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linolenic acid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3초

유자씨유의 지방산분석 및 Nitric Oxide 생성, 지방축적능, 렙틴분비 조절효과 (Fatty acid analysis and regulatory effect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 oil on nitric oxide producti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21-228
    • /
    • 2014
  • 본 연구는 유자씨유 (Citron seed oil, CSO)의 지방산분포와 생리활성 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함으로서 기능성 식용유 소재로서의 CSO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oleic acid 32%, linoleic acid 34%, palmitic acid 19.2%, stearic acid 3.8%, linolenic acid 2.0%, palmitoleic acid 0.6%, arachidic acid 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세포독성실험을 통해 0.2 mg/ml 농도까지 독성이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용매 DMSO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어 CSO의 독성 유무를 확인할 수 없었다. HUVECs과 3T3-L1 세포에서 생리활성을 확인하기위해 nitric oxide 생성, Oil Red O 염색을 이용한 지방적형성, leptin 분비를 관찰하였다. CSO는 HUVEC에서 TNF-${\alpha}$의 처리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0.1 mg/ml에서 control 수준까지 nitric oxide 분비량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CSO는 MDI solution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mu}M$ dexamethasone, $10{\mu}g/ml$ insulin) 처리를 통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adipocyte에서 control (100%) 대비 0.05 mg/ml에서 약 27.5%, 0.1 mg/ml에서 약 15.1%의 지방적 (lipid droplet) 형성 억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SO가 항비만 활성에 잠재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leptin 방출이 control군 (100%)대비 CSO 0.05 mg/ml에서 144.5%, 0.1 mg/ml에서 138.3%로 증가하여 식욕억제작용을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CSO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우수한 식물성유지이며 몇 가지 생리활성효과를 가지는 우수한 소재임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의 성분분석과 생리활성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in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Extracts)

  • 김영선;윤유;심태흠;사재훈;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44호
    • /
    • pp.37-4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in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extract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natural pharmaceutical products. The proximate components in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extracts were 81.56% of carbohydrate, 5.80% of crude fat, 7.75% of crude protein, and 2.07% of crude ash. Calcium was the most predominant mineral and followed phosphorus, potassium, sodium, and magnesium, in a decreasing order. The conten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was find to be higher than those of saturated fatty acids. Water and methanol extract exhibited antioxidative activity with $IC_{50}$ of $128{\mu}g/ml$ and $144{\mu}g/ml$,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extracts are the major biological component in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extracts. The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showed that methanol and water extract were the high inhibitory activity. Considering these results, water extracts of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be used as a new material for natural pharmaceutical products.

Recent insight and future techniques to enhance rumen fermentation in dairy goats

  • Mamuad, Lovelia L.;Lee, Sung Sill;Lee, Sang S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_spc호
    • /
    • pp.1321-1330
    • /
    • 2019
  • Recent development of novel techniques in systems biology have been used to improve and manipulate the rumen microbial ecosystem and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its physiological and microbiologic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This provided a deeper insight an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rumen microbiome and the host animal. New high-throughput techniques have revealed that the dominance of Proteobacteria in the neonatal gut might be derived from the maternal placenta through fetal swallowing of amniotic fluid in utero,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the reticulum, omasum, and abomasum with increasing age after birth. Multi "omics" technologies have also enhanced rumen fermentation and production efficiency of dairy goats using dietary interventions through greater knowledge of the links between nutrition, metabolism, and the rumen microbiome and their effect in the environment. For example, supplementation of dietary lipid, such as linseed, affects rumen fermentation by favoring the accumulation of ${\alpha}$-linolenic acid biohydrogenation with a high correlation to the relative abundance of Fibrobacteriaceae. This provides greater resolution of the interlinkages among nutritional strategies, rumen microbes, and metabolism of the host animal that can set the foundation for new advancements in ruminant nutrition using multi 'omics' technologies.

