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건물분배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4초

유리온실과 플리스틱온실 재배환경하에서의 파프리카의 생장, 건물분배율 및 수량 (Dry Matte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Yield of Sweet Pepper Grown under Glasshouse and Plastic Greenhouse in Korea)

  • 정원주;이정현;김호철;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8-265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 대일 수출중인 상업적인 유리온실과 플라스틱 온실에서 파프리카 'Derby'를 공시품종으로 하여 국내 온실 간 생산량 차이 발생을 분석하여, 생산성 차이를 개선하고자 시설내부의 광량, 작물의 생장량 및 수량을 두 온실간 기간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재배기간 동안 평균 일중 광량은 유리온실 $9.03MJ/m^2/day$, 플라스틱 온실 $7.37MJ/m^2/day$로 23%정도 유리온실의 시설내부 광량이 많았다. 총 조사기간 동안 파프리카의 생장량은 유리온실 $1759.9g{\cdot}m^{-2}$, 플라스틱 온실 $1308.5g{\cdot}m^{-2}$으로 유리온실의 작물 생장량이 높았다. 총 건물생산량 대비 영양생장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시설내부 광량이 높은 유리온실에서 생식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높았고, 영양생장 기관의 건물분배는 낮았다. 두 온실의 파프리카 생산성은 유리온실 $14.1kg{\cdot}m^{-2}$, 플라스틱 온실 $7.8kg{\cdot}m^{-2}$으로 유리온실이 매우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온실 간 파프리카의 기간별 동적인 건물생산량과 건물 분배 패턴, 수량을 분석함으로써 파프리카의 수량을 예측하고 우리나라 파프리카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분야의 기초 자료와 농가 간 생산성 차이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생산성 극복 기술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근역 제한이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zone Restriction on Growth and Fruit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

  • 이범선;박순기;장영식;정순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임시총회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142-145
    • /
    • 1998
  • 근권용량을 2, 4, 6, 8 및 10$\ell$로 제한하여 펄라이트를 채워 오이를 재배한 결과 근권용적이 증가할수록 초장, 경경, 엽수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고, 과실수와 과실중량에서는 근권용적이 큰 8$\ell$와 10$\ell$의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기형과 발생률도 낮은 경향이었다. 근권용적 6$\ell$를 기준으로 미만의 처리구에 비해 이상의 처리구에서 경으로의 건물분배가 줄어들고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땅콩의 초형별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III. 초형별 건물생산능력과건물 분배율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lant Types in the Peanut(Arachis hypogaea L.) III. The Differences in Dry Mat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Ratio of Dry Matter Produced among Plant Types)

  • 이정일;박용환;박연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8
    • /
    • 1985
  • 땅콩의 초형, 재배양식에 따른 건물생산능력 및 건물분배율을 구명하고저 virginia소립종, virginia대립종, spanish, valencia, shinpung의 5초형에 속하는 10품종을 공시, 재배양식 2수준(피복, 무피복)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다음과 같다. 1. 건물생산량은 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large seed 1,556g/$m^2$, virginia-small seed 1,347g/$m^2$, shinpung 1,307g/$m^2$, spanish 1,170g/$m^2$, valencia 1,120g/$m^2$이었으며 무피복재배에서는 virginia-large seed 1,389g/$m^2$, virginia-small seed 1,267 g/$m^2$, shinpung 1,192g/$m^2$, spanish 1,066g/$m^2$, valencia 1,035g/$m^2$였다. 2. 최대건물생장속도(CGR)는 virginia-large seed 19.61~20.03g/$m^2$/day, virginia-small seed 18.22~23.4lg/$m^2$/day, shinpung 16.33~19.77g/$m^2$/day, spanish 13.86~16.28g/$m^2$/day, valencia 14.97~16.25g/$m^2$/day였다. 3. 엽면적지수(LAI)는 무피복재배보다 피복재배에서 높았는데, 피복재배의 경우 virginia-large seed 17.2 >virginia-small seed 7.0 > spanish 5.5 > valencia=shinpung 5.4순이었고, 무피복재배에서는 virginia-large seed 6.1 > virginia - small seed 5.8 > spanish 5.0 > valencia 4.9 > shinpung 4.4 순으로 virginia-large seed가 피복, 무피복재배에서 모두 높았다. 4. 경, 엽, 근의 건물분배율은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협실의 건물분배율은 증가하는 경향으로등숙초기(7월말)에 있어서 피복재배의 경우 shinpung 86%> virginia-small seed 64%>virginia-large seed 63%>spanish 45%>valencia 44%순이었으며 무피복재배에서는 shinpung=spanish=valencia 60%> virginia - large seed 45%> virginia-small seed 40%순으로 shinpung type이 등숙초기에 건물분배율이 가장 높았다.

