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변정보판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의 운전자 선호도 평가 모형 개발 (Develop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Drivers' Preference on Route Diagrams of Variable Message Sign)

  • 권혜리;김병종;김원규;유수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7-65
    • /
    • 2014
  •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은 운전자들의 경로선택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운전자의 이해도와 시인성이 높아 도심부 도로 및 고속도로에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에 대한 운영방안이나 지침 등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 표출면 구성에 따른 운전자의 선호도를 평가하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차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실험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표출면의 구성요소 중 도로선형, 외곽선, 문자체 등의 디자인적인 요소보다는 문자높이, 노드수 등의 정보 제공 량이나 시인성과 관련된 부분이 운전자의 감성요인과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형식 가변안내표지판의 제공 정보 단위 수는 11단위 또는 12단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행시간을 제공할 경우 3개의 노드, 통행시간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5개 노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적정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변안내표지판을 설치할 때 운전자의 감성요인과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표출면을 설계하여야 한다.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의 효율적 전력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f Effective Power Management for Infrafree Variable Message Sign)

  • 임세미;이지훈;박준석;김병종;김원규;손승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3-62
    • /
    • 2011
  •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정책의 일환으로 가변안내표지판의 보급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지역별 교통 정보 제공의 불평등 및 비효율성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및 통신선 구축이 어려운 인프라 취약 지역에서도 도로상황 및 기상상태 등의 교통정보 제공을 위해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을 제안하였다.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은 인프라 취약지역에서 운영되므로 그 특성상 시스템 구성, 운영방안 등에서 일반형 가변안내표지판과는 차별성을 가지므로 그 특성을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태양광 발전으로 획득된 한정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를 고려한 배터리 체결구조와 가변안내표지판의 표출 메시지에 따른 전력 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프라 독립형 가변안내표지판뿐만 아니라 병렬 구조의 배터리가 사용되는 다양한 용도의 어플리케이션의 전력 제어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HSV와 가변 모폴로지를 이용한 빠르고 강인한 차량 번호판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st and Robust Techniques for Detection of Car Plate using HSV and Weighted Morphology)

  • 이병모;박은경;차의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365-370
    • /
    • 2002
  • 본 논문은 차량의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구축할 목적으로 번호판 추출을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실험은 특히 번호판 추출에 많은 장애 요인, 즉, 흐린날, 늦은 오후에 촬영된 차량, 번호판과 같은 색상을 가지는 차량, 그늘진 곳에 주차된 차량 그리고, 운행중인 차량에 대해서도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빠른 번호판 검출을 위하여 부분 영역에 대한 특정 픽셀을 추출하였고, 변형 모폴로지와 레이블링의 반복 적용을 통하여 번호판을 검출하며, 후처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영역을 재보정 한다.

  • PDF

워터마킹 기법을 이용한 FM-VMS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Fabrication FM-VMS using Watermarking Method)

  • 문병섭;박범진;원영수;김철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3-50
    • /
    • 2010
  • FM-VMS는 교통정보제공을 위해 구축한 가변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s, 이하 VMS) 문자정보를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와 같이 동시에 변조시켜 송출하는 시스템으로, 본 논문에서는 VMS에 제공되는 교통정보를 FM 주파수를 이용하여 이동차량에 대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여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가변전광 표지판으로부터의 VMS 정보와 연동한 교통소통정보를 오디오와 문자정보로 변환하여 FM방송을 통해서 자동차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변안내표지판 메시지 표출형식 및 지체수준 별 운전자 우회율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Diversion Rate by The types of Display and The levels of Delay on VMS (Variable Message Sign))

  • 유수인;김병종;김원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4-67
    • /
    • 2013
  • 본 연구는 가변안내표지판(VMS, Variable Message Sign)의 표출방식과 제공되는 정보의 지체수준에 따른 운전자 우회율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운전면허소지자를 대상으로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주행 실험 후 SP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문자식과 도형식 간 표출형식에 따른 운전자 우회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우회도로가 원활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근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도로가 지체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전자의 우회시점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교통성능향상을 위한 교통정보제공 전략 수립 시 이를 반영한 교통정보제공전략이 검토 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VMS의 최적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Optimal Locations for the Variable Message Signs by The Genetic Algorithm)

