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간호교육 프로그램

검색결과 1,593건 처리시간 0.027초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Marital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on Happiness in middle aged women)

  • 신매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78-388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39명으로, 평균연령은 54.15±6.38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간의 차이,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 평균 3.46점((1-5점), 부부의사소통 평균 2.44점(1-5점), 정신건강 평균 1.82점(0-4점), 행복감 3,21점(1-5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서 행복감의 차이는 교육수준(F=3.406, p=.035), 주관적 건강상태(F=7.38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행복감은 자아탄력성(r=.393,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체화(r=-.134, p=.039), 우울(r=-.356, p<.001), 불안(r=-.269, p<.001)과는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우울(β=-.437, p<.001)자아탄력성(β=.350, p<.001), 신체화(β=.239 p=.009), 건강상태: 보통(β=-.150, p=.009), 나쁨(β=-.147, p=.015)로 30.4%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4.02,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질적 내용분석 연구 (Perception about Shared Decision Making of Family Caregivers of Early Dementia Patient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 김윤재;송준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501-51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3개 치매지원센터에 등록된 초기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제공자 12명(여성 8명, 평균연령=$71.4{\pm}10.4$세)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내용 분석한 결과 6개 범주, 17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치매환자 가족 돌봄제공자의 공유 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은 치매환자와의 의사소통 촉진 수단과 치매환자의 자율성 보장 수단, 치료 촉진 기회, 가족 돌봄제공자의 부담감 증가 원인, 치매환자와의 관계 악화 원인, 우선순위 변화에 따른 선택 사항의 여섯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의사결정의 상황과 시기 및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이 가족 돌봄제공자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 관련 교육 시 간접경험을 통해 공유 의사결정을 선택 사항으로 생각하는 가족 돌봄제공자들에게 공유 의사결정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공유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 결과에 근거하여 초기 치매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가족 돌봄제공자들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유 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총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를 제언한다.

남자노인 1인가구의 거주지 주변 활동공간 이용실태 및 요구 분석 (The Use and Needs of Activity Spaces Near Housing Environments of Single Elderly Men Households in Korea)

  • 박성신;이민아;신영화;박영례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265-297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노인 1인가구의 공간복지를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전북 군산시에 거주하는 18명의 남자노인 1인가구의 활동공간 이용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남자노인 1인가구의 사회정서적 네트워크는 친구나 동료에 집중되었고, 자녀및 노인과의 교류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웃과의 네트워크는 희박하였다.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공원이나 식음공간, 커뮤니티 시설과 같은 제3의 장소와 명확한 경계를 가진장소에서 주로 이루어졌고, 희망하는 공간은 식사제공, 노인 공동생활, 일거리, 취미여가활동, 시설개선 등과 관련이 있었다. 활동공간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거주지역과 건강으로 분석되었고, 이 외에 사회정서적 네트워크와 경제적 상황, 취업여부 또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활동반경의 범위가 좁은 비활동적 노인들을 위해 거주지와 근접한 장소에 산책 및 여가 공간 등을 위치시키고, 이동을 지원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지역 주민들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기관 내 교육, 취미여가공간이나 젊은 세대와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공간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거주지 주변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정기적인 수선, 유지관리, 그리고 올바른 이용을 위한 주민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는 남자노인들에게 필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지원하는공간과 원활한 운영이 가능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성매개감염병 취약군의 성매개감염병에 대한 건강신념과 예방행동 및 영향요인 (Health Beliefs, Preventive Behaviors, and Influencing Factors 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of Vulnerable Group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STI))

  • 정애숙;장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46-356
    • /
    • 2020
  • 본 연구는 성매개감염병 취약 대상자의 STI 건강신념을 확인하고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관련업소, 단체 종사자 및 보건소 내소자 등 241명이며, 연구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우편 혹은 방문을 통한 자기기입형 설문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점 리커트 척도에 근거하여 지각된 민감성은 2.70점, 지각된 심각성은 3.63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유익성은 3.82점,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은 2.45점,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 3.93점 및 STI의 예방행위는 3.51점이었다. STI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콘돔사용의 자기효능감(��=.23, p=.003)과 콘돔사용의 지각된 장애성(��=-.15, p=.035), 교육수준(��=.16, p=.018)이 유의하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17.0%이었다. 결론적으로 성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인식개선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 competence of Allied Health College Students