  • PDF

고압나트륨등 조사가 파프리카의 동적 생장과 건물분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igh Pressure Sodium Lamp Lighting on the Dynamics of Growth and Dry Mass Partitioning in Sweet Pepper Plant)

  • 김은정;이상현;이정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65-57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압나트륨등 광원(HPS)을 조사하여 파프리카의 동적생장과 기관별 건물분배율 및 광이용효율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파프리카 육묘는 2010년 9월 29일에 $m^2$당 3.75주를 정식하여 2010년 12월 14일부터 HPS 광원을 실험종료일까지 하루 16시간 조사하였다. HPS 처리는 엽수를 증가시켰으나, 절간수와 엽면적에는 미비한 영향을 미쳤다. HPS 처리구의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짧았으나, 줄기당 착과수의 증가를 나타냈다. 줄기와 과실 및 총건물중은 HPS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각각 28.5%, 97.1%, 67.8%를 증가시켰다. 총 건물중의 증가율 대비 엽과 줄기 생장율을 비율로 나타낸 각 기관의 건물분배율은 생육초기에 45-47%로 동일하다가 과실의 생장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영양생장기관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대조구에서 HPS 처리구보다 4% 높았다. 과실로의 평균 건물 분배율을 HPS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14.2% 증가하였다. 동적생장량은 지수선형함수의 최대상대생장율, 최대 절대생장율 및 손실일수로 잘 묘사할 수 있었다.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엽의 최대절대생장율은 18.6%, 줄기는 74.7%, 과실은 143.5%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 건물중에 대한 광이용효율(LUE)은 HPS 처리구에서 $4.90g{\cdot}MJ^{-1}$로 대조구의 $3.84g{\cdot}MJ^{-1}$ 높았으며, 영양생장기관의 LUE는 HPS 처리구가 $1.56g{\cdot}MJ^{-1}$로 대조구의 $1.61g{\cdot}MJ^{-1}$보다 약간 낮았으며, 과실 생산에 대한 LUE는 처리구가 $3.34g{\cdot}MJ^{-1}$로 대조구 $2.23g{\cdot}MJ^{-1}$보다 49.8% 증가하였다. 처리간 총 건물중의 LUE의 차이는 HPS 처리구의 과실생산에 대한 LUE가 높았기 때문에 발생되었다.

정식 후 주야간온도차에 따른 착색단고추의 초기 생육 (Early Growth of Sweet Pepper by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after Planting)

  • 김호철;구양규;이용범;이정현;최준호;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7
    • /
    • 2013
  • 본 연구는 고부가가치 작물인 착색단고추를 대상으로 정식 후 초기 생육에 대한 주야간온도차(DIF)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DIF는-6($20-26^{\circ}C$), 0($23^{\circ}C$), 3($24.5-21.5^{\circ}C$) 및 6($26-20^{\circ}C$)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10주 동안 DIF 3과 DIF 6 처리에서 DIF-6과 DIF 0 처리보다 생장 속도가 빨라 초장이 더 길었다. 주당 엽면적은 DIF 3 처리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정식 후 10주째에는 가장 넓었다. 주당 생체중은 DIF-6 처리에서 다른 처리들의 74-77%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건물중과 건물률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 DIF-6과 DIF 6 처리보다 높은 경향이었는데, 특히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후부터 건물률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정식 후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DIF 0과 DIF 3 처리에서는 정식 6주 이후 10주째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DIF-6과 DIF 6 처리에서는 정식 8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정식 후 10주 동안 모든 처리에서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이 줄기보다 높았고, DIF가 높은 수준일수록 잎으로의 건물분배율은 낮아지고 줄기로의 건물분배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착색단고추 재배 시 정식 후 초기에 주간온도와 야간온도 차이를 너무 크게 관리하면 생육이 저하되는데, 특히 주간보다 야간 온도를 높게 관리할 때에 더욱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횡하중 분배방법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 Structures Based on the Adaptive Lateral Load Distribution)

