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1P_1$

검색결과 32,254건 처리시간 0.065초

CUBIC s-REGULAR GRAPHS OF ORDER 12p, 36p, 44p, 52p, 66p, 68p AND 76p

  • Oh, Ju-Mo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1권5_6호
    • /
    • pp.651-659
    • /
    • 2013
  • A graph is $s$-regular if its automorphism group acts regularly on the set of its $s$-arcs. In this paper, the cubic $s$-regular graphs of order 12p, 36p, 44p, 52p, 66p, 68p and 76p are classified for each $s{\geq}1$ and each prime $p$. The number of cubic $s$-regular graphs of order 12p, 36p, 44p, 52p, 66p, 68p and 76p is 4, 3, 7, 8, 1, 4 and 1, respectively. As a partial result, we determine all cubic $s$-regular graphs of order 70p except for $p$ = 31, 41.

위의 위장관 간질 종양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of Stomach)

  • 김민형;허훈;김신선;김성근;전경화;송교영;김진조;진형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3호
    • /
    • pp.146-153
    • /
    • 2006
  • 목적: 본 연구에서 수술로 절제된 위의 위장관 간질 종양 (GISTs)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방법 및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부터 2002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GISTs로 진단 받고 수술을 시행한 환자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이용하여 CD117 (c-kit) 면역조직화학염색상 확진된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나이, 성별, 위치, 크기, 세포분열지수을 파악하고 Ki67, p53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으며 c-kit 유전자의 변이 여부를 확인한 후 이들 인자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76명의 평균 나이는 55.9세였으며 남자가 34명이었고 여자는 42명 이었다. 평균 추적검사 기간은 42개월이었다. 환자들은 복통(27명, 36%)과 출혈(20명, 26%)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위의 상부 1/3에 종양이 위치한 경우가 47명(62%)으로 가장 많았고 수술방법은 종양의 위치보다는 크기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GISTs 분류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군이 중등도 위험군과 저위험도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무병기간이 짧았고(P=0.05) 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 큰 경우(P=0.017), 유사분열의 수가 5/50 HPF 이상 많은 경우(P=0.042) 그리고 Ki67 과발현된 경우(P=0.046), c-kit 유전자의 변이를 보이는 경우(P=0.037)가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종양의 크기가 5 cm 이상 큰 경우, 유사분열의 수가 5/50 HPF 이상 많은 경우 그리고 Ki67이 과발현된 경우와 c-kit 유전자의 변이를 보이는 경우가 환자의 예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다. 이런 예후 인자를 보이는 환자들에 있어서 수술 후 추적검사 과정에 있어서 보다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다.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27^{kip1}$도 다른 인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p27^{kip1}$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53.3%)와,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76.5%)가 많았다(P<0.05). $p21^{Waf1/Cip1}$$p27^{kip1}$ 복합 검사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5년 장기 생존율에 있어서는 각각의 $p21^{Waf1/Cip1}$$p27^{kip1}$의 발현 유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복합 검사에서도 $p21^{Waf1/Cip1}(+)/p27^{kip1}(+)$의 경우에 생존율이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경우에는 $p21^{Waf1/Cip1}$$p27^{kip1}$은 서로 비슷한 발현 형태를

  • PDF

융합단백질로 발현된 톡소포자충의 주요막단백질(p30) 절편의 항원성 (Analysis of antigenic domain of GST fused major surface protein (p30) fragments of Toxoplasma gondii)

