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영자신뢰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4초

전력공기업의 직무만족과 성과보수가 경영자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의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Performance-oriented Remuneration in Electric Power Companies on Trust in Manag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 인재만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43-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력공기업 직원의 직무만족과 그들에게 지급되는 성과보수가 조직공정성 인식 수준과 경영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검증하여, 직원과 경영자 상호 간의 신뢰수준 제고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직원의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 간의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 인식 간의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 및 조직공정성과 경영자신뢰 간의 정(+)의 영향 관계로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 간 조직공정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과보수는 직접적으로 경영자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업의 인건비 예산 규모에 대한 정부의 총량적 규제와 공기업 정부경영평가로 인하여 인건비 운영의 자율성이 상당히 제한적이며, 내부 성과평가 절차 및 성과평가 결과에 대한 직원들의 수용성이 낮아, 성과보수에 대한 조직공정성 인식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와의 영향관계에서 분배공정성과 상호공정성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절차공정성의 매개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직원들이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는 원활한 상호소통 기반 내부 인사운영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필요성은 경영자신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성과보수와 경영자신뢰 간의 분배공정성과 절차 공정성의 부(-)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적으로 확인되어, 직원들이 성과분배 절차 및 분배결과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경영자 신뢰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영자들이 직원들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영향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직원들이 본인의 직무에 만족하고, 그들의 노력과 업무성과가 공정하게 평가받으며, 이에 대한 대가를 조직으로부터 받게 될 때, 직원들은 조직을 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의사결정권자인 경영자를 신뢰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집단 성과급제도의 공정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 - 인사시스템 신뢰강도의 조절효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Fairness Perception of Incentive System on Manager-Trust -The moderating effect on HRM strength-)

  • 김성건;김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99-214
    • /
    • 2016
  • 기업에서 매년 성과급 지급과 관련하여 노사 간의 협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협상에 따라 노사 간의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집단적 노사관계에 있어서 인사시스템에 대한 신뢰는 매우 중요하다. 성과급 이슈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성과급 공정성이 경영자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인사시스템 신뢰강도가 어떻게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를 파악하여 인적자원관리 선택이 경영자신뢰에 미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성과급의 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성과급제도의 공정성과 경영자 신뢰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인사시스템 신뢰강도의 조절작용 효과를 검정한 결과, 분배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의 관계에서 명확성, 일관성, 합의성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절차공정성과 경영자 신뢰도의 영향관계에서는 일관성, 합의성은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명확성은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급 공정성의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경영진의 신뢰가 증가하며, 인사시스템의 신뢰강도에 있어서 다른 항목보다도 명확성이 보다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과 경영자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the Organization Justice and Executive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

  • 황두모;하규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21-232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 경영자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직무만족을 종속변수로 그리고 신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조직공정성의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직무만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영자특성의 리더십특성, 역량특성, 심리적 특성 모두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이 있어 종업원이 지각하는 신뢰를 통한 매개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종업원들의 직무만족 증진으로 업무의 효율과 능률을 제고시켜 결과적으로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줄 것이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수익성이 향상하게 될 것이다.

기업평판이 회사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r Trust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Reputation)

  • 양진호;박상봉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2호
    • /
    • pp.1-12
    • /
    • 2014
  • 본 연구는 현대기업의 경쟁력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기업평판에 관한 연구이다. 기업평판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외부고객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들어 내부고객관점에서 평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적 외부이해관계자 관점에서 주로 고려된 기업평판을 내부이해관계자인 종업원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기업의 성과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서 기업평판의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평판이 회사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기업평판의 보다 다양한 시사점을 위해 기업차원의 사회적 자본이라고 할 수 있는 경영자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포항지역의 금속산업 종업원 239명을 대상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업평판이 높을수록 회사몰입은 높고 이직 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경영자신뢰는 기업평판이 회사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하는 작용을 하였지만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시하고 있다.

  • PDF

민간경비원의 보안정책준수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vate Security Officers'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 이상학;이주락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137-161
    • /
    • 2019
  •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를 매개하여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민간경비원의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6월 18일부터 8월 28일까지 서울특별시 및 부산광역시 경비회사에서 근무하는 민간경비원의 협조를 받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혁적 리더십, 조직신뢰, 보안정책 준수의지 간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비회사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민간경비원의 조직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경비원의 조직신뢰는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비회사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비회사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유의한 직접효과는 없으며, 조직신뢰를 경유하여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경비회사 경영자는 민간경비원의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민간경비원의 신분보장, 복리후생 등과 같은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하여 조직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과의 관계: 최고경영자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Organizational Justice and Employee Behaviors: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in CEO and Supervisor)