  • 이동근;최원호;정명채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9-58
    • /
    • 2004
  •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 분야에서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해서는 비탄성 지진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예즉할 필요가 있다. 성능기초 설계기준에 반영되어 있는 내진성능 평가 방법 가운데 하나인 pushover해석을 이용한 방법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해석 방법론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비탄성 전체 또는 국부적 지진응답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횡하중 분배가 구조시스템과 지반운동의 동적특성에 부합되도록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구조물의 변형능력을 합리적으로 평가하여 성능점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적응적 횡하중 분배방법과 건물의 등가응답을 이용하여 비탄성 지진응답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건물의 전체 비탄성 거동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고 국부적인 비탄성 지진응답을 정확하게 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방법의 정확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비탄성 시간이력해석과 기존의 다른 해석방법들에 의한 비탄성 지진응답과 비교하였다.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TV 제어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V Controlling System for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 이형;최현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301-302
    • /
    • 2013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특정 지역 내에 공청방송시스템과 인터넷 망이 설치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서 콘텐츠 송출 시스템과 콘텐츠 분배기 및 TV 제어기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의 목적은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긴급방송 콘텐츠를 송출하여 이를 TV를 통해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 강제적으로 시청하게 함으로써 재난정보를 알리는 것이다. 그 지역 내의 일반적인 인프라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콘텐츠 송출시스템과 콘텐츠 분배기는 LAN에 연결되며 콘텐츠 분배기와 TV 제어기는 RF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며, TV 제어기는 IR로 TV를 제어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재난경보방송 외에도 안내정보 등을 공유하려는 목적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펄라이트 배지량이 양액재배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strate Amount of Perlite on the Growth and Fruit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 박순기;정순주;서범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65-274
    • /
    • 1999
  • 본 연구는 perlite를 이용한 오이의 양액재배시 적정 배지량과 근권용적을 구명하고자 용기의 크기가 2, 4, 6, 8 및 $10{\ell}$인 플라스틱 포트에 펄라이트를 채워 오이를 양액 재배하였다. 근권용적이 증가할수록 초장, 경경, 엽수 및 엽면적이 증가하였고, 과실수와 과실중량에서는 근권용적이 큰 $8{\ell}$$10{\ell}$ 의 처리구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기형과 발생률도 낮은 경향이었다. 근권용적을 $6{\ell}$ 이상으로 하였을 때 경으로의 건물분배가 줄어들고 엽으로의 건물분배가 많았다. NAR과 CGR은 근권용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권용적에 관계없이 본 실험 범위내에서는 LAI가 증가할수록 NAR과 CGR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Claims problem을 활용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분석 (Allocating CO2 Emission by Sector: A Claims Problem Approach)

  • 허윤지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1권4호
    • /
    • pp.733-753
    • /
    • 2022
  • 우리나라는 201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이하 NDC)를 수립한 이래, 2019년 한 차례 수정 후 지난해 말 상향안을 발표하였다. 전환, 산업, 건물 등 각 부문별 탄소배출량은 NDC 목표 달성을 위해 설정된다. 본 연구는 협조적 게임이론의 claims problem 또는 파산문제(bankruptcy problem)를 활용하여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분석한다. Claims problem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5개의 분배규칙을 정의하고 각 규칙의 특성을 공리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NDC 목표 달성을 위한 부문별 탄소배출량 분배문제에 각 분배규칙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정부목표와 비교분석하였다. 전환 부문에 책정된 정부목표는 5개 분배규칙에서 할당하는 배출량보다 낮은 반면, 산업 부문의 정부목표 배출량은 5개 분배규칙의 결과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부문은 정부목표가 클레임 수준에 비례하여 배출량을 할당하는 분배규칙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