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층적 의사결정법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가치 판단에 기초한 의사결정 모형과 기준.대안의 평가 방법: 대학생의 주택 선택을 사례로 (The Model of Decision Making and the Method of Evaluating Criteria and Alternatives by Value Judgement, In Case of the University Student's Housing Choice)

  • 박규택;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5-15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잡하고 구조화되어 있지 않은 현실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조직 평가하여 최적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방법으로 가치판단에 기초한 의사결정 모형과 기준과 대안을 평가할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이것을 대학생의 미래주택 선택에 적용하는 데 있다. 미래주택 선택을 위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한 설문시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주택 선택의 기준으로 주택 자체의 특성보다 주택과 관련된 지역의 사회 경제 환경 특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일반적 기준의 관점에서 대학생들은 사회 교육, 접근성, 경제, 시설, 자연환경 그리고 주택 특성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중요도 간의 차이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적 평가 방법에 의한 대학생들의 주택 선호도는 아파트, 단독주택 그리고 연립주택 순으로 나타났지만 세부기준의 관점에서의 주택 선호도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세부적 기준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가치판단은 일반적 관점에서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세부 기준들의 중요도 순위는 동일 기준에 대한 직관적 판단의 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 기준들에 대한 두 가지 분석 방법의 적용 결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사결정 모형과 평가 방법에 관한 개념적 틀은 불확실성과 위험이 내포된 다양한 현실 문제에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통해 효용성도 높아질 것이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Hierarchical Model of Consumer Orientation

  • Seungbae Park;Jaewon 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17-227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소비자원의 2019 한국 소비자 시장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소비자 의사결정 여정(CDJ) 관점에서 소비자 시장평가 항목을 계층화하고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이다. 즉, 소비자시장평가 항목을 선택비교단계, 선택결정단계, 구매 후 경험단계로 구분하고 CDJ 모형의 경험에 해당하는 불만피해 여부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를 계층화한 모형을 제시 및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지향성을 평가하는 소비자시장 평가지표 변수들간의 관계는 소비자 의사결정 단계에 따라 계층화할 수 있으며,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과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피해경험의 유무에 따라 소비자시장평가(신뢰성, 가격)가 법/제도의 소비자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퍼지평가방법을 이용한 교통노선 결정 (A Fuzzy Evaluation Method of Traveler's Path Choice in Transportation Network)

  • 이상훈;김덕영;김성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6
    • /
    • 2002
  • 오늘날의 교통현실은 전체적인 교통망을 분산화시켜 임의의 교통환경, 즉, 교통사고, 병목 구간, 긴급공사 등 예기치 못한 상황에 실시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통추론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가 도로의 운전자 경로탐색 과정이다. 본래, 인간의 차량운전에 대한 경로선택 문제는 여러가지 환경변수가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변수요소가 주행시간, 주행거리, 주행비용 등을 고려할 수가 있으며, 그 외 운전자의 심리(기분)상태도 많이 좌우한다 그리고, 가상의 우위경로 채택의 미묘성도 잠재되어 실제적 탐색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심리와 관련된 인공지능 분야의 알고리즘과 의사제어기법 등이 필요한데 본 연구는 교통경로의 최적탐색을 위해, 기존의 경로탐색과는 달리, 인간의 사고과정에 착안하여 퍼지평가 및 계층분석법을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애매한 주관적 판단을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였다. 그리고 경로에 대한 평가요소 및 중요도, 평가치를 운전 전문가로부터 의견 수렴한 것을 기초로 도출하였으며, 실제 효용성을 진단하고자 경로모델의 예를 사용하였다. 모델평가는 평가요소에 대한 속성소속함수화 및 평가치 규정, 계층분석법에 의한 중요도 결정, $\lambda$-퍼지척도에 의한 중요도의 비가법적 표현, Choquet 퍼지적분 등으로 수행하였다 결국 퍼지 척도치와 평가치를 퍼지 적분(fuzzy integral)으로 종합평가하고, 최종 판단 추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함을 보여 주었다.

정보 엔트로피에 의한 RC 교량 상판의 상태속성 및 등급 영향 구조 분석 (The State Attribute and Grade Influence Structure for the RC Bridge Deck Slabs by Information Entropy)

  • 황진하;박종회;안승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61-71
    • /
    • 2010
  • 기 수행된 1, 2종 교량에 관한 정밀안전진단 등의 많은 사례를 분석해 보면, 실제로 많은 경우 외관상태가 교량의 대표등급 결정에 지배적인 요인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 시행된 점검 및 진단 자료를 학습사례집합으로 인공지능 분야의 귀납적 학습법을 활용하여 철근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상태평가를 지배하는 상태속성들의 교량등급에 대한 계층적 영향도와 구조적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세부적으로 목표속성은 평가등급으로, 평가속성은 1방향균열, 2방향균열, 백태, 박락 및 층분리, 재료분리 등 7가지로 구성하고, 엔트로피 분석을 통해 주요 속성의 정보량, 정보기대값 및 정보 이득을 산정하고 범주별 상태 등급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6개 교량에 대한 안전진단보고서를 토대로 상태등급 평가 과정에서 각 속성이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개관하고 정보공학적 분석의 동기를 부여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정보 변별력에 대한 순서로 평가를 지배하는 주 속성 및 조건별 하위 속성 연관성을 의사결정트리 형태로 나타내어 계층적 영향 및 속성간의 구조적 연관성을 보임으로써 손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차후 상태평가를 위한 합리적 접근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병원선택에 미치는 요인과 사용자 집단 간의 인식차이 - 대학부속병원 입원환자, 보호자, 간호사에 대한 분석적 계층화 의사결정 평가를 중심으로 (Factors that Affect Decisions for Selecting Hospitals and Different Awareness - Focusing on Inpatient, Care-giver, Nurse in University Hospital using AHP)

