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H_4$ and $NO_3$

검색결과 1,725건 처리시간 0.029초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한 코어 셸 구조의 Cu-Ag분말 제조 (Preparation of Cu-Ag Powder having Core-Shell Structure by Electroless Plating Method)

  • 김종완;이혁희;원창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7-52
    • /
    • 2009
  • Cu-Ag powder having Core-Shell structure was prepared from by electroless plating method using agents such as $AgNO_3$, $NH_{4}OH$, Hydroquinone. Ag coated copper powders were analyz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EDX). The silver coating layer of copper powder was affected from various reaction conditions such as molar ratio of $NH_{4}OH$, $AgNO_3$, and pulp density. Free silver was generated below 0.1M or 0.3M and above of $NH_{4}OH$ mole ratio. Silver coating layer thickened as addition of $AgNO_3$. When the pulp density reached 12% with 0.2M $NH_{4}OH$, and 0.15M $AgNO_3$ at $4^{\circ}C$, silver was homogeneously distributed around the copper particles and free silver particles were not generated.

대구시 주요 하천수의 이화학적 성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Chemical Constituents in the major Streams in TaeGu City)

  • 강회양;정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47
    • /
    • 198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ow much chemical constituents are contained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pread in the major streams running through Taegu City, i. e.: Yeechun, Beomeo, Chilsung, Dalseo, during the seven months Period between March to September, 1982. Nine constituents, pH, DO, COD, T-N, $NH_4-N, NO_2-N, NO_3-N, Cl^-, SO_4--$ and $PO_4-P---$, were found to be-contained in those stream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ach chemical constituent detected in the five streams has the following variation range. pH(7.0-9.10), DO (ND-7.46ppm), COD (5.4-173ppm), T-N(13-42ppm), $NH^+_$-N$ (10.2-32.2ppm), $NO^-_2-N$ (0.007-2.53ppm), $NO^-_3-N$ (0.005-2.16ppm), $Cl^-$ (150-469 ppm), $SO_4^{3-}$ (71-1000ppm), $PO_4^{3-}-P$ (0.9-53ppm) The amount of all the constituents except pH, and $NO_3-N$, exceeded the standard value allowed for drinking, farming, and industrial water. 2) The monthly variation in the amount of each constituent differs according to the station from which it was sampled, but in general, the amount increased during the season from March to July when the rainfall was little while it decreased in August when the rainfall was abundant. 3)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nstituents shows positive correlations that T-N and $NH^+_4-N$, water temperature and $NO^-_3-N$, but there were no ones beween the COD and $NH^+_4-N$ 4 ) The degree of COD pollution in each stream is in the following order. Kongdan, Yeechun, Beomeo, ChiLsung, and Dalseo. 5) Five major streams in Taegu City, Yeechun, Beomeo, Chilsung Dalseo, and Kongdan, are so narrow in width and so short in length that they flow into the Sincheon river or the Gumho river without undergoing self-purification.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various kinds of industrial pollutants make the supply insufficient and water pollution inevitable. 4 ) The degree of COD pollution in each stream is in the following order. Kongdan, Yeechun, Beomeo, ChiLsung, and Dalseo.

  • PDF

혼합모델을 이용한 새만금호 저층수 내 영양염의 공급과 제거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Addition and Removal Processes of Nutrients from Bottom Water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by Using Mixing Model)

  • 정용훈;김창식;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6-317
    • /
    • 2014
  • 이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가 조성된 이후 새만금호에서 영양염($NO_3$-N, $NO_2$-N, $NH_4$-N, TN, $PO_4$-P, TP, DISi)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2008년~2010년까지 새만금호의 표층과 저층에서 매월 관측된 환경인자(수온, 염분, 용존산소, 부유물질, Chl-a)와 상호 비교하여 특징을 논의하였다. 표층에서 $NO_3$-N, TP, $PO_4$-P, DISi는 제거현상을 보였고, $NO_2$-N, $NH_4$-N, Chl-a는 첨가현상을 보였다. 저층에서는 $NO_3$-N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들이 첨가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NO_3$-N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염들은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모델을 이용하여 저층수에서 영양염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해 $NO_3$-N이 주로 하계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NH_4$-N과 $PO_4$-P는 하계에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O_4$-P와 $NH_4$-N의 증가는 강하구 쪽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고, 표층과 저층 사이의 DO의 농도 차이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DISi도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보였으나, $NH_4$-N과 $PO_4$-P와는 다르게 하계뿐만 아니라 춘계에도 공급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NH_4$-N과 $PO_4$-P가 방조제 쪽보다 하구 쪽에서 더 많이 공급되는 것과는 다르게 DISi는 양쪽에서 유사하게 공급됨을 보였다. 이러한 DISi의 특징은 퇴적물로부터 분자확산에 의한 flux를 계산한 결과, 저층수에서 공급되는 영양염은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것 이외에 SGD 등 다른 유입기원이 있는 것을 암시한다.