우리나라 영.유아용 조제식의 영양소 규격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Scheme of Nutrient Standard Regulations for Infant Formula in Korea)

  • 엄애선;이헌옥;문지혜;심재영;김인혜;원선임;나영아;최윤주;이혜영;박혜경;김명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69-577
    • /
    • 2007
  • 영 유아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영 유아용 조제식의 영양적 완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CODEX, 미국, 일본, EU, 호주 및 뉴질랜드의 관련법령 및 개선안을 비교 분석 후, 우리나라 영 유아용 조제식의 규격기준의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조제유류와 영아용 조제식으로 이원화된 기준을 CODEX 규격안과 같이 '영 유아용 조제식'으로 통합하고 사용 대상을 6개월 이내의 영 유아로 한정하도록 제시한다. 영 유아용 조제식의 유단백질에 대한 질소계수를 CODEX 규격안과 동일한 수준으로 변경하고, 단백질 급원에 따른 함량별 차이와 모유내의 필수아미노산 성분을 단백질 함량 규격에 제시한다. 또한 영 유아를 위한 필수지방산인 $\alpha$-linolenic acid, DHA와 EPA, trans fatty acid 함유량을 지방 함량 규격에 제시한다. 영 유아용 조제식의 비타민과 무기질 및 기타 영양소의 성분기준을 선진국과 동일한 중량(100 g)당에서 에너지(100 kcal)당 영양소 함량으로 개선하도록 제시한다. 현행 규격에는 일부 비타민(비타민 A, D)과 무기질(나트륨, 칼륨 및 염소)의 최대값만 지정되어 있으므로 모든 비타민과 무기질의 최대값을 설정하도록 제시한다. CODEX 규격안, EU, 호주 및 뉴질랜드 영 유아용 조제식 관련 규격에서 제시한 모유내 면역증진성분으로 알려진 nucleotide 5종(cytidine, uridine, adenosine, guanosine, inosine 5'-monophosphate)과 치아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불소의 함량 규격을 설정하도록 제시한다.

유통 압착올리브유의 이화학적인 특성 (Analysis of Characterization in Commercial Extra Virgin Olive Oils)

  • 남하영;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66-873
    • /
    • 2007
  •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산 및 수입산 압착올리브유에 대한 향 성분 및 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향 성분의 구별을 위해 SPME-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올리브유의 주요 향 성분으로 hexanal, 4-hexen-1-ol, (Z)-3-hexen-1-ol, acetic acid, 2,4-dimethyl-heptane 등이 동정되었고, MOS 유형의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성분패턴 분석결과, 올리브원유의 원산지에 따라 각기 다른 향기패턴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튀니지산(no. 10)을 제외한 12종의 압착올리브유는 유사한 지방산을 보였으며, 13종의 압착올리브유는 oleic acid(18:1, 61.1${\sim}$77.9 mole%)가 주요 지방산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palmitic(16:0, 11.7${\sim}$16.5 mole%), linoleic(18:2, 4.7${\sim}$17.4 mole%), stearic(18:0, 1.9${\sim}$3.6 mole%), palmitoleic(16:1, 0.8${\sim}$2.2 mole%), linolenic acid(18:3, 0.7${\sim}$1.2mole%)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조사된 13종의 압착올리브유에서 $L^{\ast}$값은 81.7${\sim}$92.9, $a^{\ast}$값은 -28.3${\sim}$13.5, $b^{\ast}$값은 52.2${\sim}$139.0을 나타내었다. 국내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16.7${\sim}$24.9 mg/100 g, 수입brand 압착올리브유에서는 6.2${\sim}$19.5 mg/100 g으로 전체적으로 국내산이 수입산보다 total phenol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조사된 압착올리브유의 ${\alpha}-tocopherol$ 함량은 5.5${\sim}$12.8 mg/100 g의 분포를 보였다. 압착올리브유 시료들의 초기 POV는 13.5${\sim}$22.9 meq/kg oil의 수치를 보였고, 이들의 induction period time은 10번 시료(19.88 hr)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들에서 31.76${\sim}$54.04 hr로 나타났다.

증숙 건조 방식으로 제조한 돼지감자차의 성분 및 기능성 (Components and Function of Artichoke Tea Prepared by Steaming and Drying Method)