  • 김석태;오찬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9-51
    • /
    • 2012
  • Purpose: Hospitals for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can, from the concept of healing, be removed from just gaining profits, but suggest a future-oriented direction for the hospital. Accordingly, there have been studie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hospitals, but most were related to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nd only recently did research from the concept of tradeoffs of factors for selection began to grow rapidly. Methods: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evaluates the level of importance for factors of selecting hospitals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identifies the correlation with users, gender, age group, and outpatient featur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awareness among different groups for selecting hospitals. In the factors for selection 26 factors in six categories were set through studies of preceding research, and after surveying 144 peop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attained. Results: 1) The overall analysis resul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medical level, medical service, and fame, and low for facilities, which is similar to the cases of preceding studies. 2) For user analysis, it was similar between patients and guardians,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awareness among nurses, who are also medical service providers. Nurse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importance in direct factors such as medical technologies and medical services, while guardians of patients showed higher importance in indirect factors such as facility environments and convenience. 3) Women showed higher assessments of importance levels in environmental factors, while men in physical factors. 4) The older the age group, the lower level importance there was on medical level, while the importance on fame reduced the further the commute to the hospital was.

계층적구조를 갖는 시스템의 FUZZY GOAL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zzy goals of system with hierarchical structure)

  • 박주녕;송서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2권20호
    • /
    • pp.97-104
    • /
    • 1989
  • 본 연구는 계층구조를 갖는 시스템의 각 목적함수들에 퍼지(FUZZY)집합 개념을 적용한 이단계 선형계획 모형을 다목적계획법으로 다루었다. 선형멤버쉽 함수를 이용하여 전형적인 Bi-level Linear Programming Problem(BLPP)으로 변형시켰으며, 기존의 BLPP 해법을 이용한 변형된 해법을 주시하고 예제를 통한 계산결과를 제시하였다. 퍼지이단계선형계층 (FBLPP)은 BLPP보다 실제환경을 자연스럽게 묘사할 수 있다. FBLPP는 각 의사결정자가 다목적함수를 갖는 다목적 이단계수리계획 모형의 유효해를 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 PDF

LTE/WLAN 이종망 환경에서 퍼지제어와 정책적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한 적응적 VHO 방안 연구 (A study of Vertical Handover between LTE and Wireless LAN Systems using Adaptive Fuzzy Logic Control and Policy based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 이인환;김태섭;조성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3호
    • /
    • pp.271-280
    • /
    • 2010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3세대 진화망인 LTE(long-Term Evolution), WiMAX/WiBro, 차세대 WLAN등 다양한 무선 접속 기술이 All-IP 기반의 핵심망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에 따라 중첩된 다양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망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수직적 핸드오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각각의 네트워크가 독자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독립적인 무선자원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왔으므로, 이종망 환경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끊김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네트워크의 무선자원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최근 이러한 무선 이종망 환경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응적이동성을 위한 범용링크계층(GLL)과 통합무선자원관리(CRRM) 방식의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TE와 WLAN 사이에서의 효율적인 수직적 핸드오버를 위한 범용링크계층을 기반으로 정책기반과 다기준 의사결정법(MCDM)을 혼합한 수직적 핸드오버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퍼지 로직 제어기(FLC)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시점을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직적 핸드오버 기법은 수신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하는 방법과 MCDM 만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데이터 처리량, 핸드오버 성공확률, 서비스 사용비용 그리고 핸드오버 시도 횟수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방안 (Publicness of Public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AHP Enhancing)

  • 김혜란;이혜주;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511-522
    • /
    • 2013
  •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물리적 측면, 사용자 측면, 맥락적인 측면에서 공공성 제고를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도출하고 공무원과 실무자측면에서 그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공간별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공간의 우선순위는 공원으로 나타났으며 계획지표의 경우 공개공지, 공공보행통로, 공공공지, 공공시설부지, 공원은 위치 인지성이 가장 중요하고, 도로의 경우 대중교통수단연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공공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공간은 접근이 용이하고 위치에 대한 인지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사적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HP 기법을 활용한 VTS 관제사 자격인증 교과목 상대적 중요도 분석

  • 정초영;전성권;이홍훈;김득봉;정재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7-259
    • /
    • 2016
  • 선박교통관제사의 자격인증 교육은 IMO와 IALA에서 권고한 교육과정, 교육과목 및 교육기간 등을 표준으로 한다. 국제적 기준이 현재 교육과 차이가 있고, 대한민국 관제사들이 생각하는 교육의 중요성에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교통관제사 자격인증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구체적인 교과목으로 나눈 다음 기존 직원들의 의견을 취합하여 AHP 분석을 통해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해 보았다.

  • PDF

ERP 시스템의 운영단계의 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he Success Factors in Operation Stage of ERP System)

  • 이선규
    • 서비스연구
    • /
    • 제6권4호
    • /
    • pp.35-45
    • /
    • 2016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ERP시스템의 운영단계의 성공요인들에 대해서 전문가 그룹의 면담과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중요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성공요인들을 계층화 의사결정법(AHP)을 이용하여 각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1차 계층의 성공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는 조직/인력 요인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계층의 성공요인을 1차 계층의 중요도를 고려한 가중치 분석에서는 경영진의 지원과 관심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그 다음으로 프로세스 최적화, 변화관리, 운영조직의 지원, 프로세스 혁신조직 유지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RP 시스템의 운영단계에서 ERP 시스템의 도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뿐만 아니라 ERP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한 내부 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한 변화관리가 요구되며, ERP 시스템을 전담하는 운영조직의 지원과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혁신을 위한 별도의 조직을 갖추어야 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