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ificance of Storytellin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4초

향토음식의 스토리텔링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torytelling Application of Native Local Foods)

  • 최정숙;박한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7-14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cheme that can enhance the value of native local foods by analyzing the case into which storytelling is incorporated in order to revitalize native local foods. Towards this end, the cases of native local foods throughout the country were recommended through professional survey and one region among them was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field study. The survey on the native local foods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study. The four stages of storytelling: the findings of storytelling, the production of storytelling, the experience of storytelling, and sharing of storytelling were analyzed by stage and the contents of the survey by stage were developed. In the findings of story, the origins and background of the main family's foods and food-related stories were derived. The production of stories deals with how to convey the stories of surveyed native local foods to consumers and it presented the stories about the place and food menu. In the experience of storytell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non-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people visit native local eating houses and experience native local foods were analyzed. Finally, in the sharing of story, how the tourists who have experienced the native local foods make stories and disseminate and share them was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rough the storytelling technique it presented the findings, production, experience and sharing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level that can apply to practical business. Although the research is in the stage of inqui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basic methodology that can induce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ve local food industry through examining the tradition and significance of native local foods that can be found in all the regions of the country.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가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 군위 삼국유사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n Us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Spatial Storytelling Components in Historical Theme Park - Focused on Samgukyusa Theme Park in Gunwi-Gun -)

  • 김오연;안승홍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64-78
    • /
    • 2024
  •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의사소통 기법으로 청자는 이야기를 수용하며 주제를 재해석하고 화자와 상호작용한다. 역사테마파크에 적용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와 인지가 테마파크의 이용만족도와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고 이용객의 인식과 구성인자가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근거하여 테마성, 체험성, 비일상성, 교육성, 통일성, 표현성, 상호작용성, 흥미성의 역사테마파크의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삼국유사테마파크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EXCEL2020,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테마파크 주제 전달 방식으로 적용된 공간 스토리텔링 기법이 이용자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미치며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해 대부분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 중요도 인식 중 비일상성과 교육성 중요도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비일상성, 상호작용성, 교육성, 흥미성 중요도가 재방문 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삼국유사테마파크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인자에 대한 이용자의 인지에 따라 흥미성, 테마성, 통일성 인지가 이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호작용성, 체험성 인지가 재방문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역사테마파크 특성 요인과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역사테마파크 공간스토리텔링 구성인자를 도출하여 스토리텔링이 역사테마파크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량적 분석과 해석하여 그 의의가 있다.

백제 유물 진묘수(石獸)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문화상품 제안 (A proposal for storytelling cultural products using Baekje Relic Jinmyosu (Guarding animals in tombs))

  • 라선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24
    • /
    • 2020
  • Storytelling, a medium that arouses the customers' purchasing need by playing on their emotions, is the best content that can be used as it can increase the value of goods using information. This paper's significance is that it suggests 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used by using Baeke relic Jinmyosu (Guard Animals) as a motif. The purpose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This study developed storytelling by adding the meaning of Jinmyo and Beoksa, who calm protected their masters from evil forces with horns and wings, and has the meaning of ascending into heaven and guiding the soul on the right path. That image gives a glimpse of originality and differentiation to Baekje. This study proposed 4 cultural products as 'Keeper Stone Mason' and 4 'Stone Mason Teller.' The proposed cultural products can help to give correct awareness of Baekje culture through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aeke relic, Jinmyosu. Moreover, it will help promote the originality and excellence of Baekje culture around the world by enhancing the value of Baekje cul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line for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that can create added value in various fields.

동화구연과 극화활동이 음성언어사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with dramatization on the listening and speaking competence of children)

  • 이승렬;홍영숙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4호
    • /
    • pp.305-33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the techniques of storytelling with dramatization upon children's competence of English speaking and listening. These techniques are considered to enable children to have ample opportunity of use in and exposure to English, as well as interest. This study is sequenced as selecting stories by way of consulting literatures, developing a teaching model for practising classes through storytelling with dramatization, and analyzing the data resulting from the pre- and post-listening/speaking test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better significance than the control one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post-test. Therefore, literary units also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English textbooks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aural-oral competence through the storytelling with dramatization.

  • PDF

향토음식점의 스토리텔링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orytelling on Purchase Behavior in Local Food Restaurant)

  • 박아름;조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64-769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ustomers perceive storytelling at a real local restaurant and to understand how consumption reflects their evaluation by understanding their values. Participants received information from a real local restaurant in the Gangneung area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nd to evaluate their affective attitudes towards local restaurant stories, word-of-mouth intentions, and purchasing intentions using a seven-point Likert scale. A total of 310 consumers were used. A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onsumption value characteristics and factor structure, which consisted economic value, emotional value, and epistemic value. To test whether local restaurant consumers could be classified into homogenous groups based on their consumption values, a three cluster solution was selected, and a Kmean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and labeled appropriate for their scores based on each of the consumption values; emotional value-oriented consumers to cluster 1, epistemic value-oriented consumers to cluster 2, and economic value-oriented consumers to cluster 3. An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affective attitudes towards storytelling at the local restaurant, purchasing intentions, and word-of-mouth intentions across the three clusters. The epistemic value-oriented consumers had the highest score for all three variables. In contrast, economic value-oriented consumers had the lowest scores for the three variables. A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ffective attitudes towards storytelling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se three consumption values. It also showed that positive affective attitudes towards storytelling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urchasing intention and word-of-mou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show how customers perceive storytelling at a real restaurant and reflect on their evaluation by understanding their consumption values. As a result,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power of storytelling as an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tool for local restaurants.

