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fin tuna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중서부태평양해역 다랑어어업의 생태계기반 어업 위험도 평가 (Evaluation of Korean distant water tuna fisheries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using ecosystem-based fishery risk assessment)

  • 권유정;임정현;이미경;이성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4호
    • /
    • pp.299-315
    • /
    • 2020
  • Tuna fisheries were applied to an integrated ecosystem-based fishery risk assessment method using indexes of target species status, inhabited species in a target ecosystem, habitat quality and socio-economic benefit of affected fisheries. This study suggested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measures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management methods, such as limitation of catch and fishing effort.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objective risk index (ORIS) on sustainability of bigeye and yellowfin tunas by purse seine fishery was estimated high due to the high catch ratio of small fishes. The ORIs of biodiversity (ORIB) and habitat quality (ORIH) of purse seine fishery were also estimated at a high level from using fish-aggregating devices (FAD). However, due to skipjack tuna's high catches, the ORI of socio-economic benefit (ORIE) was estimated at a very low level. Due to the high bycatch rate, ORIB was high, and ORIS and ORIH were evaluated at a low level in longline fishery. Due to strengthern of fishing restrictions and increase of fishing costs, the ORIE was assessed to be very high. The ecosystem risk index (ERI) for two tuna fisheries was assessed low, but the overall FAD management by purse seine fishery is necessary at the ecosystem level.

어획량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한국 다랭이 연승 어장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shing Ground Distribution in Korean Tuna Long-Line , Using the Catch Data Base System)

  • 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2권4호
    • /
    • pp.340-355
    • /
    • 1996
  • 본 연구는 원양 다랭이 연승 어업의 어획량을 데이터 베이스 처리하여 합리적인 조업 계획의 수립과 어장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어획량 자료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발행한 '75~'92년의 18년 간의 12종의 다랭이 및 새치류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Quick basic으로 작성하였다.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은 구획별 조획율을 어장도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어획 마리수를 이용한 그래프 및 도표의 작성 프로그램, 그리고 어장평가 지수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연도구간별 어장도에서 보면, 조획율은 연도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인도양은 그러한 현상이 두드러졌다. 또한 황다랭이의 조획율은 적도 부근의 서부 태평양에서 눈다랭이의 조획율은 동부 태평양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획율이 높게 나타난 해역은 과거의 인도양, 대서양에서 태평양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2)전 해역에서 황다랭이와 눈다랭이의 어획량 변동 패턴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12개 어장구역별 어획량은 태평양 북서 해역이 가장 부진하고, 인도양 서부, 태평양 서부 저위도 해역이 가장 좋았다. 3)어장 가치를 평가하는 시뮬레이션에서 12개 어장구역 중 경제성이 높은 어장은 태평양 저위도 해역의 서부, 중부, 동부, 인도양의 서부, 동부, 그리고 대서양 순으로 나타났으며, 북미대륙 서부역이 중간정도, 나머지 해역은 경제성이 낮은 어장으로 나타났다. 4)본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방대한 어획량 자료를 분석하여 시기별, 위치별의 어종 및 어획량을 검토하고 어장 평가 시뮬레이션을 실시함으로써 경제성 있는 어장 선정 및 탐색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혈합육어(멸치, 고등어, 활다랭이 및 날개다랭이)의 Trypsin 2. 성질과 열 안정성 (Trypsins from the Dark Fleshed Fish(Anchovy, Mackerel, Yellowfin Tuna and Albacore) 2. Enzymatic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ies)

  • 조득문;허민수;변재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8-464
    • /
    • 1993
  • 전보에 이어, 정제한 혈합육어 trypsin에 대하여 효소적 성질 및 열 역학적 성질에 관하여 비교 검토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혈합육어 trypsin은 BA-p-NA와 SP-p-NA 같은 amide기질 중 BA-p-NA기질만에 대하여, 그리고 ATEE, BAEE, BTEE 및 TAME 등의 ester 기질 중에서는 BAEE와 TAME에 대하여만 현저한 활성을 보였다. 이들 효소는 antipain, leupeptin, DFP, TLCK, SBTI 등 화학약제와 금속이온 Cu$^{2+}$ 및 Hg$^{2+}$에 의하여서는 그 활성이 현저히 저해를 받았으나, $Mg^{2+}$에 의하여서는 부활하였다. 이 효소들은 모두 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불안정하였으며, 날개다랭이의 trypsin이 온도 변화에 대하여 가장 안정하였다. 그리고, 활성화에너지는 멸치 trypsin이 13.91㎉/mo1e, 고등어 trypsin A는 11.61㎉/ mole, 고등어 trypsin B는 8.43㎉/mo1e, 황다랭이 trypsin은 4.35㎉/mole, 그리고 날개다랭이 trypsin은 3.76㎉/mole 이었다.

