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ha}$-caroten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19초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비타민 A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vitamin A)

  • 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01-210
    • /
    • 2022
  • 비타민 A는 필수 미량영양소로써, 시력, 생식, 성장과 발생, 세포 분화 등의 다양한 체내 정상 기능 유지에 필요하다.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비타민 A는 감염, 면역저하, 암 등에서 치료적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본 논문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비타민 A의 제정과 개정 근거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단위변경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을 위한 제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대비 표준체중의 변경에 따라 비타민 A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성별, 연령별 약간의 개정이 있었다.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부터 비타민 A의 단위가 RE에서 RAE로 변경되면서 카로티노이드의 비타민 A 활성도는 절반으로 감소되었다. 한국인의 비타민 A 주요 공급원은 식물성 식품이므로 한국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은 불량하게 평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비타민 A 섭취분석에는 레티놀과 베타-카로틴만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추후에는 다른 형태의 비타민 A 전구체인 알파-카로틴, 베타-크립토잔틴과 등의 카로티노이드들의 함량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계절 차이가 뚜렷한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비타민 A의 함량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보다 더 정확한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을 위해서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데이터와 기초 미량영양소 상태, 비만도, 식이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무엇보다 비타민 A의 공급이 제한적인 식물성 식품에서도 비타민 A섭취가 가능한 다양한 급원식품을 찾고, 동물성 식품으로부터의 비타민 A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의 모색도 요구된다.

해조류 중의 anti-tumor initiator 및 promoter의 해석-3 : 곰피 추출물중의 발암 promotion억제 인자 (Elucidation of Anti-tumor Initiator and Promoter Derived from Seaweed-3 : Anti-tumor Promoters of Ecklonia stolonifera Extracts)

  • 박영범;김인수;유승재;안종관;이태기;박덕천;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7-593
    • /
    • 1998
  • 갈조류중의 발암 promotion 억제인자를 밝히기 위하여 곰피, 미역 및 다시마의 용매추출물을 이용하여 발암 promotion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곰피. 미역 및 다시마의 수용성 추출물을 제외한 유기용매 분획물에서 우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억제효과가 강한 곰피를 이용하여 발암 promotion 억제인자를 살펴본 결과, 곰피중의 bromophenol, phloroglucinol 등의 phenol 을 비롯하여 chlorophyll 및 carotenoid 화합물에서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곰피의 chlorophyll a 및 pheophorbide a에서 5 $\mu$M 첨가시 $77.4\%$$66.6\%$의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곰피의 carotenoid 화물 중에서는 lutein, $\alpha$-cryptoxanthin 및 $\beta$-carotene이 주요 억제인자로 밝혀졌다. Lutein 및 $\alpha$-cryptoxanthin 의 발암 promotion 억제효과는 20$\mu$g 첨가에 의해 각각 $76.9\%$$84.4\%$로 우수하였고, 세포 생잔율도 높게 나타났다.

  • PDF

진범(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추출물의 항노화 및 항당뇨 효과 (Anti-aging and Anti-diabetes Effects of Aconitum pesudo-laeve var. erectum Extracts)

  • 김정환;이수연;권오준;박주훈;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6-621
    • /
    • 2013
  • 진범은 열독을 제거하고 발한을 유도하여 몸의 수분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져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항염증 활성과 장기의 면연체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진범 추출물의 항노화와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물과 에탄올을 이용하여 진범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이 가지는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PF 및 TBARs와 같은 항산화 활성과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진범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mu}g/ml$, $50{\mu}g/ml$ 처리군부터 50% 이상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99.8{\pm}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베타카로텐리놀레이트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물 추출물에서 1.27 PF, 1.33 PF값을,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40 PF, 1.49 PF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에서 $0.16{\pm}0.03{\mu}M$로 가장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의 농도 $1,000{\mu}g/ml$ 처리군와 에탄올 추출물의 100~$1,000{\mu}g/ml$ 처리군에서 90% 이상의 ${\alpha}$-amylase 저해 활성과 60% 이상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진범의 생리활성을 이용하여 항노화 화장품 원료와 항산화 및 항당뇨 예방물질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산 지역 고혈압 노인의 비만 지표 및 혈중 총항산화도 (Obesity Indices and Plasma Total Antioxidant Status in Hypertensive Elderly Living in Ulsan Area)