  • 남호우;임경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2호
    • /
    • pp.135-142
    • /
    • 1996
  • 톡소포자충(Toxoplosma gondii) 주요막단백질의 하나인 30 kDa 단백질(p30)의 항원부위를 결정하고자 p30의 아미노산 분석에 따른 친수성 부위 및 혐수성 부위에 맞게 유전자를 증폭하고 발현시켜 항원성을 검토하였다 p30의 절편으로는 p30 전체 p30의 N-말단 Signal Sequence와 C- 탈단의 혐수성 부위를 제거한 S28. S28의 N-말단 2/3부위인 Al9. S28의 C-말단 2/3부위인 Pl9. 528의 N-탈난 1/3부위인 X9 중앙 1/3부위인 Y10 및 C-말단 1/5부위인 Z9로 구성하였다. 각절편에 대한 primer에는 EcoR I의 clampsequence를 포함시켜 중합효소반응으로 증폭시켰으며 G57를 발현하는 pGEX-4T-1 vector에 삽입시킨 후 Eschericha coli(.JM105 strain)에 형질변형시키고 IgG로 각 절편이 GST와 융합단백질로 발현되도록 하였다 SDS-PAGE상에서 p30은 63 kDa. S28는 54 kDa Al9과 Pl9은 각각 45 kDa. X9은 35 kDa. Y10은 36 kDa 및 29은 35 kDa 단백질로 발현되었다. 각각의 단백질은 westemblot상에서 GSTdetectionkit와 잘 반응하여 융합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톡소포자충증 환자 혈청과 westem blot에서 p30. S28 및 Al9은 반응하여 항원성이 인정되었으나 Pl9 . X9, Y10 및 Z9는 반응하지 않았다 따라서. p30의 중간 1/3 부위의 존재하에 N-말단 1/3부위가 항원성을 나타내는 구조적 항원이거나. 첫 1/3부위와 중 간 1/3부위의 경계에 위치한 polypeptide가 항원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Luminescence of CaS:Bi

  • 김창홍;편종홍;최 한;김성진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0권3호
    • /
    • pp.337-340
    • /
    • 1999
  • Luminescence of bismuth activated CaS, CaS:Bi, prepared in sodium polysulfide is studied. Excitation spectrum of CaS:Bi shows a band at 350 nm due to the recombination process between holes in Na+Ca2+ and electrons in conduction bands, in addition to bands at 260 nm from band gap of CaS, and at 320 nm (1S0→1P1) and at 420 nm (1S0→3P1) from electronic energy transitions of Bi. Emission band at 450 nm is from 3P1→1S0 transition of Bi3+, bands at 500 nm and 580 nm correspond to recombinations of electron donors (Bi3+Ca2+ and VS2-) with acceptors (VCa2+ and Na+Ca2+). Emission band of 3P1→1S0 transition is shifted to longer wavelength from CaS:Bi to BaS:Bi, due to the increase of the Stokes shift by the decrease of the crystal field parameter from CaS:Bi to BaS:Bi.

ON PRECISE ASYMPTOTICS IN THE LAW OF LARGE NUMBERS OF ASSOCIATED RANDOM VARIABLES

  • Baek, Jong-Il;Seo, Hye-Young;Lee, Gil-Hwa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0권1호
    • /
    • pp.9-20
    • /
    • 2008
  • Let ${X_i{\mid}i{\geq}1}$ be a strictly stationary sequence of associated random variables with mean zero and let ${\sigma}^2=EX_1^2+2\sum\limits_{j=2}^\infty{EX_1}{X_j}$ with 0 < ${\sigma}^2$ < ${\infty}$. Set $S_n={\sum\limits^n_{i=1}^\{X_i}$, the precise asymptotics for ${\varepsilon}^{{\frac{2(r-p)}{2-p}}-1}\sum\limits_{n{\geq}1}n^{{\frac{r}{p}}-{\frac{1}{p}}+{\frac{1}{2}}}P({\mid}S_n{\mid}{\geq}{\varepsilon}n^{{\frac{1}{p}}})$,${\varepsilon}^2\sum\limits_{n{\geq}3}{\frac{1}{nlogn}}p({\mid}Sn{\mid}{\geq}{\varepsilon\sqrt{nloglogn}})$ and ${\varepsilon}^{2{\delta}+2}\sum\limits_{n{\geq}1}{\frac{(loglogn)^{\delta}}{nlogn}}p({\mid}S_n{\mid}{\geq}{\varepsilon\sqrt{nloglogn}})$ as ${\varepsilon}{\searrow}0$ are established under the suitable conditions.