Biofloc을 기반으로 한 무 환수 사육 시스템의 수질 안정 유지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Water Quality in Biofloc-based Zero-water Exchange Culture Tanks)

  • 조서현;정종헌;김명희;이규태;김대중;김광현;오상필;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96-506
    • /
    • 2015
  • 본 연구는 바이오플락을 기반으로 한 무 환수 사육 시스템에서 안정된 수질을 유지하기 위한 적정 수온 범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수온에 대한 5개의 실험 수조를 설정하였다: 10℃, 15℃, 20℃, 25℃ 그리고 30℃. 우선 각각의 실험 수조에 바이오플락을 기반으로 한 사육시스템을 조성하고, 조성된 각 실험 수조에 금붕어를 수용하여 사육수를 교환하지 않고 60일 동안 사육하였다. 바이오플락 기반 사육시스템이 조성되고, 무기 질소화합물들($NH_4{^+}-N$, $NO_2{^-}-N$, 그리고 $NO_3{^-}-N$)의 농도가 안정되게 낮은 상태는 10℃, 15℃, 20℃, 25℃, 30℃에서 각각 17, 26, 43, 68, 그리고 78일 이후에 유지되었다. 바이오플락 기반 사육 수조에 금붕어를 사육하기 시작하면서 $NH_4{^+}-N$ 농도가 10℃와 15℃에서는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가 유지되었으나, 20℃, 25℃ 그리고 30℃에서는 점진적 으로 증가하였다. 10℃와 15℃에서 $NO_2{^-}-N$$NO_3{^-}-N$의 농도는 낮은 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바로 증가하였다. 반면, 20℃ 이상에서 $NO_2{^-}-N$의 농도는 지속적으로 비교적 안정되게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으며, $NO_3{^-}-N$의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바이오플락 기반 수조에서 15℃ 이하의 조건에서는 $NO_2{^-}-N$ 농도를 낮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20℃ 이상에서 pH와 NH4+-N 농도 사이의 역상관관계가 pH 4.0과 6.0 사이에서 나타났다. pH 4.0과 6.0 범위에서 $NH_4{^+}-N$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pH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pH 6.0과 8.0 사이에서는 pH와 $NH_4{^+}-N$ 농도 간 상관관계가 없었었으며, pH 6.0 이상에서는 $NH_4{^+}-N$ 농도가 지속적으로 낮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 이상에서 $NH_4{^+}-N$ 농도를 낮고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pH를 6.0 이상 유지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포항철강공단 미세먼지(PM10)의 입경분포 및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PM10 in Iron and Steel Industrial Complex)

  • 정종현;이형돈;전수빈;유정근;손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601-5609
    • /
    • 2012
  • 본 논문은 포항철강공단 및 주변지역의 보건 및 환경영향 인자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세먼지($PM_{10}$) 농도와 성분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대기자동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연별, 계절별 $PM_{10}$ 농도분포를 조사하였다. 공단지역 내 $PM_{10}$을 측정한 결과, 동일산업에서 측정된 $PM_{10}$ 평균농도는 $61.3{\pm}12.1{\mu}g/m^3$, 철강공단관리사무소에서 측정된 $PM_{10}$ 평균농도는 $44.3{\pm}8.1{\mu}g/m^3$으로 나타나 대기환경기준을 만족하였다. 공단지역 동일산업과 철강공단관리사무소에서 측정된 $PM_{10}$ 중 이차생성 이온인 ${SO_4}^{2-}$, $NO_3{^-}$, $NH_4{^+}$의 분율을 확인한 결과, ${SO_4}^{2-}$의 분율이 높게 나타났고, 황산염과 관련된 오염원이 철강공단지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동일산업 지점에서는 ${SO_4}^{2-}$ > $Cl^-$ > $NO_3{^-}$ > $F^-$ > $NH_4{^+}$ 순으로 나타났고, 철강공단관리사무소 지점에서는 ${SO_4}^{2-}$ > $Cl^-$ > $NO_3{^-}$ > $NH_4{^+}$ > $F^-$ 순으로 나타났다.