  • PDF

과학옵서버 조사에 의한 인도양 수역 한국 다랑어 선망선 FAD 조업의 부수어획실태 (Characteristics on bycatch in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ssociated with FAD in the Indian Ocean by scientific observer programs)

  • 이성일;김두남;이경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4호
    • /
    • pp.277-291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n bycatch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especially operations associated with Fish Aggregating Device (FAD) in the Indian Ocean, we conducted analyses related to bycatch by school association type (unassociated school, FAD associated school and log associated school) using the data collected by scientific observers from 2016 to 2018. The FAD used by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Indian Ocean was a drifting FAD, which belongs to non-entangling FADs according to the category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Seafood Sustainability Foundation (ISSF). The target specie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re skipjack, yellowfin and bigeye tunas, accounting for 99% of the total catch. The ratio of bycatch was 0.97% in total catch and the discard accounted for less than 1%, indicating that most catch was retained on board. In terms of bycatch ratio by school association type, it accounted for 0.12% for unassociated school, 1.09% for FAD associated school and 1.25% for log associated school. As for the catch proportion of shark species by school association type, it accounted for 0.01% for unassociated school, 0.11% for FAD associated school and 0.10% for log associated school, which showed that unassociated school type was the lowest to affect bycatch of non-target and shark species. Given the proportion of bycatch compositions,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FAD associated school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has less caught bycatch species of non-target and shark, compared to other fleets operating in the Indian Ocean.

한국(韓國) 및 관련각국((關聯各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 발달과정(發達過程) (Development of Tuna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the Countries Concerned)

  • 현종수;이병기;김형석;예영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4권1호
    • /
    • pp.30-46
    • /
    • 1992
  •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기술(旋網漁業技術)은 한국(韓國)에서 발달한 대부분의 어업기술(漁業技術)이 일본(日本)을 거쳐서 도입된 것과는 달리 미국(美國)에서 직수입(直輸入)된 것이기는 하나 세부적으로는 일본(日本)의 기술을 응용한 것도 더러 있다. 따라서 한국(韓國)의 다랑어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에 있어서의 발달과정(發達過程)을 규명할 필요가 있으므로 여러 가지 문헌(文獻)과 집적된 자료(資料)들에 의하여 그것을 규명해 보았다. 미국(美國)에 있어서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의 탄생은 1826년의 일이므로 그 역사는 165년이나 되었고, 초기에는 다른 어종과 함께 부산물(副産物)로서 잡아왔지만 1903년부터는 그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어업(漁業)이 시작되었으므로 그 역사만 하더라도 90년 쯤 전의 일이다. 그러다가 2차대전(次大戰) 이후에 power block의 발명과 나일론 그물, 그리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의 첨단적인 개량으로 오늘날과 같은 대형선망조업(大形旋網조業)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미국선망어선(美國旋網漁船)들은 돌고래 보호를 위한 규제 때문에 동부태평양(東部太平洋)에서는 조업이 불가능하게 되었고, 또 고임금(高賃金), 노동력부족(勞動力不足) 등으로 채산(採算)을 맞추지 못해 선단수(船團數)는 1980년에 비해 1/3가량 줄어든 상태이다. 일본(日本)은 일찍부터 일본(日本) 북서태평양연안(北西太平洋沿岸)에서 연승(延繩)과 소형선망(小型旋網)으로써 다랑어를 어획(漁獲)하여 왔으며, 2차대전(次大戰)이후 독자적으로 과거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을 다랑어용으로 개량하는 한편 1948년부터 미국식선망어법(美國式旋網漁法)을 도입하여 해외(海外) 다랑어 어장(漁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정부출자기관(政府出資機關)인 일본해양자원개발(日本海洋資源開發) 센터 (JAMARC)의 태평양(太平洋) 해역에서의 시험탐사(試驗探査)는 높이 평가할 만 하며, 또한 일본연승어선(日本延繩漁船)들의 활발한 해외조업(海外操業)과 어장정보교환(漁場情報交換)은 선망어업(旋網漁業)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주어 왔다. 미국(美國)과 일본(日本)의 선망선(旋網船)은 어선(漁船)의 크기, 조업형태(操業形態), 운영형식(運營形式) 등이 각기 다르며 장단점이 있다. 특히 일본어선(日本漁船)은 미국어선(美國漁船)에 비하여 선체가 작고 더러는 쌍두리 조업을 하고 있으며, 망지(網地)는 미국어선(美國漁船)이 땋은 실 nylon(braided twine)으로 된 결절망지(結節網地)를 쓰는 데 비하여 무결절망지(無結節網地)를 쓴다. 한국(韓國)은 1970년대(年代)에 미국(美國)으로부터 직접 이 어선(漁法)을 도입하였고, 어선(漁船)과 장비(裝備), 조업방법(操業方法)도 전적으로 미국식(美國式)이다. 한국(韓國)의 선망어법(旋網漁法)은 10년 이상의 실패 끝에 1986년부터 정상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고, 1997년 현재 총 37척이 Gua과 Samoa를 기지(基地)로 하여 모두 남서태평양(南西太平洋)에서 조업하고 있으며 성적도 좋은 편이다. 다만, 이제는 독자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태평양도서국(太平洋島嶼國)에의 입어문제(入漁問題)와 어자원보호(魚資源保護) 측면에서의 연안국(沿岸國)의 조업제제(操業規制) 움직임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TPase 센서를 이용한 어류근육 단백질의 $K^+-, Ca^{2}+- 및 Mg^{2+}-$ ATPase 활성의 측정 (Determination of $K^+-, Ca^{2}+- and Mg^{2+}-$ATPase activities in Fish Muscle Protein by ATPase Biosensor)