SOME REMARKS OF THE CARATHÉODORY'S INEQUALITY ON THE RIGHT HALF PLANE

  • Ornek, Bulent Nafi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01-215
    • /
    • 2020
  • In this paper, a boundary version of Carathéodory's inequality on the right half plane for p-valent is investigated. Let Z(s) = 1+cp (s - 1)p +cp+1 (s - 1)p+1 +⋯ be an analytic function in the right half plane with ℜZ(s) ≤ A (A > 1) for ℜs ≥ 0. We derive inequalities for the modulus of Z(s) function, |Z'(0)|, by assuming the Z(s) function is also analytic at the boundary point s = 0 on the imaginary axis and finally, the sharpness of these inequalities is proved.

대구.경북지역 일부 양호교사의 업무수행에 미치는 요인분석 (An Analytic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Nurse's Activities in Daegu City and Kyungpook Province)

  • 곽오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03-517
    • /
    • 1989
  •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school nurse's activities. The survey was undertaken during Sept. 1-Nov. 30, 1986. The subjects were 137 school nurses from elementary, junior-high, and senior-high schools in Daegu City and Kyungppk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rrelational findings between school nurse's self-confidence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1)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Health Experinece(r=-0.1803, p<0.05) Salary Step(r=-0.1741, p<0.05) 2) Clinic Management: Salary STep(r=-0.2580, p<0.01) 3) Health Education: Salary Step(r=-0.1929, p<0.05) 4)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Salary Step(r=-0.2501, p<.05) 5) Health Care Services: Health Experience(r=0.1901, p<0.05) Salary Step(r=-0.2424, p<0.05) 2. The degrees of school nurse's self-confidence(high: 4 point, low: 1 point) 1) Clinic Management: 2.92 2) Health Education: 2.86. 3) Program Planning & Evaluation: 2.74 4) Health Care Services: 2.73 5)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2.67 6)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2.42 3. Significances to self-confidence on school nurse's activities 1) Program Planning as Evaluation: Expending Times for Health Care Services (r=-0.2262, p<0.05) Expending Times for Health Education (r=0.2943, p<0.05) Size of Clinic(r=0.2163, p<0.05) Location of Clinic(t=2.43, gH0.047) Use of Clinic(t=2.06, p<0.007) 2) Clinic Management: Location of Clinic (t=3.36, p<0.010) 3) Health Education: Purchase of Medicine(r=-0.1736, p<0.05) No, of Classes (r=-0.1794, p<0.05) (4) Management of School Environment: School Health Budget(r=0.1731, p<0.05) Home Message(r=0.1805, p<0.05) Location of Clinic(t=4.46, p<0.0001) 5) Operating of School Health Organization: School Health Budget(r=0.1878, p<0.05) Use of Clinic(t:1.90, p<0.018) 6) Health Care Services: School Health Budget(r=1.90, p<0.018) Expending Times for Health Education(r=0.2577, p<0.05) Size of Clinic(r=0.4336, p<0.001) Location of Clinic(t:5.10, p<0.001)