  • 황은경;이선현;김병기;김수정;안용근;도륜;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2
    • /
    • 2019
  • 돼지감자를 9번 찌고 9번 말려서 차를 제조한 다음 M사의 돼지감자차와 성분 및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발한 돼지감자차는 칼로리 342.27kcal, 탄수화물 73.87g/100g, 유리당 32.66mg/100g, 회분 6.80g/100g, 단백질 8.21g/100g이었고 무기물 총량은 2,785.67mg/100g, 칼륨 2,563.93mg/g, 칼슘 97.52mg/g, 마그네슘 88.78mg/g 등이었다. 돼지감자차의 유리당 총량은 32.66mg/100g이고 그중 fructose 17.40mg/100g, sucrose 9.03mg/100g, glucose 6.05mg/100g이었다. 돼지감자 차의 포화지방산은 30.34mg/100g, 4 불포화지방산은 69.66mg/100g이었고 그 중 linoleic acid 47.00mg/100g, palmitic acid 25.31mg/100g, linolenic acid 8.61mg/100g이었다. DPPH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34.2%, 비교용 M사차 5.2%, 지표물질 44.0%였다. ABTS 라디컬 소거력은 개발한 차 93.0%, M사차 61.9%, 지표물질 47.6%였다. SOD 유사활성은 개발한 차 2.7%, M사차 1.6%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개발한 차 2.8 fold, M사차 2.0 fold, 지표물질 1.7 fold 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개발한 차 38.2 fold, M사차 8.92 fold, 지표물질 14.0 fold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율은 개발한 차 9.83%, M사차 8.92%였다. 기호도는 1회 우린 것과 5회 우린 것을 비교하였다. 1회 우린 것을 기준으로 할 때 5회 우린 것의 기호도 중 색은 개발한 차 83.7%, 비교용 차 50.0%, 향기는 개발한 차 78.0%, 비교용 차 42.5%, 맛은 개발한 차 66.7%, 비교용 차 37.5%, 종합적인 기호도는 개발한 차 73.3%, 비교용 차 47.5%로 나타났다. 이같이 비교용 M사차는 우릴수록 추출 성분이 감소하여 5회 후에 종합적인 기호도는 46.3%로 감소한 반면 개발한 차는 감소폭이 적어서 73.3%를 나타냈다. 이같이 개발한 돼지감자차는 비교용 M사차 및 지표물질보다 항산화 작용이 강하고 유효 물질 함량도 더 많고, 기호성도 높으므로 질병 예방 및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Green cabbage supplementation influences the gene expression and fatty acid levels of adipose tissue in Chinese Wanxi White geese

  • Bin Wang;Zhengquan Liu;Xingyong Chen;Cheng Zhang;Zhaoyu Ge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558-1567
    • /
    • 2023
  • Objective: Dietary green cabbage was evaluated for its impact on fatty acid synthetic ability in different adipose tissues during fattening of Wanxi White geese. Methods: A total of 256 Wanxi White geese at their 70 day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4 groups with 4 replicates and fed 0%, 15%, 30%, and 45% fresh green cabbage (relative to dry matter), respectively, in each group. Adipose tissues (subcutaneous and abdominal fat), liver and blood were collected from 4 birds in each replicate at their 70, 80, 90, and 100 days for fatty acid composition, relative gene expression and serum lipid analysis. Two-way or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contents of palmitic acid (C16:0), palmitoleic acid (C16:1), linoleic acid (C18:2), and alpha-linolenic acid (C18:3) were feeding time dependently increased. The C16:0 and stearic acid (C18:0) were higher in abdominal fat, while C16:1, oleic acid (C18:1), and C18:2 were higher in subcutaneous fat. Geese fed 45% green cabbage exhibited highest level of C18:3. Geese fed green cabbage for 30 d exhibited higher level of C16:0 and C18:0 in abdominal fat, while geese fed 30% to 45% green cabbage exhibited higher C18:3 in subcutaneous fat. The expression of Acsl1 (p = 0.003) and Scd1 (p<0.0001) were decreased with green cabbage addition. Interaction between feeding time and adipose tissue affected elongation of long-chain fatty acids family member 6 (Elovl6), acyl-CoA synthetase longchain family member 1 (Acsl1), and stearoly-coA desaturase 1 (Scd1) gene expression levels (p = 0.013, p = 0.003, p = 0.005). Feeding time only affected serum lipid levels of free fatty acid and chylomicron. Higher contents of C16:0, C18:1, and C18:3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mRNA expression of Scd1 (p<0.0001), while higher level of C18:2 was associated with less mRNA expression of Scd1 (p<0.0001). Conclusion: Considering content of C18:2 and C18:3, 30% addition of green cabbage could be considered for fattening for 30 days in Wanxi White geese.

들깨유와 고추 종자유의 혼합 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소판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eeding Mixed Perilla Oil and Red Pepper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Platelet in Rats)