  • 조은현;탁진국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463-477
    • /
    • 2009
  •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신뢰와 상사신뢰를 구분하고, 이러한 신뢰의 유형이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18개 회사 4,0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MOS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모두 상사신뢰보다 CEO신뢰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CEO신뢰와 상사신뢰는 조직공정성과 종업원 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특히 절차공정성은 분배공정성 보다 CEO신뢰와 상사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의 유형이 종업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직무태도 및 행동 관련 변수 간의 인과모형 연구 (Casual Model Study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Social Worker's Job Attitude and Behavior)

  • 이경철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769-772
    • /
    • 2011
  • 본 연구는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조직관리 차원에서 주요하게 고려되고 있는 인사관리 공정성, 경영자 행동특성, 윤리경영 같은 원인(외생,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인 경영자 신뢰 및 조직냉소주의를 매개하여, 이들이 결과(내생, 종속)변수인 직무태도 및 행동(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 정서적몰입)과 어떠한 인과관계를 갖고 있는지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포괄적인 모형을 통해 직무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단편적인 분석에서는 알수 없었던, 직무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 매개변수, 결과변수를 분명하게 확정짓는 실증적인 틀을 제공하고 있다. 즉 사회복지행정 분야에서 이제까지 접목하지 않았던 경영자 행동특성, 윤리경영 등 전반적인 사회복지조직관리와 관련된 변수들을 포괄하였으며, 이는 추 후 사회복지조직 혹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연구의 이론적인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한 논문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중소기업의 사업환경 인식, 기업 역량, 경영자 역량이 사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업자신감의 매개효과 (Effect of SMEs' Business Environment Perception, Corporate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on Intention to Discontinue Business of CEOs: Mediating Effect of Business Confidence)

  • 윤덕상;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103-117
    • /
    • 2022
  • 2020년 초부터 전세계에 확산된 코로나 팬데믹,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공급망관리 리스크 등 최근에 체감하는 기업경기는 과거 어느 때보다 심각한 편이다. 중소기업을 창업하여 경영하고 있는 CEO들은 이러한 현실속에서 기업의 지속성에 대하여 어느 때보다 고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 CEO의 사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사업환경(주력 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 인식, 기업 역량(직원역량, 기업의 제품 혹은 서비스 경쟁력, 공급망 및 수요자 관계,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경영자 역량(직원들과 경영자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역량, 경영자의 인지된 건강상태)이 CEO의 사업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중소기업 CEO 26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주력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 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가 사업중단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원역량, 제품(서비스) 경쟁력, 기업의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CEO의 건강상태가 사업중단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들의 영향 관계는 CEO의 건강상태, 제품(서비스) 경쟁력, 직원역량, 디지털역량 및 기술전문성, 주력사업의 경쟁강도, 인력의 수급 및 관리 난이도 순으로 나타났다. 공급망 및 수요자 관계, 직원과 CEO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역량은 사업중단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사업자신감은 주력사업분야의 경쟁강도, 인력 수급 및 관리의 난이도, 제품(서비스) 경쟁력, 디지털 역량 및 기술전문성, CEO와 직원간 신뢰, 경영자의 관리 역량과 사업중단의도 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사업중단의도에 관한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사업환경 인식, 기업 역량, 경영자 역량, 사업자신감이 사업중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밝혀짐에 따라 이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실행 아이디를 찾을 수 있다면 중소기업이 지속성장하거나 의미있는 출구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전지역 최고 경영자의 인적결속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anagement Performance on Human Solidarity of CEOs in Daejeon Area)

  • 이윤구;현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83-19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지역의 중소벤처기업 최고 경영자들의 인적 결속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 지역 기업경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소재 중소 벤처기업의 최고 경영자를 대상으로 2018년 3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 212개의 자료를 회수하여 SPSS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고 경영자의 인적 결속인 '직연'과 '학연'은 정부 과제확보, 경영개선, 기업성장에 필요한 정보획득,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지연'부분은 경영성과에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전지역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첫째, 최고 경영자의 인적 결속의 고도화가 요구되어 지고 둘째, '지연' 부분이 약하기 때문에 최고 경영자 간에 상호신뢰 구축의 노력이 필요하며,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고 강한 연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대전지역에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각각의 협회들은 최고 경영자들 간에 관계 형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접촉의 기회를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기업상호간 지각된 이미지가 신뢰와 관계결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Image between Corporations in Trust and Commitment of Relationship)

  • 김이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29-238
    • /
    • 2007
  • 최근의 한국기업문화를 혁신의 시대라고 할 만큼 급변하고 있다. 이런 급변하는 환경하에서 기업들은 제각각 기업경쟁력 강화에 최선의 노력을 행하고 있다. 모든 기업들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기업간에서 지각됨으로써 기업간의 관계형성의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진다. 특히, 1990년대 이후부터는 기업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이루어진 소비자 지각 중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연구보다는 기업간 지각한 이미지와 신뢰, 기업 관계결속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업간 지각된 이미지는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는 관계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영자 이미지, 성장성 이미지, 혁신성 이미지가 기업간 신뢰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으로 설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