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가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군위 삼국유사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n Us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patial Storytelling Components in Historical Theme Park - Focused on Samgukyusa Theme Park in Gunwi-Gun -

  • 김오연 (한경국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
  • 안승홍 (한경국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Kim, Oh-yeo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An, Seung-Hong (School of Plant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2.13
  • 심사 : 2024.02.26
  • 발행 : 2024.04.30

초록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의사소통 기법으로 청자는 이야기를 수용하며 주제를 재해석하고 화자와 상호작용한다. 역사테마파크에 적용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인지가 테마파크의 이용만족도와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고 이용객의 인식과 구성인자가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테마성, 체험성, 비일상성, 교육성, 통일성, 표현성, 상호작용성, 흥미성의 역사테마파크의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삼국유사테마파크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EXCEL2020,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테마파크 주제 전달 방식으로 적용된 공간 스토리텔링 기법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며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해 대부분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 중요도 인식 중 비일상성과 교육성 중요도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비일상성, 상호작용성, 교육성, 흥미성 중요도가 재방문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에 따라 흥미성, 테마성, 통일성 인지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호작용성, 체험성 인지가 재방문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역사테마파크 특성 요인과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여 스토리텔링이 역사테마파크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 분석과 해석하여 그 의의가 있다.

Storytelling is a communication technique to express and convey the story using various media, where the audience accepts the story, reinterprets the topic and interacts with the storyteller. It was assumed that the user's significance and awareness about the storytelling technique applied to historical theme parks would have an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theme park and intention to revisit. In this study, it was purposed to derive the structural factors of spatial storytelling in historical theme parks, an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user's awareness and constituent factors on user response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structural factors of spatial storytelling in historical theme parks were derived related to theme, experientiality, unusualness, educationalness, unity, expressiveness, interactivity, and interest, and for which the users' awareness was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users of Samguk Yusa Theme Park located in Gunwi-gun, Gyeongsangbuk-do, whe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EXCEL2020 and SPSS 21.0 statistical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storytelling technique applied as a conveying method of the theme of Samguk Yusa Theme Park affects us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and most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storytelling was significant. Second, it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unusualness and educationalness among the awareness of significance of the spatial storytelling constituent factors of Samguk Yusa Theme Park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unusualness, interactivity, educationalness, and interes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revisit. Third, it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interest, theme, and un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s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user's awareness of spatial storytelling constituent factors of Samguk Yusa Theme Park, and the awareness of interactivity and experientia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revis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quant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on user's response to historical theme parks by the exploratory analysis of characteristic factors and spatial storytelling constituent factors on historical theme parks and deriving the structural factors of spatial storytelling in historical theme park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한경국립대학교 연구역량장학금을 지원받아 연구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군위군(2013) 삼국유사 가온누리 조성사업 실시설계 보고서.
  2. 김국선, 윤종현(2010) 캐릭터 마케팅을 활용한 국내 테마파크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5(4): 155-164. https://doi.org/10.35216/KISD.2010.5.4.155
  3. 김단비, 이정교(2017) 화장품 원브랜드숍의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공간 스토리텔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지 12(3): 37-47.
  4. 김미영(2013) 건축물 미술작품의 '공간스토리텔링 요인'이 주거공간 호감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령(2014) 삼국유사의 佛法傳書적 이해.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주연(2020) 오미마을 장소성 강화를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준래(2015) 박경리 문학공원의 스토리텔링 해석 연구. 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효중(2014) 관광지 스토리텔링에 대한 선택속성, 장소애착, 만족도 및 충성도 간 영향관계 연구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희경(2016) 테마 공간의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0. 김희진, 안태기(2016) 스페셜 테마파크의 사례와 전략.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11. 박가윤(2020) 공간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재생 공간의 장소성(placeness) 형성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봉균(2021) 문화도시의 공간스토리텔링 및 공간이미지 구성요소 분석.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배진희, 권기창(2019) 장소성 강화를 위한 '안동포마을' 공간스토리텔링. 지역과 문화 6(4): 73-97.
  14. 안숭범, 최혜실(2010)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포항'연오랑세오녀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7: 279-303.
  15. 엽우정(2018) 중국 역사테마파크 공연콘텐츠 스토리텔링 개선방안 연구 : 항주 송성테마파크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왕영(2011)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가족형 방문객 분석 -중국 항주 송성<宋城>테마파크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우정정(2012) 역사문화 테마파크의 단체방문객과 개별방문객 비교 분석 -중국 청더 피서산장<避暑山莊>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원혜리(2017) 공간 스토리텔링이 적용된 바(Bar)의 공간 표현 특성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양(2016) 방문 지역에 따른 역사 테마파크 방문 특징에 관한 분석 -중국 개봉 청명상하원<清明上河園>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희중(2010)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테마파크 조성 연구-한국영화콘텐츠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인성(2019) 테마파크 재활성화 핵심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서울랜드 사례를 대상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이희숙, 임영상(2014) 테마파크 스토리텔링 기법을 이용한 안동 유교랜드 분석. 글로벌 문화콘텐츠 1(17): 153-177.
  23. 정은수(2017) 문화관광축제의 관광스토리텔링 구성요소가 지역이미지와 방문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무주반딧물 축제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조은숙(2019) 테마파크의 혼잡지각에 따른 방문객의 행동의도 연구: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영은(2015) 테마파크의 전략적 스토리텔링 공간화 연구: 리틀 소시움(Little Socium)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탕흔(2017) 역사 문화 원형을 활용한 역사테마파크 콘텐츠 연구: 항저우(杭州) 송성(宋城) 테마파크 사례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하성주(2010) 도심 엔터테인먼트 복합쇼핑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하시명(2015) 연속장면의 시각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해석에 관한 연구 -용인 에버랜드를 사례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Denning, S.(2006) Effective storytelling: Strategic business narrative techniques. Strategy & Leadership 34(1): 4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