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culture

검색결과 1,050건 처리시간 0.029초

부착성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최적배양환경 (Optimum Culture Environment of th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7-157
    • /
    • 1993
  • 부착성 요각류중 Tigriopus japonicus는 어류의 종묘 생산시 먹이생물로서 매우 중요한 동물성 플랑크톤이다. 본 연구는 T. japonicus의 염분 내성과 최적 배양 환경 (염분, 온도, 빛)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대량 배양을 하기 위한 2종류의 효모와 6종의 식물성 플랑크톤에 대한 먹이 가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T. japonicus의 염분 내성 실험에 있어서 배양 5일 후 포란 암컷의 생존율은 $0%o$$90%o$에서 각각 $40\%$$70\%$로 나타났다. 그러나 $2-80\%o$에서$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 종은 매우 광염성이라고 생각된다. T. japonicus의 최적 배양 환경은$24^{\circ}C,\;24\%o$, 3,000 lux 24 L : 0D였고, 이 때 한마리 암컷의 평균 산란수는 38마리였으며 평균 산란 간격일은 2.05일이었다. T. japonicus의 가장 좋은 먹이생물은 P. tircornutum였고 T. suecica는 먹이 가치가 매우 낮았다. 그리고 유지 효모의 먹이 효율은 빵 효모 보다 높았고, Amphora sp., C. ellipsoida N. oculata와 비슷하게 나타나서 T. japonicus의 대량 배양시 좋은 먹이라고 생각된다.

  • PDF

Ethanol 이용 미생물에 의한 단세포 단백질 생산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Yeast Utilizing Ethanol as a Sole Carbon Source)

  • 이계호;하진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1-11
    • /
    • 1973
  • Ethanol을 이용하여 효모균체를 생산할 목적으로 전국 각지의 32점의 토양시료에서 145개 균주를 분리하고 그중 ethanol자화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여 동정하였다. 그 선정균주에 대해서 배양상의 최적조건, 각종 탄소원의 이용성, 균체증식 경과, 균체의 화학적 조성, ethan긴의 이용을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thanol 이용효모로 가장 우수한 균주는 Debaryomyces nicotianae-SUN 72로 동정되었다. 2. 선정균주의 최적 배지조성은 다음과 같다. ethanol진농도 8% 이상에서는 분명한 생육저혜를 일으켰으며 또한 생장요소로서 yeast extract 0.005%를 첨가한 효과는 현저하였고 $Mg^#$$Ca^#$ 첨가구는 균체생산애 앙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그이외의 무기물 첨가는 블필요하였다. Ethanol 40m1, $(NH_2)_2CO$ 0.5g, $K_2HHPO_4$ 0.15g $NH_4H_2PO_4$ 0.15g, $MgSO_4\;7H_2O$ 0.05g, Tap water 1000m1. 3. 선정균주의 배양 최적조건은 $pH\;5.0{\sim}5.5$, 온도 $30{\sim}33^{\circ}^C이고 통기의 효과는 정치 배양의 경우 보다는 양호하였다. 4. Ethanol 이용성 효모인 본균주의 각종 다른 alcohol 및 acetic acid에 대한 균체생육은 저조하여 기질의 대체는 곤란하였다. 5. 선정호모균주의 lag phase는 16시간 까지이고 다음 28시간 까지가 대수기였으며 이때에 비증식율은 $1.9hr^{-1}$이고 doubling time은 3.6시간이었다. 6. 균체성분은 조단백질이 55.19%였으며 기타 조성은 효모의 펀균조성에 준하였다. 7. 본 선정효모균주의 검토된 최적조건으로 34시간 배양한 결과 사용한 ethanol에 대한 균체수율은 53.4%, 소비된 ethanol량에 대한 균체수율은 73.6%, 배양중 ethanol휘발량은 약 19.1%였다.

  • PDF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n Astaxanthin Formation in Red Yeast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Mutant JH1

  • Kim Jeong-Hwan;Choi Seok-Keun;Park Young-Sam;Yun Cheol-Won;Cho Won-Dai;Chee Kew-Mahn;Chang Hyo-Ih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38-442
    • /
    • 2006
  • The formation of astaxanthin by Xanthophyllomyces dendrorhous mutant JH1 depends on the culture conditions. Therefore, the effects of inoculation rate (1-5%, v/v) and medium compositions (various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cell growth and astaxanthin formation in X. dendrorhous mutant JH1 were investigated. Inoculation at 3% (v/v) was optimal for cell growth and astaxanthin formation. The most effective carbon source for cell growth and astaxanthin formation was glucose, and the best nitrogen source was yeast extract. The 3% (w/v) glucose and 0.2% (w/v) yeast extract showed the best effect on cell growth and astaxanthin formation, compared with others tested. The 3% glucose, 0.2% yeast extract, $0.15%\;KH_{2}PO_{4}$, $0.05%\;MgSO_4$, $0.01%\;MnSO_4$, and $0.01%\;CaCl_2$ were selected for cell growth and astaxanthin formation. Under the conditions selected,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cell and astaxanthin obtained after 168 h of cultivation were 5.43 g/l and 28.20 mg/l, respectively.