  • PDF

PAIR MEAN CORDIAL LABELING OF SOME UNION OF GRAPHS

  • R. PONRAJ;S. PRABHU
    • Journal of Applied and Pure Mathematics
    • /
    • 제6권1_2호
    • /
    • pp.55-69
    • /
    • 2024
  • Let a graph G = (V, E) be a (p, q) graph. Define $${\rho}=\{\array{{\frac{p}{2}} && p\;\text{is even} \\ {\frac{p-1}{2}} && p\;\text{is odd,}}$$ and M = {±1, ±2, … ± 𝜌} called the set of labels. Consider a mapping λ : V → M by assigning different labels in M to the different elements of V when p is even and different labels in M to p - 1 elements of V and repeating a label for the remaining one vertex when p is odd. The labeling as defined above is said to be a pair mean cordial labeling if for each edge uv of G, there exists a labeling $\frac{{\lambda}(u)+{\lambda}(v)}{2}$ if λ(u) + λ(v) is even and $\frac{{\lambda}(u)+{\lambda}(v)+1}{2}$ if λ(u) + λ(v) is odd such that ${\mid}\bar{\mathbb{s}}_{{\lambda}_1}-\bar{\mathbb{s}}_{{\lambda}^c_1}{\mid}\,{\leq}\,1$ where $\bar{\mathbb{s}}_{{\lambda}_1}$ and $\bar{\mathbb{s}}_{{\lambda}^c_1}$ respectively denote the number of edges labeled with 1 and the number of edges not labeled with 1. A graph G with a pair mean cordial labeling is called a pair mean cordial graph.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air mean cordial labeling behavior of some union of graphs.

Fumonisin B1 Induces Apoptosis in Sphingosine 1-Phosphate Lyase-null F9 Cells through Increase of Sphingolipids Levels

  • Pak, Seon-Mi;Park, Nam-Young;Park, Myung-Yong;Kim, Wan-Jong;Lee, Jong-Hwa;Oh, Sei-Kwan;Yoo, Hwan-Soo;Lee, Yong-M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6권2호
    • /
    • pp.95-99
    • /
    • 2008
  • Apoptosis is essential for a variety of pathophysiological progress. Apoptosis induction by various agents changes cellular morphology, DNA content and lipid membrane composition. Recently, sphingosine 1-phosphate (S1P) is avidly released from not only platelets and erythrocytes but vascular endothelium. Here we established S1P releasing cells by deleting S1P lyase (F9-12 cells). We observed apoptosis induction by the treatment of fumonisin B1 (FB1) in F9-12 cells but not in F9 wild-type cells. We measured high amounts of accumulated S1P and dihydroS1P (DHS1P) in FB1-induced apoptotic F9-12 cells. We also showed DHS1P release in an early stage of the apoptosis induction by FB1 but not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induced apoptosis, suggesting differential apoptotic processes.

피톤치드 처리 후 구강 내 잔존 S. thermophilus의 P. gingivalis에 대한 효과 (The Effect of S. thermophilus Isolated from Saliva Treated with Phytoncide on P. gingivalis)

  • 정성희;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23-37
    • /
    • 2009
  • 치주질환과 구취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원인균인 P. gingivalis에 대한 피톤치드의 항균효과와 항균작용은 이미 연구되어 있으나, 정상인의 구강상주균에 대한 연구는 아직 희귀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정상인의 타액에 편백 피톤치드를 첨가하였을 때 사멸되지 않고 생존하는 타액세균을 분리하여 구강 유해균과 함께 배양한 후 구강 유해균에 대한 생존 타액세균의 억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프로바이오틱으로 작용할 수 있는 구강상주균의 균종을 동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인의 전타액에 1% 피톤치드를 적용하였을 때 잔존 생균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피톤치드 적용 후 생존한 주 세균종은 S. thermophilus (53%)로 나타났다. 3. 피톤치드 적용 후 생존한 균을 P. gingivalis A7A1-28과 P. gingivalis W83에 교차배양한 결과 생존균의 대부분(72.5%) 이 P. gingivalis A7A1-28과 P. gingivalis W83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4. 생존 S. thermophilus의 85.8%, S. sanguinis는 75.8%가 P. gingivalis 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P. gingivalis 등 구강 내 유해균을 직접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피톤치드로 처리할 경우 피톤치드에 생존하는 구강상주균이 P. gingivalis에 대해 부가적으로 억제작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톤치드의 사용은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그 결과 치주질환 및 구취환자의 구강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