따라서, 노년기 공식적 비공식적 지원체계의 다양한 지원과 동시에 가족 지지의 대처자원을 발굴하고, 보완가능한 대체가족 지원시스템을 개발, 강화시켜 독거노인과 돌봄노인의 케어시스템을 다차원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