남은 음식물로 호기적 액상효모발효를 이용한 생균사료를 생산할 때 생균수에 대한 교반 속도의 영향 (Influence of Agitation Speed on Cell Growth in the Aerobic Yeast Fermentation of Pulverized Liquid Food Wastes for Probiotic Feed Production)

  • 유성진;유승용;이기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4호
    • /
    • pp.99-104
    • /
    • 2001
  • 곱게 갈아 액화시킨 음식물 찌꺼기를 기질로 생균사료를 생산하기 위한 효모의 호기적 액상발효에 있어서 효모증식에 대한 교반속도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screening을 통해 선택한 효모인 Kluyvermyces marxianus를 종균으로 2liter jar fermenter를 이용하여 호기적 조건에서 곱게 분쇄해 10% 고형분 함량을 갖는 기질에 교반속도를 500rpm, 900rpm, 1200rpm를 다르게 조정하여 $35^{\circ}C$에서 증식시켰다. 효모의 증식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고분자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비하는 곰팡이 Aspergillus oryzae와 혼합발효를 실시하여 단독발효와 비교하였다. 발효결과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생균수도 높아져 400rpm에서보다는 900rpm에서 높은 생균수를 보였으나 1200rpm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혼합발효는 amylase의 역가를 높여주어 증식속도를 높여 주나 발효종료단계에서 최고 생균수를 증가시켜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외래 알파아밀라제의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생산과 분비효율의 증진 (Improvement of Production and Secretion of Heterologous \alpha-Amylas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최성호;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6-41
    • /
    • 2003
  • Saccharomyces cerevisiae로부터 외래 $\alpha$-amylase의 발현 및 분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여러 실험이 수행되었다. ADC1 promoter와 mouse salivary $\alpha$-amylase cDNA gene의 native signal sequence를 효모의 PRB1 promoter와 invertase leader sequence로 대치한 plasmid vector pCNN(AMY)를 제작하였다. 효모세포에서 생성된 $\alpha$-amylase의 세포외로의 분비율은 mouse o-amylase의 native signal sequence인 경우는 약 89.4%이었으며 invertase leader sequence로 치환된 경우는 96.3%로 분비효율이 증진되었다. 야생주인 K8l/pCNN(AMY)와 호흡결여변이주인 K81/pCNN(AMY)p-의 혐기적 조건하에서의 배양 결과 $\alpha$-amylase 생산량이 K8l/pCNN(AMY)보다 K81/pCNN(AMY)p-가 약 5~8배 정도 증가하였다. $\alpha$-Amylase의 생산에 있어서 배지조성에 따른 K81/pCNN(AMY)의 생산증진의 비교는 배지성분인 yeast extract와 peptone의 구성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yeast extract 1%와 peptone 2%, NaCl의 경우 100 mM, 2-mercaptoethanol인 경우에는 0.015%(w/v)을 첨가하였을 때 최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2-mercaptoethanol인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효소 생산량이 약 3배 정도 증진되었다.

Dicyma sp. YCH-37이 생산하는 효모세포벽 용해효소 II. 효소활성에 미치는 기질 효모의 배양조건 및 전처리 효과 (Yeast Cell Wall Lytic Enzyme Produced by Dicyma sp. YCH-37 II.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and Pretreatment of Yeast on the Enzyme Activity)

  • 정희철;함병권;유주현;배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21-1027
    • /
    • 1997
  • Dicyma sp. YCH-37이 생산하는 효모세포벽 용해효소의 성질을 검토한 결과, 각종 환원제와 금속이온에 대체로 안정하였고, guanidine-HCl을 제외한 여러 화학수식제에 대해서도 안정하였다. 배양시간, 전처리 및 배양조건에 따른 영향을 검토한 결과, 정지기 및 사멸기에 있는 효모보다는 대수증식기의 효모, 그리고 생효모에 비해 열처리된 효모가 더 잘 용균되었다. Butanol, acetone 등의 유기용매로 처리된 효모가 그렇지 않은 효모보다 용균도가 좋았으며, 0.5 M ammonium sulfate가 함유된 Yeast extract-Malt extract 배지에서 생육한 효모, 그리고 진탕배양한 효모보다 정치배양한 효모가 용균효소에 의해 더 잘 용균되었다. SDS, Triton X-100, ${\beta}-mercaptoethanol$, potassium chloride, sodium sulfite 등의 화학수식제를 효소반응액에 첨가하였을 때 기질 효모는 더 잘 용균되었다.