  • 김정희;김미정;곽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9-288
    • /
    • 2006
  • The role of free radicals in the progression of many diseases and aging has been given a great attention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has shown to be reduced with aging.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has shown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aged population, and i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obesity and oxidative stres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besity indices and the total antioxidant status in hypertensive elderly (64y$\alpha$-tocopherol, $\beta$-carotene and ascorbic acid did not show their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A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ypertensive elderly are prone to be obese and to have increased TAS. Due to unknown factors affecting TAS values, measurement of plasma TAS as a sole indicator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is limited to fully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body's free radical trapping power. However,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may suggest that hypertension and/or obesity might increase oxidative stress, followed by increased the body's total antioxidant defense system.

Potential Antioxidant Peptides in Rice Wine

  • Rhee, Sook-Jong;Lee, Chung-Yung J.;Kim, Mi-Ryung;Lee, Cherl-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715-721
    • /
    • 2004
  • Many food protein hydrolysates have been shown to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cent research focuses on low molecular peptides produced during hydrolysis of food protein. Korean rice wine contains about 60-70% of protein at dry base and originates from raw material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protein is transformed into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and have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e-purified and purified peptides found in Korean rice wine and to identify the responsible peptides. The wine extract of Samhaeju, a traditional Korean rice wine made by low temperature fermentation, was evaporated at $35^{\circ}C$. The two methods employed in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the beta-carotene bleaching test. The pre-purified samples showed 808 AAC (Antioxidant Activity Coefficient) and 56.5% AOA (Antioxidant Activity), which were higher than $\alpha$-tocopherol (572 AAC and 78% AOA). The rice wine extract was separated by reversed-phase HPLC.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four most antioxidant active fractions were tested for t-butyl hydroperoxide induced oxidation of healthy human erythrocytes and the byproduct was determined by malondialdehyde formation. Fraction No.5 showed 35% lower MDA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eptides were further purified using consecutive chromatographic methods and 4 antioxidant peptides were isolated.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peptides were identified as Ile-His-His, Val- Val-His(Asn), Leu-Val-Pro, and Leu(Val)-Lys-Arg-Pro. The AAC value of the synthetic form of the identified peptides was the highest for Ile-His-His.

Antioxidative Activity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lycopersicum var. cerasiforme) Extracts and Protective Effect for $H_2O_2$-induced Inhibition of Gap Junction Intercellular Communication

  • Kim, Su-Na;Choi, Won-Hee;Ahn, Ji-Yun;Ha, Tae-Yo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30-635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various antioxidants,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o measure the protective effect for gap junction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to assess the functional potency of the cherry tomato. The ascorbic acid, lycopene, and ${\beta}-carotene$ were measured at $503.4{\pm}9.6$, $39.7{\pm}1.5$, and $7.4{\pm}0.3$ mg/100 g d.w., and ${\alpha}-$, ${\beta}+{\gamma}-$, ${\delta}-tocopherol$ contents were measured at $8.3{\pm}0.1$, $1.7{\pm}0.0$, and $0.1{\pm}0.0$ mg/100 g d.w., respectively. Cherry tomato extract using hexane/acetone/EtOH (2:1:1, CTE) exhibited a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48.83{\pm}0.30\;{\mu}g/mL$. The cherry tomato protected against the inhibition of GJIC induced by $H_2O_2$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and the reduction in phosphorylated Cx43 was most clear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T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herry tomato harbors a wealth of potent antioxidants and might be protect human body against the inhibition of the GJIC by toxic components.

경계성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과 산화 스트레스 관련 지표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oxidative stress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 한정화;이혜진;최희정;윤경은;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26-136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tension and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and to evaluate these parameters i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and normotensive subjects living in Korea. We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would differ between two groups of 227 newly-diagnosed, untreated (systolic blood pressure (BP) ${\geq}$ 130 mmHg and diastolic BP ${\geq}$ 85 mmHg) and 130 normotensive subjects (systolic BP < 120 mmHg and diastolic BP < 80 mmH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a simple questionnaire. From subjects' blood, degree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the activities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level of plasm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glutathione, and anti-oxidative vitamins, as well as plasma lipid profiles and conjugated diene (CD) were analyzed. Evaluation of the associations of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with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partial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Several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were higher i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than in normotensive subjects. Plasma levels of ${\alpha}$-tocopherol, ${\beta}$-carotene, TRAP, and activity of GSH-p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than in normotensive subjects. Increased levels of DNA damage, lipid peroxidation,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observed i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These results confirm an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oxidative stress-related parameters and suggest that the pathogenic role of oxidative stress in hypertension might be significant.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의 항염증 효능 분석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Chrysanthemum coronarium PDRN (Polydeoxyribonucleotide))