  • 천병수;김희경
    • KSBB Journal
    • /
    • 제11권5호
    • /
    • pp.518-523
    • /
    • 1996
  • 효소 purine nucleoside phosphoryrase(NP)하 고 xanthine oxidase(XOD) 두 효소를 하나로 고정화시켜 산소 전극으로부터 ATPase 활성 계측용 바 이오 센서를 개발했다. 개발된 ATPase센서를 이용 해서 Thunnus albacares(Yeliowfin tuna), Tetra~ t turus audax(Striped marlin), Prognichthys agoo (Japanese flyingfish) 그리고 Cyprinus carpio ( ( Carp) 등의 각 4종의 어근육 단백질중의 $K^+-, Ca^{2}+- 그리고 Mg^{2+}-$ATP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시료 1 개를 측정는데 3분의 시간을 필요로 하였다. $K^+-, Ca^{2}+-$ATPase 활성의 경우 본 연구에셔 개발한 센 셔를 이용한 측정 결과와 종래(비색측정)법으로 측 정한 결과와의 사이에서 좋은 상관치를 얻었다.

  • PDF

국내 시판 주요 냉동수산식품의 영양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Commercial Frozen Seafood Products in Korea)

  • 김연계;남기호;박선영;김도엽;강상인;한상국;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12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major commercial frozen seafood products (MCFSP) [sliced frozen-skipjack tuna (ST), -bigeye tuna (BET), -bluefin tuna (BFT), -yellowfin tuna (YT), fish steaks (FST), fish pancakes (FP), fish cutlets (FC), seafood cake balls (SCB), fried shrimp (FS), shrimp patties (SP), shrimp cutlets (SC)] in Korea. All species of sliced frozen tuna and FST were classified as low-calorie foods; the other frozen seafood products were classified as medium-calorie foods. The MCFSP were significant sources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minerals: the SCB and SC provided calcium; the FST, FC, and SCB provided phosphorus; the BET, YT, and FST provided potassium; the FST, FC, and BFT provided magnesium; the FST, FP and SC provided iron; the SCB, FS, SP, and SC provided zinc; the YT and SCB provided copper; and the FC provided manganes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MCFSP were in the range of 6.85-26.34 g/100 g. Glutamic acid was the major amino acid in the SCB, FS, SP, and SC. Fatty acid contents were in the range of 386-2,925 mg/100 g;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ST, BFT and YT were 16:0, 18:1n-9, 22:6n-3. The MCFSP were not a significant source of vitamin A or riboflavin.

원양 다랭이 연승어업의 어획량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Data Base Program on the Catch of Long-Iine Tuna)

  • 배봉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2권4호
    • /
    • pp.356-362
    • /
    • 1996
  • 본 연구는 원양 다랭이 연승 어획량을 데이터 베이스 처리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조업시 경제성 있는 어장 선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처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그 실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국립수산진흥원에서 발행한 보고서의 어획량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설계한 후 실행해 보았다. 1)프로그램은 Quick Basic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데이터 파일은 random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은 구획별로 조획율을 나타내는 어장도를 그리는 프로그램과 조획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표를 구성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통계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그리고 어장 평가 지수를 나타내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2)조획율을 나타내는 어장도에서는 $5^{\circ}$간격의 해구에 조획율의 크기를 나타내는 원을 나타냄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어획이 잘되는 해역을 판단 할 수 있었다. 3)조획율을 수치로 나타내는 도표를 통하여 원의 크기로 나타내었던 조획율 값을 좀 더 상세히 알 수 있었다. 4)시기, 저장, 어종에 따른 조획율 및 어획마리수의 그래프는 그것의 변화패턴의 규명에 도움이 되었다. 5)어장의 경제성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조업자가 경제성 있는 어장을 권고 받을 수 있었다.

