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가교결합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초

PVA/SSA/HPA 복합막의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의 응용연구 (PVA/SSA/HPA Composite Membranes on the Application t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오세중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9-15
    • /
    • 2006
  • Polyvinylalcohol (PVA)을 전해질 막으로 이용하여 위하여 가교제로서 sulfosuccinic acid (SSA)와 무기물 첨가제로 phosphotungstic acid (PWA), silicotungstic acid (SiWA) 등의 HPA (heteropolyacid)를 사용하여 PVA/SSA/HPA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VA/SSA/HPA 복합막은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은 감소하였으나 IEC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XRD 분석 결과 HP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PA가 복합막 속으로 잘 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PA로서 PWA보다 SiWA의 분산성이 우수하였다. TGA 분석결과 PVA/SSA 복합막은 가교 결합으로 인하여 PVA 보다 열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복합막의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열안정성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VA/SSA/HPA 복합막의 메탄올 투과저항은 Nafion보다 현저히 우수하였으며 HP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메탄올의 투과도는 감소하였다.

수전해용 공유가교 SPEEK/Cs-TPA/Ceria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The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valently Cross-Linked SPEEK/Cs-TPA/Ceria Composite Membranes for Water Electrolysis)

  • 송민아;하성인;박대영;유철휘;문상봉;강안수;정장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437-447
    • /
    • 2012
  • Ceria ($CeO_2$) was used to scavenge free radicals which attack the membrane in th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water electrolysis (PEMWE) circumstance and to increase the duration of the membrane.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mechanical and electrocatalytic characteristics, engineering plastic of the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SPEEK) as polymer matrix was prepared in the sulfonation reaction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and the organic-inorganic blended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sol-gel casting method with loading the highly dispersed ceria and cesium-substituted tungstophosphoric acid (Cs-TPA) with cross-linking agent contents of 0.01 mL. In conclusion, CL-SPEEK/Cs-TPA/ceria (1%) membrane showed the optimum results such as 0.130 S/cm of proton conductivity at $80^{\circ}C$, 2.324 meq./g-dry-membrane of ion exchange capacit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65.03 MPa of tensile strength which were better than Nafion 117 membrane.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CO2와 glycidyl methacrylate의 고리화 첨가 및 고분자 가교 반응 (Cycloaddition and Crosslinking Reactions of CO2 and Glycidyl Methacrylate using Ionic Liquid)

  • 김동현;강태원;이종집;고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42-346
    • /
    • 2013
  • 온실가스인 $CO_2$를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 본 연구에서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여 epoxide계 화합물인 glycidyl methacrylate (GMA)와 $CO_2$의 고리화 첨가 반응(cycloaddition)을 통해 cyclic carbonate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yclic carbonate인 [2-oxo-1,3-dioxolan-4-yl]methacrylate (DOMA)는 FT-IR과 $^1H$ NMR을 이용하여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1H$ NMR을 통하여 계산된 조성비를 이용하여 전환율과 시간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DOMA로 전환이 모두 이루어진 이후에는 DOMA의 이중결합이 잔존하는 이온성 액체로 음이온 중합, cyclic carbonate ring의 가교반응에 의한 고분자가 형성되었다.

용액 농도에 따른 항균성 알긴산 아연 필름의 제조 및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ntimicrobial Zinc Alginate Films according to Solution Concentration)

  • 이주현;서혜진;손태원;임학상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677-684
    • /
    • 2013
  • Alginate를 농도 별로 용액상태로 제조한 후 필름 메이커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만든 후 3 wt%의 $ZnCl_2$ 수용액에 필름을 고화시킨 후 수세하여 $60^{\circ}C$의 건조기에서 약 20분 동안 건조시켜 zinc alginate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항균성 및 점도와 FTIR, TGA, SEM, EDS 및 접촉각, 인장측정, 용해도분석 등을 측정하였다. 항균성 시험 결과, zinc alginate 필름에서는 두 균주(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모두 우수한 항균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9 wt%의 sodium alginate로 제조한 zinc alginate 필름의 표면은 다른 농도별 필름보다 균일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ZnCl_2$ 응고액에 잘 고화될 때 단단하고 거친 느낌의 단면 형태를 확인하였다. Zinc alginate 필름의 인장강도는 가교결합에 의해 sodium alginate 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기 열 분해 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형태를 보였다.

키틴 기반 흡착제 PEI-chitin을 이용한 반응성염료의 제거 (Removal of Reactive Dyes using Chitin-based Adsorbent PEI-chitin)

  • 김경민;왕쭈오;원성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232-238
    • /
    • 2019
  • 산업폐수 속의 대표적인 색도유발물질인 염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생체흡착제로 폴리에틸렌이민을 키틴에 가교결합한 PEI-chitin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반응성염료인 Reactive Orange 16 (RO16)을 모델염료로 사용하였고, RO16에 대한 PEI-chitin의 흡/탈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pH의 영향, 등온흡착, 흡착속도론, 탈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angmuir 식에 의해 산출된 최대흡착량은 pH 2에서 266.3 mg/g이었고, 흡착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50 mg/L에서는 약 20분, 100 mg/L에서는 약 60분 그리고 200 mg/L에서는 약 240분으로 평가되었다. 탈착실험은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 NaOH, $NaHCO_3$, $Na_2CO_3$를 용리액으로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암모니아/에탄올 혼합용액에서 75.24%로 가장 높은 탈착율을 보였다.

