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혁신성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7초

LTE 특성과 개인의 혁신성이 LTE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TE Characteristic and Personal Innovativeness on LTE Smart Phone Acceptance)

  • 구승환;김동우;박창묵;김광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91-301
    • /
    • 2013
  • 본 연구는 LTE 스마트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LTE 스마트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변수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LTE의 특징변수와 개인적인 특징에 관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설문대상은 LTE 스마트폰의 주 사용자 층을 감안하여 20대를 위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TE 스마트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의 혁신성, 속도, 가격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마케팅 전략을 입안함에 있어 속도뿐만이 아닌 개인의 혁신성 및 가격에 관한 사항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가 추가되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고 효과적인 마케팅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도서관 모바일 이용 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Behavior of Library Mobiles)

  • 곽지혜;김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3-247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이 도서관 모바일 이용도와 도서관 모바일 콘텐츠 이용 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개인적 특성의 변인들로는 대학생의 성별, 전공, 학년, 대학, 인지된 유용성, 개인적 혁신성 및 스마트폰 의존도를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는 두 개의 대학들의 학부생 3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전공, 학년, 인지된 유용성 및 개인적 혁신성은 모바일 이용도에, 그리고 성별, 전공, 대학 및 스마트폰 의존도는 모바일 콘텐츠 이용 패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효율적인 대학도서관 모바일 구현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확장현실 기기의 혁신저항과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Adoption Regarding a EXtended Reality Devices)

  • 진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18-9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확장현실(XR)의 개념을 정의하고 산업별로 어떻게 응용되고 있으며 향후 어떻게 발전할지 살펴보고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과 혁신저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용·저항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각 잠재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첫째, 개인 혁신성이 XR 기기에 대한 UTAUT2의 수용변수(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수용변수들은 XR에 대한 태도와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XR의 기술변화속도가 기능적, 경제적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지각된 위험은 기술변화속도와 혁신저항을 매개하고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XR 기기에 대한 혁신저항은 수용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XR의 수용·저항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개인 혁신성과 UTAUT2의 주요 변수들과 지각된 위험요인들이 기술변화속도와 혁신저항을 매개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장적·통합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XR과 같은 혁신기술이 시장확산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만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개인특성 및 시스템특성이 기술혁신제품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클라우드 컴퓨팅을 대상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ystematic Characteristics on the Acceptance of Technologically Innovative Products - With Focus on Cloud Computing -)

  • 박철우;정해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63-76
    • /
    • 2012
  • 기술혁신제품에 대한 사업화의 성공 여부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정도에 달렸다. 따라서 기술혁신제품 사용자의 수용의도와 사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제품인 클라우드 컴퓨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제품의 사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은 TAM 모형을 확장하면서 태도와 사용행위를 제외하고 수용의도만 검증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태도와 사용행위 그리고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을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특성의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수용의도에, 지각된 비용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각각 정(+)의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클라우드 컴퓨팅의 시스템특성인 보안성은 수용의도에, 혁신성은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용자들의 활용특성인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 및 사용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한 서비스가 대중적으로 확산되지 않은 현시점에서 수용 및 사용행위에의 영향변수를 제시함으로서 정책적 방향 및 사업화 전략에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 PDF

컨설턴트의 역량이 서비스 품질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창의성과 혁신성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ervice qualit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 이정애;서영욱;이정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77-584
    • /
    • 2020
  • 본 연구는 경영 컨설턴트의 역량(개인능력, 전문성)과 컨설팅 서비스 품질(신뢰성, 확신성)이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컨설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62개 기업( 80명)의 표본자료를 SPSS 25.0와 Smart PLS 2.0을 활용, 통계를 바탕으로 처리하여 빈도 분석과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턴트 역량의 개인 능력과 전문성은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둘째,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 또한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p<0.001, p<0.05). 단,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은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미한 것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조직성과 부분에서 조직의 창의성은 조직의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p<0.001)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하면, 경영 컨설팅의 경우 컨설턴트의 역량 및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에 따라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컨설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컨설턴트는 개인의 능력 및 전문성,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이 내재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전략을 구축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중소기업 컨설팅의 품질을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이 요구되는 중소기업들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impact of host's personalized offline services and platform ease of use on shared homestay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Zou, Ji-kai;Yoon, Su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09-118
    • /
    • 2021
  • 전통적인 경제 모델과 달리 공유 경제 모델에 있어 "공급"과 "소비"의 관계에서 가장 큰 변화는 공급자가 비표준화 된 개인 공급자가 되어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개인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신뢰 문제도 있을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에어비앤비를 연구대상으로 공유 홈스테이 모델에 따른 개인화 서비스와 편의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플랫폼 신뢰를 형성하는 소비자의 혁신적 성향의 조절역할을 조사한다. 연구결과, 공급자의 개인화 서비스와 편의성은 공유 경제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지각된 가치에 대한 매개 효과를 통해 소비자의 최종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적 성향은 지각된 가치와 플랫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화 서비스과정에서 긍정적인 조절역할을 하였다.