  • PDF

생선 곰탕의 추출소재로서 Fish Frame의 식품학적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s as Basic Ingredients of Fish Gomtang)

  • 한병욱;지승길;권재석;구재근;강경태;지성준;박신호;허민수;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17-1424
    • /
    • 2007
  • 수산물 가공 중 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는 7종의 fish frame(연어 frame, 삼치 frame, 붕장어 frame, 가다랑어 frame, 황다랑어 frame, 참다랑어 frame및 붉은메기 frame)의 생선 곰탕의 추출 소재로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와 중금속 함량의 분석 결과 참다랑어 frame과 연어 frame은 식품가공소재로 안전한 범위이었다. Fish frame 추출물의 수분을 제외한 주성분은 조단백질이었다. 7종 fish frame 추출물의 엑스분 질소와 비린내 및 맛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생선 곰탕의 제조를 위한 엑스분 추출소재로는 연어 frame이 가장 적절하였다. 연어 frame 추출물의 인 및 칼슘함량은 18.0 mg/100 mL 및 33.1 mg/100 mL이었다.

신해양질서 10년후 세계어업자원 이용동향 (The Exploitation of World Fishery Resources for 10 Year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Sea)

  • 이장욱;허영희
    • 수산경영론집
    • /
    • 제23권1호
    • /
    • pp.43-87
    • /
    • 1992
  • In this paper, state of exploitation of world fishery resources after 10 years under the new regime in the sea, called the era of exclusive economic zone (EEZ) expending up to a 200 nautical miles from coastal line, was reviewed to determine effect from establishing EEZ in the world fishery production and its export/import volume based on the fishery statistics annually published by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of United Nation. The world total production from marine living resources had a trend showing a waned increase during 1970's when most of coastal states were translated into the reality of EEZ. From mid-1980's onwards, it increased rapidly, reaching about 85 million tons . Such increase in production was basically from the Pacific Ocean, accounting for more than 60% of the world total production. Fishing areas where showed increase in the production after the new regime in the sea were the southwestern Atlantic (FAO area 41) , the eastern Indian (FAO area 57) and the whole fishing areas in the Pacific except the eastern central Pacific (FAO area 77). Increase in the production from distant-water fishing countries came from the regions of the southwest Atlantic (FAO area 41) and the southwest Pacific (FAO area 81) . The production from coastal states was up from the regions of the eastern Indian (FAO area 57) , the northwest and northeast Pacific (FAO areas 61 and 67) and the southeast Pacific (FAO area 87) . It was likely that the exploitation of the fishable stocks was well monitored in the areas of the northwest Atlantic (FAO area 21) , the eastern central Atlantic (FAO area 34) and the northeast Pacific (FAO area 67) through appropriate management measures such as annual harvest level, establishment of total allowable catch etc. The marine fisheries resources that have made contribution to the world production, despite expansion of 200 EEZ by coastal states, were sardinellas, Atlantic cod, blue whiting and squids in the Atlantic Ocean : tunas which mainly include skipjack, yellowfin and bigeye tuna, croakers and pony fishes in the Indian Ocean : and sardine, Chilean pilchard, Alaska pollock, tunas (skipjack and yellowfin tuna) , blue grenadier and blue whiting including anchoveta in the Pacific Ocean. It was identified that both fishery production and its export since introduction of the new regime in the sea were dominated by such coastal states as USA, Canada, Indonesia, Thailand, Mexico, South Africa and Newzealand. But difficulties have been experienced in the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Norway, Spain, Japan and Rep. of Korea. Therefore, majority of coastal states are unlikely to have yet undertaken proper utilization as well as rational management of marine living resources in their jurisdictio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main target species groups which led the world fishery production to go up were Alaska pollock, cods, tunas, sardinellas, chub and jack mackerel and anchoveta. These stocks are largely expected to continue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The fisheries resources which are unexploited, underexploited and/or lightly exploited at present and which will be contributed to the world production in future are identified with cephalopods, Pacific jack mackerel and Atlantic mackerel, silver hake including anchovies. These resources mainly distribute in the Pacific regions, especially FAO statistical fishing areas 67, 77 and 87. It was likely to premature to conclude that the new regime in the sea was only in favour of coastal states in fishey prod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