  • 강정옥;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4-130
    • /
    • 1992
  • $\alpha$ -lino1enic acid를 약60%함유하는 들깨유와 1ino1eic acid를 약 64% 함유하는 고추종자유를 비율별로 흰쥐에게 혼합급이하였을 때 혈청 및 혈소판에 미치는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분석 검토한 바, 혈청 지질의 총 지방산 조성은 SFA가 30.6%~34.9% 범위로 각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MUFA는 14.4%~17.0% 범위이며, PUFA는 48.0%~53.0% 범위로 총지방산의 약50%를 차지하였다. 혈청중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다불포화지방산 조성중 $C_{l8 : 2}$ ($\omega$-6)는 콜레스테를 에스테르 성분에서 인지질, 중성지질성분보다 함유비율이 약간 많았고, $C_{20 : 4}$ ($\omega$-6)는 각 성분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고, 각 성분에 있어 $C_{l8 : 2}$ ($\omega$-6)나 $C_{20 : 4}$ ($\omega$-6) 모두 시험유지의 $\omega$-3PUFA/$\omega$-6PUFA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_{l8 : 3}$ ($\omega$-3)은 각 지질성분 모두 $C_{20 : 4}$ ($\omega$-3) 및 $C_{20 : 5}$ ($\omega$-3)보다 함유 비율이 높았다. 혈소판의 지방산 조성은 SFA는 2군(7.5% 들깨유+12.5% 고추종자유), 3군 (5.0% 들깨유+5.0% 고추종자유)에서 낮았고, 5군(10.0% 고추종자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MUFA는 3군이 가장 높고 5군이 가장 낮았다. 한편, PUFA는 2군에서 가장 낮았고 EPA/AA비는 2군이 가장 높았으며 5군에서 가장 낮았다.낮았다.

  • PDF

Bermuda Grass Hay or Sorghum Silage with or without Yeast Addition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Crossbred Young Bulls Finished in Feedlot

  • Maggioni, Daniele;De Araujo, Jair Marques;Perotto, Daniel;Rotta, Polyana Pizzi;Ducatti, Taciana;Matsushita, Makoto;Silva, Roberio Rodrigues;Prado, Ivanor Nunes d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06-215
    • /
    • 200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40 crossbred young bulls ($Zebu{\times}European$) finished in a feedlot under two roughage sources (Bermuda grass hay or sorghum silage) with or without the addition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sae). The bulls were 20 months old, their initial average weight was 356 kg and they were allocated into four groups of ten animal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Bermuda grass, Bermuda grass+yeast, sorghum silage and sorghum silage +yeast.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were not influenced by roughage source or yeast addition.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was 1.50 kg, dry matter intake (DMI) was 11.1 kg/d, DMI as percentage of liveweight was 2.60% and feed dry matter conversion was 7.70. The mean dressing percentage was 52.0% and hot carcass weight was 268 kg. Carcass conformation was classified between good-minus to good. Carcass length (137 cm), leg length (72.9 cm) and cushion thickness (26.6 cm) were not influenced by treatments. The average fat thickness was 3.80 mm and the Longissimus muscle area was 66.9 $cm^{2}$. The classification of color, texture and marbling were slightly dark red to red, fine and slight-minus to light-typical, respectively. The mean percentage of bone, muscle and fat in the carcass was 15.5%, 62.3% and 22.5%, respectively. Yeast addition increased ${\gamma}$-linolenic fatty acid (0.15 vs. 0.11%) deposition. Bermuda grass hay increased deposition of ${\alpha}$-linolenic (0.49 vs. 0.41%), arachidonic (2.30 vs. 1.57%), eicosapentaenoic (0.41 vs. 0.29%), docosapentaenoic (0.80 vs. 0.62%), docosahexaenoic (0.11 vs. 0.06%) and n-3 fatty acids, and reduced n-6: n-3 ratio in meat, when compared to sorghum silage treatments. The treatments had no effect on saturated fatty acids (49.5%), polyunsaturated fatty acids (11.8%), n-6 fatty acids (9.87%), n-3 (1.61%) and PUFA:SFA ratio (0.24). Mono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were higher on sorghum silage (40.7 vs. 37.7%). The addition of yeast caused higher n-6: n-3 ratio (7.28 vs. 5.70) than treatments without yeast.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flaxseed Extracts Based on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 박예은;김병혁;윤여초;김중규;이준형;권기석;황학수;이중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7-554
    • /
    • 2018
  •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아마씨의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가열 처리된(볶은) 아마씨에 4종의 유산균(NFFS ; Non-fermented flaxseed, BHN-LAB31, 126 ; Lactobacillus brevis, BHN-LAB41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109 ;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70% 에탄올을 통해 추출하여 각 발효 유산균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하지 않은 아마씨(NFFS)에 비해 유산균 발효 아마씨에서 전반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약 1.5~8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약 1.2배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100 ppm 농도에서 비 발효 아마씨 대비 5.6배, SOD 유사활성능은 2.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산균을 이용한 아마씨의 발효가 가능하며, 유산균 발효가 아마씨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