연행론의 관점에서 본 전통 스토리텔링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Storytelling in the sense of Performance Theory)

  • 김경섭;김정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23-130
    • /
    • 2018
  • 스토리텔링 연구에서 그동안 '스토리'의 정태적 측면만이 고려되고, '텔링'의 동적이고 구체적인 현장이 등한시 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논의에 있어서, 스토리 중심에서 탈피하여 말하기와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이런 점을 적극 수용하여 이 글에서 거론하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란 설화 구연상황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용어이다. 스토리텔링이 구연화자에 의해 표현될 경우가 바로 구술 연행이라는 '전통 스토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사실상 스토리텔링의 오랜 역사는 이야기 연행과 같은 구연 스토리텔링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물론 현 시대의 스토리텔링이 구술 시대의 스토리텔링과 같은 것일 수는 없겠지만, 전통스토리텔링의 구연상황은 텔링이 중요한 이 시대에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 준다. 우선 전통 스토리텔링의 형식에서 주목할 것이 바로 연행의 '반성성'이다. 이는 연행 형식 내에 자기 자신을 점검하고 되돌아보는 일종의 자기-참조의 양식이다. 이를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텔링의 현장성과 일회성을 수시로 의식하는 면모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는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이다. 틀을 통해 전통 스토리텔링은 연행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한다. 틀은 일종의 연행 분위기를 조장하고 형성하는 일련의 발화와 행위를 포괄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전통 스토리텔링의 틀에 대한 일반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지역문화자산을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ourism Storytelling using Local Cultural Assets on Behavior Intention: focusing on Namwon)

  • 박주연;권혁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89-107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의 관광스토리텔링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경제·문화적인 회복이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관광객이 인지하는 관광스토리텔링의 속성, 관광지에서의 체험을 통한 진정성(authenticity), 그리고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와 변수 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광스토리텔링의 감성, 교육성, 이해용이성, 흥미성, 테마성의 속성이 관광객의 진정성 체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광객의 진정성 체험은 관광객들의 방문의도나 구전의도 등 관광객들의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언어학 및 인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오던 스토리텔링의 속성을 국내의 대표적인 문화관광 지인 '남원' 지역에 접목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 학문적으로 높은 의의가 있다. 또한, 남원 지역이 세계적인 문화관광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유의 스토리텔링 속성과 지역의 자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관광스토리텔링 개발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함에 있어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BIG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스토리텔링에 의한 형태생성 프로세스와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Form Genera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 by Storytelling in BIG's Architecture)

  • 김종성;김개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9-86
    • /
    • 2015
  •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oncern for Bjrake Ingels, an emerging architect in the architecture circle, who is creative and popular. Recently, the architecture field provides architects with a foundation to express a process on a new form creation through various new expressive languages, design concepts, and methods. The global Danish group BIG(Bjarke Ingels Group) develops a story by their distinctive architectural language. The storytelling is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and now the tool called 'story' is settling down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life that human lives. Bjarke Ingels leading the group BIG aims for the form expression by the scientific analysis and adaptation after being affected by Danish regional background and OMA. It creates a form to share stories with local members by visually simplifying the region, culture, environment, social phenomenon, economy, and politics that are invisible and do not have the form in the modern society. The elements and expressive features of the space storytelling include locality, cultural, natural environment, and connectivity which are the content structure(story) that enables you to intervene in the story according to the main agent to imagine a new space. The expressive element includes the watching moving line story of the successive, hierarchical, and organic structures which are constructive elements creating various spaces through the mixture, transmutability, and relocation of the program and inducing users to the space. The space storytelling is composed of the symbolism, community, and eco-friendliness to appear diversely through BIG's case analysis.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that it drew a method and feature looked at by many contemporary architects from the storytelling viewpoint in the form-creating process, classified the form-creating process through a new storytelling type, and showed a possibility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ologies.

국내 캐릭터 선호도 조사를 통한 이용충족 분석연구 -스토리텔링과 디자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use and satisfaction factors through Domestic Character Preference Survey - Focused on Storytelling and Design -)

  • 이종윤;윤주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381-412
    • /
    • 2017
  • 캐릭터(Character)는 풍부한 스토리텔링과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 국내캐릭터는 오프라인과 SNS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하고 있으며 콘텐츠 산업적인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릭터 이용자들이 어떠한 스토리텔링 요인과 색채 요인으로 국내 캐릭터들을 이용하고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요인을 발견하고 논의하는데 있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황당하고 익살스러운 스토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단순하고 심플한 주요색과 난색으로 구성되어 따뜻하고 귀여운 느낌의 색채 구성을 지닌 캐릭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단순한 소재의 유아 교육, 패션이나 완구가 주목적으로 되어 있는 단순한 스토리를 지닌 캐릭터는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채 측면에서는 주요색이 없이 4개 이상의 색들로 조합이 되어서 복잡한 느낌을 주는 캐릭터를 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측면에서는 모험, 판타지 구조를 지닌 스토리 전개를 통해 OSMU의 콘텐츠로 변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색채 측면에서는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단순하고 심플한 난색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조립 로봇완구 캐릭터도 단순한 색상 구성을 통해 캐릭터의 이용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스토리텔링과 색채 측면에서 이용자들이 만족하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이 이론적 측면, 스토리텔링 측면, 캐릭터 디자인, 산업적인 측면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논문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캐릭터 대상의 스토리텔링의 분석틀과 색채분석틀을 통한 연구, 색채분석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분석 제시, 캐릭터 하나에 대한 단순 비교 분석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니고 있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torytelling-used Draw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Linguistic Expressiveness)

  • 남궁진;정희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및 언어표현력 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시에 소재한 D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2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명화감상과 동화 듣기 후 그리기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성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감수성, 독창성, 융통성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언어표현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표현력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그림 보고 이야기 꾸미기와 그림 보고 연계성 있는 이야기 꾸미기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그리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