산성 강하물질의 화학적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Acid Deposition)

  • 권오영;윤오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1994
  • Dry and wet deposition samples were continuously collected by deposit gauge. In Bulkwang area of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of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Bulkwang area located in Seoul and Kanghwa in west coastal area were chosen for sampling site. dry deposition concentrations,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soluble ion concentrations of deposit gauge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urban area and coastal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concentrations of dry deposition in Bulkwang was 2.807 ton/km$^2$/month (range: 5.171~1.128 ton/km$^2$/month) while that in Kanghwa was 1.990 ton/km$^2$/month (range: 3.358 ~ 1.084 ton/km$^2$/month),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The rainfall during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in 1990 recorded 1859.7 mm which was 78.8% of its mean amount in Seoul, and 1846.9 mm which was 81.6% that of Kanghwa. In Bulkwang area, correlation coefficients of deposit chemical composition were 0.95 for SO$_4^{-2}$ and Na$^+$, 0.94 for SO$_4^{-2}$ and NH$_4^+$, 0.93 for CI$^-$ and NH$_4^+$ and 0.85 for Cl$^-$ and Ca$^{2+}$, respectively. Then, the results indicate that sulfates such as $Na_2SO_4$, $(NH_4)_2SO_4$, and CaSO$_4$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In Kanghwa area, it was considered that NaCl, $NH_4NO_3$, NaNO$_3$, and $Ca(NO_3)_2$ were the major chemical state of deposit.

  • PDF

흐름주입분석법에 의한 환경시료 중$N(NO_2^-),\;N(NO_3^-)$$N(NH_4^+)$의 정량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N(NO_2^-),\;N(NO_3^-)$and$N(NH_4^+)$in Environmental Samples by Flow Injection Analysis)

  • 이재성;김영상;정윤희;이희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56-265
    • /
    • 1997
  • 토양과 수질시료 중에서 nitrite, nitrate 그리고 ammonia성 질소를 빠르고 연속적으로 정량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실제시료를 측정하기전에 각 성분의 표준시료를 사용하여 FIA의 구조적 인자(주입 양, 반응코일 길이 그리고 흐름속도)를 결정하였다. Nitrite는 Griess reaction에 의해 sulfanilamide와 반응 후 N-(1-naph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과 결합하여 azo 색소를 형성시킨 후 540 nm에서 측정하였고, nitrate는 hydrazine을 사용하여 nitride로 환원시킨 후 측정하였다. Ammonia는 Nessler법을 사용하여 440 nm에서 측정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N(NO_2^-),\;N(NO_3^-)와\;N(NH_4^+)$의 검출한계(S/N=3)는 0.1 ㎍/ML, 0.4 ㎍/mL 그리고 0.3 ㎍/ML이었다. 실제시료를 비색법, ion chromatography 및 FIA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성이 80~125%로 나타내어 만족스러웠다. 시료의 주입횟수는 30회/시간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 PDF

수도근(水稻根)의 Amino산(酸) 대사(代謝)에 관한 연구 -제(第) 3 보(報) 수도근(水稻根)의 몇가지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및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amino acid metabolism of young rice root (Part 3) -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respiratory inhibitor on the enzyme activities of rice root -)

  • 김용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01-207
    • /
    • 1974
  •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GOT, GPT 및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삼요소(三要素)와 호흡저해제(呼吸沮害劑)의 영향(影響)에 대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窒素)의 형태(形態)에 따른 근(根)과 지상부(地上部)의 신장정도(伸長程度)는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GOT, GPT, Peroxidase의 활성도(活性度)는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는 반대(反對) 현상(現象)을 나타내었다. 2. 수도근(水稻根)의 ${\alpha}$-naphthylamine의 산화력(酸化力)은 $NO_3$-N 구(區) > urea-N 구(區) > $NH_4$-N 구(區)의 순(順)이며 질소농도(窒素濃度)에 따라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는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활성감소(活性減少)가 컸으며 삼요소(三要素) 결핍(缺乏)에 의(依)한 영향(影響)은 GOT가 GPT 보다 심(深)했으며 peroxidase는 반대(反對)로 활성(活性)이 증가(增加)하였고 그 경향(傾向)은 무가리구(無加里區) > 무인산구(無燐酸區) > 무질소구(無窒素區)의 순(順)이었다. 4.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가 수도(水稻)의 지상부(地上部)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질소형태(窒素形態)에 따라 억제(抑制) 정도(程度)가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이었다. 5. 호흡조해제(呼吸阻害劑)에 의한 수도근(水稻根)의 GOT, GPT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도 무질소구(無窒素區) > $NH_4$-N 구(區) > urea-N 구(區) > $NO_3$-N 구(區)의 순(順)으로 저해(沮害)를 받으며 Peroxid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는다.

