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개인 효능감

Search Result 80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ffect of Career Stres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동기의 순차적 매개 효과)

  • Hye-Ran Lee;Hyun Kim;Byung-Hwan Hyu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3
    • /
    • pp.241-249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dividu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ho successfully set career goals, plan for achieving goals, and specifically practice the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a survey of 300 four-year college students nationwide, career stress negatively affected career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sequentially mediated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significant that college students found personal variables necessary to successfully prepare for career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al Capita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Efficacy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 디지털 기기 이용 효능감 매개효과 검증)

  • Jun-Su Kim;Woo-Hong Cho;Young-Eun Jang;Kil-Hee Byon;Dea-Hun Choi;Mee-Ky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27-3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특성, 정보화기기 중 PC, 모바일 기기 활용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남성보다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았고, 나이가 많은 사람, 월평균 소득이 높은 사람, 다른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노인의 사회자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립변수인 PC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고, 모바일기기 활용 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능력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이 매개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pc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경로와 모바일기기 활용능력 → 디지털기기 이용 효능감 → 사회자본에 이르는 매개효과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정보화기기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노력과 단순한 컨텐츠 위주의 교육에서 보다 실용적이고 즉시적인 교육 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of Corporate Organization Members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Song, Chan-sub;Noh, Yeon-Sook;Lee, Da-Jeong;Lee, Sun-Ky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187-198
    • /
    • 2020
  •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centl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o improve organizational creativity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firmed its effe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3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manufacturing workers in Gyeongbuk.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ffects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ffects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were examined. These findings can provide guidelines for corporate strategy development direc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창업교육의 전문성과 다양성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철효과를 중심으로

  • Han, Ga-Rok;Lee, Jae-E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09-113
    • /
    • 2020
  • 본 연구는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이 창업동아리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12개 대학교에서 수집된 657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의 전문성(깊이)은 진취성과 혁신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의 다양성(폭)은 위험감수성, 진취성, 혁신성 모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진취성 간의 관계와 창업교육 전문성(깊이)과 혁신성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전문성(깊이)과 다양성(폭)의 측면으로 구분하고 대학교 창업동아리 구성원들의 기업가정신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창업교육 연구 분야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Factors for Efficacy and Purpose of Starting Business after Middle Aged Workers' Retirement (중년 직장인의 퇴직 후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hoi, Myung-Hwa;Cho, Sung-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226-241
    • /
    • 2014
  •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icacy and purpose of starting new business after their retirement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factors, founder's innovational mind, achievement desire, risk-taking mind and family support.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346 middle-aged employees working in Seoul and Kyonggi-do are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ersonal achievement desire and risk-taking mind strongly affected the efficacy of starting new business. Second, innovational mind, achievement desire and risk-taking mi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pose of starting new business. Third, family support had a moderate effect between achievement desire and the efficacy of the starting new business.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Trai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창업교육과 개인적 환경요인 및 개인적 특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Jung, Kyung-Hee;Sung, Cha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6
    • /
    • pp.179-18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individual environmental factor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total of 346 university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role model, family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le gender were not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s study reconfirms the importance and change of recogni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enhancing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ole model and family entrepreneurial experience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특성의 조절효과

  • ;;Marc H. Meyer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93-99
    • /
    • 2023
  • 경기 침체와 더불어 고용 불안, 그에 따른 사회의 혼란 속에서 국가의 성장 동력의 대안 중 하나로 창업 활성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 활성화를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특히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 등의 개인적 역량 요소가 창업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계의 연구활동 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접근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교육 활성화부터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창업 롤모델 활용, 미디어를 통한 창업 활동 홍보 등 긍정적인 창업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 외에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과 함께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26버전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고 GEM KOREA의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특징은 문화적 특성을 집단주의와 관계주의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문화적 특성 중 집단주의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계주의 특성이 유의하여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는 국가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창업의도가 없거나 낮은 개인들도 관계주의 특성을 활용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론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한국은 집단주의 보다 관계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관계주의 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선배 창업가 또는 로컬 창업가들과의 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미 설계된 GEM 데이터를 활용하였다는 점, 문화적 특성이 각기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SNS Self-Efficacy,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Missing Out on SNS Addiction Proneness :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SNS 효능감, 사회비교 성향,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 유학생을 중심으로)

  • Lee, Jang Geun;Lin, Han;Liu, Jiayu;Chung, Yongk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137-149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d how personal traits such as SNS self-efficacy, comparison orientation, fear of missing out are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n online survey of 232 Chinese students in Korea showed that the personal trait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dimensions of SNS addiction proneness. Fear of missing out i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ll three sub-dimensions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the other hand, SNS self-efficacy and comparison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some of the sub-dimension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reativity, Team Trust, Team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Collaborative Learning at Universities (대학 협력학습에서 개인창의성, 팀신뢰, 팀효능감 및 집단지성의 구조적 관계)

  • Song, Yun-He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9
    • /
    • pp.173-182
    • /
    • 2020
  • In recent years, collaborative learning in university courses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improve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literature reviews, individual creativity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istic, team trust and collective efficacy were used as variables of teams to see the relationship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Data were collected from 770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Gyeonggi-do, H University in the Daejeon, and K University in Chungcheong-do, and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s results, individual creativit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eam trust also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ctive efficac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llective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will be able to utiliz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ie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the universities.

The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Heo, Yang Won;Kim, Seon Yu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337-35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eaching methods among elementary school math teacher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in examinations. Results are based upon data from two elementary schools. The evaluation criteria of fifteen items was modified from Ryang's original MTEBI sixteen items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 teaching 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ing efficiency: higher teaching efficiency and lower teaching efficiency. A comparison of math tests taken by students from these groups demonstrate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Students with teachers in the lower efficiency group are likely to under-perform. In consequence,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is considered to affec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