  • 송미희;최문혁;정진형;이상식;정우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96-404
    • /
    • 2022
  •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에는 베타카로틴을 비롯한 비타민 A,C, 폴리페놀 성분 등 여러 항산화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항염증 효능을 보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추출물에 포함되는 PDRN이 항염증 반응을 매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Lipopolysaccharides(LPS)로 자극하여 염증세포로의 전환을 유도한 다음, 쑥갓에서 추출한 PDRN의 첨가가 염증 억제 효능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항염증의 지표로는 IL-1β,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사용하였으며, RT-PCR로 각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분걱 결과, RT-PCR에서는 IL-1β, TNF-α 두 유전자에서 PDRN에 의한 염증 억제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염증 질환의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는 선행자료라 사료되며, 염증억제 기전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연구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현황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stimated dietary intake of vitamin A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2)

  • 김성아;전신영;정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4호
    • /
    • pp.258-26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비타민 A 섭취 실태와 그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 4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2) 자료의 24시간 회상법 자료와 상용식품 중 레티놀 및 카로티노이드 함량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하여 1일 레티놀, 6종의 카로티노이드 (${\alpha}$-카로틴, ${\beta}$-카로틴, 리코펜, ${\beta}$-크립토잔틴, 루테인/제아잔틴) 및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 33,069명의 평균 비타민 A 섭취량은 레티놀 당량으로 $788.4{\mu}g\;RE/day$였으며, 레티놀 활성당량으로는 $488.9{\mu}g\;RE/day$였다. 대상자의 비타민 A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새로 개정된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의 비타민 A 기준과 비교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2010년의 RE 기준으로는 42.9%가, 2015년의 RAE 기준으로는 70.6%가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75세 이상 대상자 중 80% 이상이 새로 개정된 기준에 따르면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고,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비타민 A 섭취 부족 위험이 증가하였다. 각 식품군 별 비타민 A의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에는, 채소류, 조미료류, 해조류, 과일류 순으로 기여율이 높았다. 새로 제정된 영양섭취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종전에 비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므로,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충분한 양의 비타민 A를 섭취하도록 교육하고 권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A 섭취량을 추정하고, 섭취의 적절성을 평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비타민 A의 섭취 실태를 확인한 본 연구에서 더 나아가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 A 및 레티놀, 카로티노이드의 섭취량과 대사지표 및 부족 증상의 발생 등과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육시기별 식물 잎의 항산화제 함량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s of Several Plant Leaves During Growth)

  • 강정렬;김석중;박신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4-109
    • /
    • 2004
  • 많은 항산화제가 식물 잎에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식물 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항산화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잎, 뽕잎, 탱자나무잎에 존재하는 항산화 성분의 양을 잎의 성장 시기별로 조사하였다. 총 polyphenol의 함량은 잎이 성장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생육초기인 4월에 채취한 감잎의 경우 총 polyphenol의 함량이 4.62 g/dried 100 g으로 나타나, 뽕잎 1.70 g/dried 100 g와 탱자나무잎 0.91 g/dried 100 g에 비해 2.7∼5.1배 많이 검출되었다. Ascorbic acid의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뽕잎이 2.7∼6.0, 감잎이 5.3∼9.9, 탱자나뭇잎이 3.7∼6.9 mg/dried 100 g으로 감잎이 뽕잎이나 탱자나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Glutathione리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그 평균함량은 탱자나뭇잎이 35.7, 뽕잎이 15.8, 감잎이 2.3 mg/dried 100 g으로 탱자나뭇잎에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성장을 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성장 후기인 9월에 채취한 잎의 경우, 뽕잎이 411.2 mg/dried 100 g으로 나타나, 감잎 198.5, 탱자나뭇잎 144.1 mg/dried 100 g보다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alpha$-Tocopherol의 함량도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성장 후기인 9월에는 탱자나뭇잎이 52.8, 뽕잎이 48.6, 감잎이 61.7 mg/dried 100 g으로 나타나, 감잎이 다소 높게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