  • PDF

수도재배포장에서 침투수의 Urea-N, NH4-N 및 NO3-N의 농도변화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Urea-N, NH4-N and NO3-N in Percolating Water During Rice Growing Season)

  • 이상모;류순호;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0-164
    • /
    • 1995
  • 농경지에 시용되는 질소질 비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소를 대상으로 수도재배포장에서 요소태(Urea-N)와 암모늄태($NH_4-N$) 및 질산태($NO_3-N$) 질소의 농토를 조사함으로써 논토양에 시용되는 요소비료의 효율 증대 및 환경오염 방지에 기초가 되는 정량적인 자료를 얻고자 요소를 12kg N/10a(관행구)와 24kg N/10a(배비구) 수준으로 시용한 수도재배포장에서 수도재배기간 동안 침투수의 Urec-N, $NH_4-N$$NO_3-N$의 농도를 porous ceramic cup을 이용하여 토양깊이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행구와 배비구 모두 전체 시비량의 50%를 기비로 사용한 후 12일이 지난 후에 채취한 침투수에서는 75cm 깊이에서도 Urea-N이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는 관행구 0.06 및 배비구 $0.12{\mu}g/m{\ell}$로서 배비구에서 높았다. 침투수의 $NH_4-N$ 농도는 수도의 영양생장기간 동안에는 변화가 컸지만 출수가 시작된 8월 중순 이후에는 $0.1{\mu}g/m{\ell}$로서 일정하였다. 침투수의 $NO_3-N$ 농도는 관행구 0.1~0.5 및 배비구 $0.2{\sim}0.5{\mu}g/m{\ell}$ 범위로서 요소 시용량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온도와 질소원 종류에 따른 대형갈조류 감태(Ecklonia cava)의 생장 (Growth responses of kelp species Ecklonia cava to different temperatures and nitrogen sources)

  • 최선경;강윤희;박상률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404-415
    • /
    • 2020
  • 감태(Ecklonia cava)는 다년생 대형갈조류로써 활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연구는 감태의 대량 생산을 위한 실내 배양 조건 확립을 위해서 계절과 질소원 종류에 따른 감태 포자체의 생장과 생화학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서귀포 해역에 생육하는 감태를 계절별로 채집하여 계절별 수온조건(봄 17℃, 여름 25℃, 가을 21℃와 겨울 15℃)과 4가지 영양염 조건[대조구(control), 100 μM NH4+를 넣은 실험구(NH), 100 μM NO3-를 추가한 실험구(NO), 50 μM NH4+와 50 μM NO3-를 함께 넣은 실험구(NHNO)]에서 배양하여 엽체의 생체량과 면적 변화에 따른 생장률, 질산환원효소 활성도와 광합성 색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감태의 생장은 뚜렷한 계절 변화를 나타냈고, 무게와 면적과의 상관성은 계절별로 차이를 보였다. 무게와 면적의 일일생장률은 겨울에 최고 값(5.8±0.5와 6.6±0.5% day-1)을 보였고, 여름에 최저 값(2.2±0.2와 3.0±0.3% day-1)을 나타냈다. 엽체의 일일생장률은 NH와 NO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NHNO 실험구에서 중간 값 그리고 대조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감태의 질산환원 효소 활성도는 계절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대조구에서 가장 높고(1.32±0.10 μmol NO2- g-1 dry weight h-1), NH 실험구에서 가장 낮았다(0.25±0.02 μmol NO2- g-1 dry weight h-1). 엽체 내 광합성 색소의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낮고 NHNO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감태 배양을 위한 배양액을 제작 시, 단일 종류의 질소원으로 제작하는 것이 생장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실내배양에 따른 최적 질소원 종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