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대학 신입생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1초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Freshman in Nursing Colleg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Ability)

  • 오윤희;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31-34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 신입생 179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6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방안으로 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력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따른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 of Nursing Freshmen)

  • 박정원;정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96-7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신입생 89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7일부터 2016년 9월 23일까지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의사소통 스타일은 PC-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스타일별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배려 공감형', '긴장 수동형', '예민 산만형', '촉진 주도형'의 4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은 '긴장 수동형'과 '예민 산만형' 이 '배려 공감형'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배려 공감형'이 '예민 산만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고려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인관계불안 감소 및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학생지도 지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 박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576-158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신입생 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6월11일부터 13일까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 정도는 평균 3.59(5점 만점),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평균 3.01(5점 만점)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15%의 설명력(F=4.629, $p=.001^{**}$)을 보였고, 정서지능의 하부영역 중 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표현을 적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설명력이 16.2%(F=7.627, $p=.000^{**}$)로 증가하였다. 정서지능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업적응과 개인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인 정서지능을 계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코로나19 시대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장마인드셋과 교수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Growth Mindset and Professor Support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Nursing College Freshman in the Era of COVID-19)

  • 채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02-81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장마인드셋, 교수지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소재 간호대학 신입생 248명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10월 4일에서 10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성장마인드셋(r=.51, p<.000), 교수지지(r=.54, p<.00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지지(β=.38, p<.001), 전공만족도에서 매우 만족이라고 답한 대상자(β=.31, p<.001), 성장마인드셋(β=.26, p<.001), 전공만족도에서 만족이라고 답한 대상자(β=.16, p=.015), 여학생(β=.14, p=.00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은 학교생활적응을 44.0%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향후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n Nursing Freshmen' Colleg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 안성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15-3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2020년 8월 31일부터 9월 4일까지 S시 소재의 간호대학 신입생 1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은 연령, 입학 당시 학력, 입학 동기, 성적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이들 변수는 대학생활 적응을 37.7% 설명하였다. 따라서 코로나19로 원격 교육을 받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을 고려한 수업방식과 학생지도가 필요하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of Freshmen in Nursing Colleges)

  • 정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22-33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W 시 소재 K 대학 간호학과 1학년 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일- 28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오픈소스 통계패키지 R을 이용하여 빈도,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은 평균 77.36점으로 다소 높은 다문화 수용성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수용성 관련 요인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인 인정요건(𝛽=0.34, p<.001), 이주민에 대한 지각된 위협 인식(𝛽=0.29, p<.001), 다문화 교육 경험(𝛽=0.14, p<.001), 다문화 교육 적정 연령 인식(𝛽=0.20, p<.001)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관련 정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of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 조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37-2945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3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K시에 위치한 4년제 간호학과 신입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도(r=.352, p<.001), 진로정체감과 대학생활적응(r=.256 p<.01),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r=.219, p<.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진로정체감과 전공만족도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귀모형의 45.0%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Humanity,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 방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09-41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시 지역 간호학과 신입생 190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 친구 수였으며,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성(β=.659, p<.001)이었고, 셀프리더십(β=.274, p=.001), 친구 수(β=.258, p=.003)순이었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51.2%이었다(F=40.72, p<.001). 또한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인성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 Q Methodological Approach)

  • 박정원;정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329-3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방법은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으로 구성된 P 표본 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Q 표본 55개의 진술문을 11점 척도 분포도에 분류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개방적 교류 촉진형', '타인배려 경청형', '비판예민 긴장형', '교류회피 관찰형'으로 추출되었다. 개방적 교류 촉진형은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개방적으로 자아를 노출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유형이다. 타인배려 경청형은 자신보다는 타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여 신중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스타일이다. 비판예민 긴장형은 비판에 예민하고 긴장하며 산만한 스타일로 친밀한 교류가 어려운 유형이다. 교류회피 관찰형은 자기를 노출하지 않고, 타인을 관찰하면서 상호교류에 무관심한 방관자 스타일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an)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04-113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 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성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였다. 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1학년 총 345명을 2015년 11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조사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의 전체 평균평점은 $2.91({\pm}0.52)$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2.79({\pm}0.60)$점, 전공 만족도는 $3.55({\pm}0.47)$점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남학생 군(p=.004), 입학동기가 높은 연봉 군(p=.027),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군(p<.001), 성적은 평점이 4.1이상 군(p=.005)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남학생 군(p=.040), 입학동기가 해외진출 군(p=.047), 향후 진로가 보건교사 군(p=.015),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 군(p=.014), 성적이 4.1이상 군(p<.001)에서, 전공만족도는 입학 동기가 높은 연봉 군(p=.004),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 군(p<.001), 성적이 4.1이상 군(p=.002)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p<.001), 전공 만족도(p<.001)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 만족도(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설명력은 23.1%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제도적인 접근전략의 개발과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