기술수용모형과 기술 사용자수용의 통합이론을 이용한 공공부문 BSC시스템 수용에 관한 연구

  • 권오준;오재인;서현식;최형섭;임교현;양한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80-688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공공부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성과 관리시스템을 수용하는데 있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분석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 이다. 정보시스템 형태로 구현된 BSC(Balanced Scorecard)기반의 성과관리시스템을 수용대상으로 하고 있어 Davis(1986)의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본 틀로 Venkatech et al.(2003)의 UTAUT(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를 접목하여 연구모형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BSC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 중인 공공부문 기관(회사)을 대상으로 251부의 유효표본을 확보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분석을 통한 가설검정 결과 13개의 가설 중 9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교육훈련, 정보시스템 지원, 최고경영자지원, 개인의 혁신성은 노력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용 자들이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서 보다 쉽게 사용 할 것으로 기대하는데 교육훈련, 정보시스템 지원, 최고경영자지원 등 조직차원의 다양한 지원과 사용자 개인의 혁신성이 요구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성과에 대한 기대의 경로분석 결과 BSC시스템 수용 요인들 중에서 최고경영자지원과 개인의 혁신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부문의 실제 BSC시스템 구축에 대한 사례연구들에서도 지적된 사항이기도 하다. 한편, 노력에 대한 기대는 성과에 대한 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TAM 관련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공공부문 BSC시스템 수용에 있어서도 노력에 대한 기대가 높을수록 성과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을 보여준다.

  • PDF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 수용저항에 대한 개인의 행동: 혁신저항과 불신의 영향 (Inadividual Behaviors Regarding Financial MyData Service Resistance: Impacts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Distruct)

  • 김상현;박현선;손창용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291-314
    • /
    • 2023
  • 데이터 경제의 확산과 함께 개인 데이터를 개인이 주도하는 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해 마이데이터의 개념이 등장했다. 마이데이터는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이 주체적으로 정보를 관리 및 통제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금융 분야에서는 개인이 마이데이터를 2022년부터 도입하여 활발히 활용하고 있으며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빅테크 및 핀테크 기업까지도 적극적으로 가세하여 빠른 확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개인 사용자의 다양한 수용행동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긍정적 수용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저항 및 수용저항에 초점을 두고 사용자의 개인특성과 혁신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정보유출우려, 기술변화속도, 현상유지관성, 정보제공민감성, 기술스트레스가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불신과 혁신저항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수용지연과 수용거부와 같은 수용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금융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 시장에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스마트팩토리 환경의 개인맞춤형 제품 구매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sonalized Product Demand Manufactured by Smart Factory)

  • 우수한;권순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1호
    • /
    • pp.23-41
    • /
    • 2019
  • 스마트팩토리는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최소의 시간과 비용으로 고객맞춤형제품 생산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공장자동화와는 차별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주로 수요자가 아닌 공급자 중심에서 기술 동향 및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하는 공급과정의 효율화 측면에 초점을 두었다. 스마트팩토리가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단순 생산성 향상을 넘어 수요자의 필요충족과 이에 따른 기업 경쟁력 강화로 연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기반의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팩토리에서 제조된 개인맞춤형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비자의 독특성욕구, 혁신성, 실물확인욕구, 프라이버시 염려를 도출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응답자들은 개인맞춤형제품에 대해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개인맞춤형제품의 구매의도에 소비자 독특성욕구와 혁신성 그리고 실물확인욕구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소비자 독특성욕구는 개인맞춤형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beta}=0.172$)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팩토리 방식으로 생산되는 개인 맞춤형 제품은 타인과 차별화 하고 싶은 욕구 및 자신의 선호성향이 반영된다. 따라서 독특성욕구가 높은 소비자는 스마트팩토리에서 제조된 개인 맞춤형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소비자 혁신성은 개인맞춤형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beta}=0.224$)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개인 맞춤형 신발은 다기능 로봇과 3D프린팅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이 적용되어 만들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개인 맞춤형 제품이다. 따라서 혁신적인 새로운 경험을 추구하는 사람일 수록 이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난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실물확인욕구는 개인 맞춤형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 (${\beta}=0.285$)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팩토리 환경에서는 소비자의 제작참여(prosuming participation)가 가능하다. 소비자가 제품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자신의 요구사항을 제품에 반영하면 실물확인욕구를 가상적으로 충족함으로써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이라 판단된다. 넷째, 프라이버시 염려는 개인맞춤형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신에게 적합한 개인 맞춤형 제품의 효용을 크게 느끼는 소비자는 집 주소, 전화번호, 신체사이즈, 선호 성향 등의 개인 정보의 노출이라는 위험을 감내할 의지가 있는 것이라 해석된다.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otential Entrepreneurships in South Korea and China)

  • 안진원;유대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1-223
    • /
    • 2016
  • 동아시아 경제권의 국가들 중에서도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측정하고 양국 잠재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적 기업가라고 여길 수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10명의 한국 대학생들과 157명의 중국 대학생들이 본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들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경제적자유(Economic Freedom), 개인주의(Individualism) 그리고 불확실성 회피성(Uncertatinty Avoidance)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경제적 자유,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한다'이며, 두 번째 연구가설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고 더 개인주의적인 문화에서 기업가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나며 확실성 회피성이 높을수록 기업가적 성향은 더 낮게 나타난다, 세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 정도가 중국 대학생들의 그것보다 더 높다'이다. 설문조사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 보다 자국의 문화에 대해 더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며 개인주의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불확실성 회피성에 있어서는 가설과 동일하게 중국 대학생들보다 한국의 대학생들이 자국에 대해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양국의 대학생들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있어서 각각 다른 문화적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경제적 자유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중국의 대학생들은 불확실성 회피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설과 달리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혁신성에 있어서는 양국 대학생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내재적 통제력에 있어서 중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