  • Kwag, Youn-K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49-156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대인관계성향 및 정서지능의 영향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9년 11월 29일부터 12월 16일까지 B시의 일 대학교 간호학과 및 물리치료학과 재학생들에게 질문지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7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 4.10, 8개 대인관계유형 중 사려성-비사려성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지능 평균은 2.73이었다.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유의한 영향을 끼친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 공격성-비공격성이었고, 설명력은 29.4%였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대인관계성향은 주도성-동조성이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정서지능은 자기감정표현, 타인조절, 동기화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24.0% 이었으며, 가장 영향력이 큰 정서지능은 동기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계열대학생들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에 있어 그들의 대인관계성향과 정서지능 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기반 마음교양강좌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ind Liberal Arts Course based on Mindfulness f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서태화;정미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9-29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기반 마음교양강좌를 적용한 후 마음교양강좌가 여대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마음챙김 기반 마음교양강좌를 수강하는 42명의 여대생을 단일군으로 선정하여 8주 동안 주 1회, 회당 50분씩 마음공감 프로그램을 중재로 적용하였다. 중재 전 지각된 스트레스,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설문지 조사 및 뇌파를 측정하였고, 8주 중재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는 중재 전 1.85점에서 중재 후 1.66점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3.44, p=.001). 마음챙김의 변화는 중재 전 3.10점에서 중재 후 3.1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78, p=.008), 하위 영역별 분석결과 기술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66, p=.001).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는 중재 전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하위 영역별 분석결과 자율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70, p=.010). 또한 뇌파 검사에서는 상대세타파 중 19번 채널, 상대빠른알파파 중 7, 10 채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마음챙김기반 교육과정 개선, 교수법 다양화, 교육환경개선 등을 통한 추가 연구를 제언한다.

시뮬레이션 기반 병원 전 외상 교육 과정에서 구조화된 동영상을 적용한 사전브리핑이 몰입감, 자신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briefing using Structured Video in the Pre-hospital Trauma Care Simulation-based Education)

  • 박시은;곽유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21-4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전 외상환자 시뮬레이션에서 동영상을 이용한 사전브리핑이 전통적 사전브리핑을 적용한 그룹에 비해 시뮬레이션 몰입감, 시뮬레이션 자신감, 시뮬레이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대조군 실험설계 연구이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오리엔테이션을 수행했다. 이후 실험 그룹은 훈련의 목표와 결과가 제시된 시나리오 상황과 유사한 약 8분 분량의 비디오를 시청했으며. 반면 통제 그룹은 같은 시간 동안 시나리오와 관련된 고전적인 오리엔테이션 방식을 수행했다. 또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은 같은 상황에서 12분 동안 시뮬레이션 실습을 하였으며, 같은 연구자가 40분 동안 디브리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참가자들의 시뮬레이션 몰입감, 자신감, 만족도를 측정했다. 데이터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상을 활용한 사전브리핑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몰입감과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만족도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구조화 된 비디오를 사용한 사전브리핑이 시뮬레이션 몰입감과 시뮬레이션 자신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고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Gender Equality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Upper Grade Students)

  • 이주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99-5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5, 6학년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을 확인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효과적인 양성평등 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시와 A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에 관해 설명하고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대상자의 성별, 학년, 형제 수 등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에 따른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양성평등의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47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은 사회문화생활 영역은 평균 3.51점, 가정생활 영역은 평균 3.49점, 학교생활 영역은 평균 3.47점, 직업생활 영역은 3.38점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야 하며, 가정, 학교, 사회는 공동으로 양성평등한 문화 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향후 초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CAI 개별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금연 교육과 강의식 금연 교육의 효과 비교 - 실업계 남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Smoking Cessation Education between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nd Lecture - Focused on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

