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7.307

Effects of Family Fun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Lee, Jong-un (유원대학교)
Hoe, Maan-se (계명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July 1, 2019 to July 31, 2019, and 296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arameters. Results, as the main results, first, family function and self-efficacy of the elderly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Social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re suggest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in the context. A further discussion on this has been presented.
Keywords
Older Adults; Family Function; Self-efficacy; Dep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 Sethi, R. Kumar, and S. Gupta, "Antibiotic production by microbes isolated from soil,"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Research, Vol.4, No.8, p.2967. 2013.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제35권, 제2호, pp.298-306, 1996.
3 임지숙, 한국 노인들의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 탐색과 삶의 만족 및 우울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 D. H. Olson, J. Portner, and Y. Lave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CES III),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1985.
5 김윤희, 의미요법에 기반으로 한 집단음악치료가 일노인복지관 노인의 우울과 고독감, 죽음불안,삶의 의미와 질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 김양이, 이연숙, "노인복지관 이용노인의 사회적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4호, pp.217-238, 2017.   DOI
7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4, No.3, pp.359-373, 1986.   DOI
8 강은나, 김재호, 황남희, 김현정, 손동기, 배혜원, 은퇴전환기 중고령자의 일.여가 현황과 여가증진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9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DOI
10 최미영, 이승은, 박현식,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취업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69권, pp.9-29, 2015.
11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호, p.191, 1977.   DOI
12 박지원, 반금옥, "Circumplex Model 에 근거한 취약가구 노인의 가족기능과 성공적 노화," 성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39-249, 2010.
13 서홍란, 김희년, "농촌지역 초고령 홀몸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64호, pp.137-163, 2014.
14 최경원, 전경숙, "농촌노인의 허약상태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낙상예방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의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7권, 제4호, pp.380-387, 2016.   DOI
15 김우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 변화," 디지털융복합 연구, 제13권, 제11호, pp.549-559, 2015.
16 전미숙, 김현옥,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72-280, 2011.   DOI
17 J. A. Yesavage, "The use of self-rating depression scales in the elderly," In L. W. Poon, T. Crook, K. L. Davis, C. Eisdorfer, B. J. Gurland, A. W. Kaszniak, & L. W. Thompson (Eds.), Handbook for clinical memory assessment of older adults (pp.213-217),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86.
18 김남순, 박은자, 전진아, 서제희, 정연, 이용주, 김창오, 김광준, 김소윤, 석희태, 홍성민, 왕승혜, 장민선, 카와쿠보히로시, 송은솔, 차미란, 배정은, 이동현, 백상숙, 양지현, 이지연, 백승주,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건강 현황과 보건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모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9 장수지, 김수영, "부산지역 거주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 및 자기방임 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2호, pp.245-273, 2017.   DOI
20 노원석, "노인학대상담," 개신논집, 제15권, pp.103-122, 2015.
21 박애란, 정경숙, "일 지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활동, 가족지지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호, 제3권, pp.212-221, 2017.   DOI
22 이준상, 김향아,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7-36, 2017.
23 서희숙, 정인숙,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9, 2010.
24 정우진, 상호제공적 가족내 지지와 가족외 지지가 은퇴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5 강유진, "노년기 역할상실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및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47-258, 2020.
26 오영은, 농촌 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7 R. H. Fortinsky, K. Kercher, and C. J. Burant, "Measurement and correlates of family caregiver self-efficacy for managing dementia," Aging & mental health, Vol.6, No.2, pp.153-160, 2002.   DOI
28 김규엽, 노인의 여가몰입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9 김유진, 임승현, 남인수, "헬스참여 성인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우울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1호, pp.354-364, 2015.
30 강동훈, "초고령 노인의 우울 궤적 예측요인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9권, pp.1-26, 2021.
31 P. E. Davis-Kean, L. R. Huesmann, J. Jager, W. A. Collins, J. E. Bates, and J. E. Lansford, "Changes in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beliefs and behaviors across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Vol.79, No.5, pp.1257-1269, 2008.   DOI
32 류한소, 이민아, "사회적 교류와 노인의 인지기능: 연령에 따른 차이," 한국인구학, 제42권, 제4호, pp.65-89, 2019.
33 정정화, 노인의 가족기능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34 홍경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5 박지영,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노후생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8권, 제4호, pp.257-270, 2014.   DOI
36 강선경,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이 우울증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29-643, 2009.
37 송인한, 권세원, 김현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건강증진행동이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9호, pp.97-123, 2013.
38 H. M. Smith and N. E. Betz, "An examination of efficacy and esteem pathways to depression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9, No.4, p.438, 2002.   DOI
39 제갈다나, 박재연,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측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2호, pp.413-444, 2017.
40 신근영,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관 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1 최성실, 일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 주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2 최성희, 한명숙, "현대사회의 姑婦간의 가족문화 연구-며느리와 동거하는 시부모의 갈등,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상과 문화, 제59호, pp.391-415, 2011.
43 전미애, 김정현, "노인 우울 관련 변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8권, pp.75-97, 2013.
44 김성은,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5 강현욱,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요인: 2012 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2, pp.995-1009. 2016.
46 K. Rothermund and J. Brandtstadter, "Age stereotypes and self-views in later life: Evaluating rival assump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7, No.6, pp.549-554, 2003.   DOI
47 이현주,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 차이와 위험요인," 노인복지연구, 제61호, pp.91-31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