  • 이수일;오승훈;이병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927-933
    • /
    • 2006
  • VMS(Variable Message Sign)는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혼잡과 돌발상황 등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방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체시간이 최소가 되는 VMS 최적 위치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 최적위치들을 바탕으로 VMS의 설치비용과 설치에 따른편익을 고려한 경제성분석을 통하여 VMS의 최적개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에서 교통량의변화, 돌발상황의 빈도와 지속 시간, 전환교통량 등을 고려하여 현실적인 측면이 최대한 고려하도록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VMS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VMS정보 선택에 의 편익을 도출하기 위해 시나리오분석을 통한 교통량과 돌발상황을 고려하여 가변적인 상황을 고려하였다. 또한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해서 도출된 VMS 최적 지점을 비교하여 통행시간 절감효과를 경제성분석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일반 선험적인 기준의 VMS 설치위치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VMS의 위치와 VMS의 개수에서 총 통행시간이 절감됨을 알 수 있다.

가변정보판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에 대한 피로 시험 및 AASHTO설계기준 적용성 평가 (Fatigue Field Test of Variable Message Sign Structure and Evaluation of AASHTO Specifications)

  • 박종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22
    • /
    • 2006
  • 가변정보판이 설치된 지주 구조물은 차량 운전자들에게 안개, 사고 등에 의한 교통혼잡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차선 통제 등 발생 가능한 위험 사항을 경고해 줌으로서 안전사고예방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주구조물은 자연풍과 트럭이 하부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바람으로 인하여 반복피로하중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정보판이 설치된 지주구조물에 대한 피로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GTSTRUDL(2003)을 이용한 구조해석 및 현장시험이 실시되었다. 구조해석 및 현장시험결과를 토대로 본 대상구조물의 안전성 및 피로수명을 검토하였다. 피로성능평가 분석결과 본 대상 구조물은 AASHTO(2001) 교통신호 지주구조물을 위한 설계기준이 제시하고 있는 무한피로 수명을 확보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AASHTO(2001) 설계기준이 안전 측으로 트러스형 지주구조물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대상 구조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경간장을 가지는 국내 교통신호 지주구조물을 위한 설계 및 유지보수기준 마련에 본 연구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주차안내정보시스템의 USN기술 적용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USN Applications of Parking Guidance and Information System)

  • 이근희;금기정;손승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5-101
    • /
    • 2012
  • 주차안내정보시스템은 심각한 주차문제들을 해결하고 주차시설 확충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이미 선진국들은 주차안내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주차 운영 관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시스템 구축사례 또한 매우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차안내정보시스템의 확대 보급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기존 시스템 구축 상의 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발전되고 있는 USN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현장 테스트를 수행하여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도로에 Test-Bed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시범운영 중 데이터 수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기존의 선행연구 및 관련 이론들을 고찰하였으며, 이 예측알고리즘은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이 결과, 기존 주차안내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인 물리적인 제약 및 네트워크 구성의 복잡성을 극복하여 구축 편의 및 비용절감을 도모하였으며, 시스템의 제공 오차는 최대 3% 이내로 나타나 연구의 활용성 및 유용성을 확보하였다.

스마트폰 보유여부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의 선호도 분석 (Preference Analysis of Traffic Information Service Depending on Smart Phone Possession)

  • 허민;김회경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70-477
    • /
    • 2015
  • ITS의 대표적인 교통정보표출수단인 VMS가 국가 기간고속도로망뿐만 아니라 도심 간선도로에 설치 운영되어 불특정다수의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급속도로 보급된 스마트폰을 통해 교통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공공재인 VMS의 효율성이나 활용성이 도전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3년 8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교통정보 제공 매체의 선호도에 대한 설문을 수행한 결과 60%의 응답자들이 VMS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보유한 175명에 대한 추가 분석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나이가 어릴수록, 고학력자일수록, 운전경력이 적을수록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과 소득의 차이는 교통정보 제공 매체의 선호도에 무차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VMS 이용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한 선행연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를 위한 상황인식 모바일 시스템 (Context-aware Mobile system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박동규;김영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740-1746
    • /
    • 2013
  •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는 구어(口語)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보조하는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전통적으로는 그림이나 글자로 된 의사 소통판을 활용하여 왔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기 등의 높은 휴대성을 가진 기기를 이용한 의사소통도구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상황인식 컴퓨팅의 개념이 출현하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서 즉시적이며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도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한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보완대체 의사소통도구 제안한다. 맞춤형 의사소통도구를 위해서 가변적인 레이아웃과 장애정도에 따른 AAC 항목의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시간정보, 위치정보, 그리고 클릭 수 등의 상황인식 기능을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