  • 이은숙;김정남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4-9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education between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and lectures for smoking cessation among male students who attended vocational high schools. Conducted from February 24th to April 26th, 2003, the study design was quasi-experimental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60 male students in K vocational high school in Daegu city, who were present smokers and had more than 7.0 ppm concentration level of carbon monoxide. Thirty students were randomly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CAI education method for smoking cessation. The other 30 students served as the control group which received lecture education method of 40 minutes on four consecutive days.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composed of ready-made individual learning contents, counseling by using cyber-communication, writing a letter to stop smoking, and writing a written agreement for smoking cessation.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composed of a ready-prepared lecture for the group, writing a letter to stop smoking, and writing a written agreement for smoking cessation. To measure smoking related knowledge, Jeong Ree Roh(1996)'s smoking related knowledge scale$(Cronbach's\;{\alpha}=0.84)$ was modified and us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smoking related attitude, Jeong Ree Roh(1996)'s smoking related attitude scale$(Cronbach's\;{\alpha}=0.91)$ was modified and used by the researcher. Smoking related knowledge scale's Cronbach's $\alpha$ was 0.83 in the pilot study and 0.93 in this study. Smoking related attitude scale's Cronbach's a was 0.80 in the pilot study and 0.98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smoking amount,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was checked. The concentration level of CO in the exhaled breath was measured (Micro CO Cat. No. MCO2, UK). Data was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simple main effects, and time contrast test with SPSS/Win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Smoking-related knowledge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ill be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y using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not supported.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Smoking-related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ill be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y using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supported(F=6490.79. p=0.000). 3. The third hypothesis. that 'Smoking amount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ill be les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y using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supported. 1) The third-1st sub-hypothesis. that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ill be less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y using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supported(F=134.19. p=0.000). 2) The third-2nd sub-hypothesis. that 'The concentration level of CO by ppm per one exhaled breath in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ill be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y using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was supported(F=268.55. p=0.000). From the above results. CAI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moking-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and to reduce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and the concentration level of CO by ppm per one exhaled breath. Lecture education can be effective to improve smoking-related knowledge. In the future, when CAI education and lecture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are applied on the school nursing field. the students can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moking cessation, changes in smoking-related knowledge. smoking-related attitude and reducing smoking amount. Furthermore,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could be developed as an individual self initiative program and could give a guideline to apply CAI education for smoking cessation in other field.

  • PDF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현황 및 과제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Hospice.Palliative Care in Korea)

  • 이건세;주지수;김정회;김건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4호
    • /
    • pp.196-205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현재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의 인력 및 시설, 제공서비스 등이 말기 암환자 전문의료기관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향후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되었으며 설문내용으로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의 일반현황, 인력현황, 시설현황, 장비현황, 호스피스 서비스 운영현황 등을 포함하였다. 총 62개 의료기관이 응답하였다. 결과: 전체 62개 기관 가운데 42개 기관이 종합병원 이상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9개 기관에서 호스피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의료기관은 수도권 지역 위주로 분포하고 있어 지역적인 불균형 공급을 보이고 있다. 의사의 경우 환자 10명당 1인의 의사를 갖추고 있는 기관은 종합병원 이상(80.0%)인데 비하여 의원의 경우 이 기준을 충족하는 비율은 낮았다(42.9%). 간호사의 경우 호스피스 간호를 위해 필요한 조건인 환자 1.5 명당 1인의 기준에 충족하는 기관은 의원급(71.4%)이 종합병원 이상의 기관(65.0%), 병원(50.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지원기관의 기준에 해당하는 1병실 4인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은 전체 62개 기관에서 14개 기관으로 22.6%를 차지하고 있었다. 호스피스 환자들을 위한 특수요법의 경우는 의원급(66.7%), 병동 및 독립형(64.9%), 지원 사업 기관(73.9%)일수록 2개 이상의 특수요법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 및 사별관리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임종관리, 장례준비, 유가족지지모임, 사별가족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의 비율이 높았으며, 의원급, 병동 및 독립형, 지원 사업 수록 실시율이 높게 나타났다. 팀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의원급(55.6%), 병동형 및 독립형(55.8%), 지원기관(65.2%) 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시행하고 있었다. 현재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곳은 절반 수준인 32개(51.6%) 기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것은 호스피스 기관을 양적으로 확대하는 것과 함께 지역적인 분포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과 아직도 호스피스 지원 기관의 인력, 시설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스피스 기관의 종별 특성에 따라 인력 및 시설 확보 수준, 프로그램 운영에 차이가 있으므로 시설의 특성을 고려한 개선 방안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