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6623/KSSR.2019.61.6

A Study on Private Security Officers'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Lee, Sang-Hak (경기대학교 대학원 경호보안학과)
Lee, Ju-Lak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Security Journal / v., no.61, 2019 , pp. 137-1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private security officers' compliance with security polici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Data were collected from private security officers employed in the cities of Seoul and Busan by using survey questionnair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22.0 and AMOS 23.0. The results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creased organizational trust whic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In addi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affect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directly but had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The findings of current research suggest the leaders of security businesses consider various ways to increase officers' organizational trust such as improved job security and benefits in order to maximize their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Keywords
Private security offic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Rees, J., Bandyopadhyay, S., & Spafford, E. (2003). PFIRES: A Policy Framework for Information Security. Communications of the ACM, 101-106.
2 Robinson, S. L. (1996). Trust and breach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1(4), 574-599.   DOI
3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3), 393-404.   DOI
4 Humaidi, N., & Balakrishnan, V. (2015). Leadership Styles and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he Mediator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5(4), 311-318.   DOI
5 Maslow, A. H.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Van Nostrand: New York.
6 신현구 (2015).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요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안성진 (2010). 지방정부조직 내 상사.동료신뢰와 조직신뢰의 관계: 부서응집력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유재두 (2015). 해양경비안전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연구, 14(4), 301-318.
9 이민성 (2013). 정보담당 공무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성규 (2015).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 결정요인 연구: 조직공정성 조절효과 관점. 서울벤처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이용주 (2011).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변혁적.서번트 리더십이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재한, 한상호, 김규원, 양재장 (2012).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슈퍼바이저의 변혁적 리더십이 가맹점의 조직신뢰와 집단응답성, 그리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1), 163-186.   DOI
13 이종건, 김동호 (2008).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1(4), 1495-1521.
14 임명순 (2006). 민간경비교육기관 개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개정 경비업법 시행규칙 제12조제2항을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7, 309-322.
15 정신교 (2005). 범죄학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16 김연숙, 이희선, 신황용 (2012). 시민단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6(2), 1-31.   DOI
17 Gilbert, J. A., & Tang, S. P. T. (1998). An examin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tecedent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27, 321-325.   DOI
18 Hosmer, L. T. (1995). Trus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organizational theory and philosophical ethic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2), 379-403.   DOI
19 강현 (2015).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만족.조직몰입이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5(2), 167-199.
20 김연숙 (2014). 시민단체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김현수 (2016). 리더십유형, 사내기업가정신, 조직신뢰, 최고경영자 지원이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6(2), 111-141.
22 김호균 (2007).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시민행동간 영향관계분석. 한국행정학보, 41(2), 69-94.
23 박계홍, 김종술 (2013). 변화와 혁신을 위한 리더십. 경기: 학현사.
24 박길수, 최인옥 (2011). 공군 조종사의 조직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신뢰의 조절효과. 직업능력 개발연구, 14(2), 153-176.
25 박상진 (2007). 한국 민간경비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도적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0, 281-307.
26 박재곤 (2016). 조직특성이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근거이론적 해석과 모형화 연구:군 조직의 내부자 보안위협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변상우 (2014). 글로벌 리더십. 서울: 청람.
28 송경미 (2013). 조직 내 정보기술능력이 정보보안관리 동화에 미치는 영향 및 최고경영진의 주도와 정책-기술간 조화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신혁 (2018). 계획행동 요인을 매개로 경영진 역할과 보호동기가 정보보안정책 준수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주재진 (2009). 경찰공무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2, 401-429.
31 채정석, 이주락 (2019). 공항 특수경비원의 보안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9(1), 93-116.
32 최연준 (2018).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최홍만 (2019). 민간경비와 경찰 간 협력방안 구축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하미승 (2018). 리더십 이론과 개발. 서울: 윤성사.
35 허남철 (2009).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신뢰와 역할 내 행동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희망과 친밀감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허용규, 정강국 (2019). 변혁적 리더십이 호텔 종사원의 서비스 혁신행동과 이타적 행동에 미치틑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관광경영연구, 88, 243-265.
37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 The free Press.
38 Bass, B. M., & Avolio, B. J. (2000). MLQ-Multi 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Redwood city, CA: Mind Garden.
39 Herath, T., & Rao, H. R.(2009). Encouraging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in Organizations:Role of Penalties, Pressure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Decision Support Systems, 47(2), 154-165.   DOI
40 Goel, S., & Chengalur, S. I. N. (2010). Metrics for Characterizing the Form of Security Police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9, 281-295.   DOI
41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 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DOI
4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Newbury Park, CA: Sage.
43 Burns, J. M. (1978). Leadership. New York : Harper & Row.
44 Chew, E., Swanson, M., Stine, K., Bartol, N., Brown, A., & Robinson, W. (2008). Performance Measurement Guide for Information Security. NIST Special Publication 800-55, Revisio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