이온교환막을 통한 이온분리에 대한 총설 (A Review Based on Ion Separation by Ion Exchange Membrane)

  • 살센벡 아샐;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2권4호
    • /
    • pp.209-217
    • /
    • 2022
  • 이온교환막(IEM)은 다양한 종류의 단가이온과 다가이온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막의 한 종류로, 배터리, 연료전지, 염화물-알칼리 공정 등에 사용된다. 이온교환막을 통한 막분리는 전기 구동력을 기반으로 한 녹색 분리 방식이며, 해수 담수화와 수처리 분야에서 떠오르는 방식이다. 전기투석(ED)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이온교환막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기술이다. 음이온 교환막(AEM)은 전기투석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상당한 역할을 한다. 이온교환막에 가교결합을 도입하면 자유 부피의 감소로 인해 이온 선택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역삼투(RO) 공정을 통한 해수 담수화 시 RO 농축수에 용해된 염이 다량 존재한다. 따라서 1가 양이온 선택막으로 구성된 전기투석 공정은 오염을 줄이고 막 플럭스를 개선한다. 이 검토는 전기투석, 음이온 교환막, 그리고 양이온 교환막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아민 차수에 따른 고체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eparation for Solid Absorbents According to Amine Order)

  • 장현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19-626
    • /
    • 2023
  • 건식 이산화탄소 분리공정에서 아민 구조체의 운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차 아민과 2차 아민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TSA 조건에서 1차 아민과 2차 아민 건식 포집 분리제의 분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1차 아민 전구체로 가교제로 이용하여 가교 결합된 2차 아민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2차 아민 전구체를 Tetraethyl orthosilicate를 구조배양제로 사용하여 2차 아민 고체상 이산화탄소 분리제를 합성하였다. 1차 및 2차 아민 구조체의 TSA 공정조건에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비교하였다. 1차 아민에 흡수된 이산화탄소 분리는 170 ℃ 이상에서 완전히 이루어지나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아민이 우레아로 전환되며, 아민기 손실이 발생되었다. 아민 손실이 낮은 130 ℃ 재생시 1차 아민 분리제의 공정 운전성능(working capacity)은 본 구조체의 경우 2% 이하로 나타났다. 2차 아민이 낮은 재생온도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 2% 흡수 분위기와 100% 재생분위기에서 약 6.5%의 공정 운전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온교환용량이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on Exchange Capacity on Salt Removal Rate i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Process)

  • 윤원섭;정성일;임지원
    • 멤브레인
    • /
    • 제28권5호
    • /
    • pp.332-339
    • /
    • 2018
  •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이 염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oly(vinyl alcohol)(PVA) 수용성 고분자에 sulfosuccinic acid (SSA) 가교제를 첨가하고 poly(4-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PSSA_MA)를 PVA 질량대비 10, 50, 90 wt%로 달리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PSSA_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막 결합형 축전식 탈염공정에서 염 제거 효율도 상승되었다. PSSA_MA 90 wt%, 100 mg/L NaCl의 공급액과 유속 15 mL/min에서 흡착 1.4 V/5분의 조건에서 가장 높은 65.5%의 염 제거 효율을 나타내었다.

근류균과 숙주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렉틴의 역할 (Role of Lectins in Host Plant-Rhizobium Interactions)

  • 장무웅;전경희;박원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3-299
    • /
    • 1983
  • 강남콩 렉틴과 근류균(R. phaseoli)의 결합에 관한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강남콩종자의 자엽에서 가장 많은 렉틴은 성장에 따라 뿌리로 이동하였는데 발아후 약 5일경에, 뿌리의 길이가 $6\~8cm$인 것이 가장 렉틴의 함량이 많았다. 2. 근류균의 배양시기에 따가 강남콩렉틴과의 응집력을 측정 한 결과 배양초기 가 후기보다 응집력이 높았다. 3. 강낭콩종자에 존재하는 렉틴을 추출 정제하여서 6종 근류균과의 응집력을 측정한 결과 R. phaseoli와의 응집이 가장 강했고 이는 렉틴에 대한 특이적 결합, 즉 숙주특이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4. 단당류에 의한 응집반응의 경쟁적 저해를 시도함으로써 강남콩렉틴의 근류균에 대한 결합부위가 mannose와 galactose를 포함한 oligosaccharides가는 것을 알수 있었으며 이들의 저해효과에 필요한 당의 최소농도는 6.25mM로서 측정되었다. 5. R. phaseoli와 강낭콩 렉틴을 강낭콩 뿌리에 인공감염시켜본 결과 렉틴의 경쟁적 저해가 확인되었으므로 뿌리혹형성에 렉틴의 가교가 관여한다는 가설을 입증할 수 있었다. 6. Immunodiffusion에 의한 R. phaseoli의 항원 결정기는 R. japonicum과 일부 관련성이 있을뿐 다른 Rhizobium spp.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Grafted EPDM의 접착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dhesion Properties of Grafted EPDM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

  • 김동호;윤유미;정일두;박찬영;배종우;오상택;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2
  • EPDM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인 methacrylic acid (MA)가 도입된 grafted EPDM을 합성하여 MA의 grafting ratio가 탄성체의 물성과 다른 고무와의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Grafted EPDM의 storage modulus는 특정온도까지는 sulfur로 가교한 EPDM vulcanizate보다 높게 유지되다가 온도가 더 높아지면 2차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EPDM에 수소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반응기를 도입했을 때 grafted EPDM 분자들 간의 aggregate 형성과 그라프트된 MA의 결정성으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EPDM 자체는 극성이 낮고 다른 종류의 고무와 분자간 결합력이 약해서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라프트된 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강도가 더 높아졌으며 MA의 grafting ratio가 10% 이상일 때에는 접착평가 시 고무시편이 부분적으로 파괴될 정도로 접착력이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