  • PDF

Preparation of Corncob Grits as a Carrier for Immobilizing Yeast Cells for Ethanol Production

  • Lee, Sang-Eun;Lee, Choon Geun;Kang, Do Hyung;Lee, Hyeon-Yong;Jung, Kyu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673-1680
    • /
    • 2012
  • In this study, DEAE-corncobs [delignified corncob grits derivatized with 2-(diethylamino)ethyl chloride hydrochloride ($DEAE{\cdot}HCl$)] were prepared as a carrier to immobilize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or ethanol production. The immobilized yeast cell reactor produced ethanol under optimized $DEAE{\cdot}HCl$ derivatization and adsorption conditions between yeast cells and the DEAE-corncobs. When delignified corncob grit (3.0 g) was derivatized with 0.5M $DEAE{\cdot}HCl$, the yeast cell suspension ($OD_{600}$ = 3.0) was adsorbed at >90% of the initial cell $OD_{600}$. This amount of adsorbed yeast cells was estimated to be 5.36 mg-dry cells/g-DEAE corncobs. The $Q_{max}$ (the maximum cell adsorption by the carrier) of the DEAE-corncobs was estimated to be 25.1 (mg/g), based on a Languir model biosorption isotherm experiment. When we conducted a batch culture with medium recycling using the immobilized yeast cells, the yeast cells on DEAE-corncobs produced ethanol gradually, according to glucose consumption, without cells detaching from the DEAE-corncobs. We observed under electron microscopy that the yeast cells grew on the surface and in the holes of the DEAE-corncobs. In a future study, DEAE-corncobs and the immobilized yeast cell reactor system will contribute to bioethanol production from biomass hydrolysates.

Production of Ethanol Directly from Potato Starch by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spergillus niger Using Electrochemical Bioreactor

  • Jeon, Bo-Young;Kim, Dae-Hee;Na, Byung-Kwan;Ahn, Dae-Hee;Park, Doo-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545-551
    • /
    • 2008
  • When cultivated aerobically, Aspergillus niger hyphae produced extracellular glucoamylase, which catalyzes the saccharification of unliquified potato starch into glucose, but not when grown under anaerobic conditions. The $K_m\;and\;V_{max}$ of the extracellular glucoamylase were 652.3 mg/l of starch and 253.3 mg/l/min of glucose, respectively. In mixed culture of A. niger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oxyge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lcohol fermentation of yeast, but activated fungal growth. Therefore, oxygen is a critical factor for ethanol production in the mixed culture, and its generation through electrolysis of water in an electrochemical bioreactor needs to be optimized for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by coculture of fungal hyphae and yeast cells. By applying pulsed electric fields (PEF) into the electrochemical bioreactor,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improved significantly: Ethanol produced from 50 g/l potato starch by a mixed culture of A. niger and S. cerevisiae was about 5 g/l in a conventional bioreactor, but was 9 g/l in 5 volts of PEF and about 19 g/l in 4 volts of PEF for 5 days.

액체배양한 느타리 버섯균(Pleurotus ostreatus)으로부터 망간퍼옥시데이즈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nganese Peroxidase from the White Rot Fungus Pleurotus ostreatus in Liquid Culture)

  • 이재성;하효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22-26
    • /
    • 2004
  • 리그닌 분해균인 느타리 버섯균(Pleurotus ostreatus) K-2946을 glucose-peptone-yeast(G-P-Y) 액체배지에서 배양 하여 망간퍼옥시데이즈를 생산하였다. 본 실험조건 하에서 리그닌 퍼옥시데이즈는 생산되지 않았다. 느타리버섯균 K-2946이 생산하는 망간 퍼옥시데이즈를 이온크로마토그래피, 겔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한 망간 퍼옥시데이즈의 분자량은 36400 Da이였고 pI는 3.95였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 pH는 5.0이었으며 최적온도는 $55^{\circ}C$이었다.

효모의 혼합 배양에 관한 연구 -제1보 혼합배양의 상호작용- (Studies on a Mixed Yeast Culture -Part 1. Interactions in a Mixed Yeast Culture-)

  • 변유량;권태완;유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6-312
    • /
    • 1977
  • 탄화수소 자화성균인 C. tropicalis와 비(非)자화성인 T. cutaneum의 혼합배양에 있어서 두 효모간의 상호작용을 구명하였다. 즉 본균(本菌)인 C. tropicalis는 n-paraffin을 자화하여 증식하면서 유리지방산을 대사산물로 배양액에 축적하는 동시에 자신이 이 지방산에 의해 생육저해를 받는다. 공생균(共生菌)인 T. cutaneum은 본균(本菌)의 대사산물인 유리지방산을 탄소원으로 생육하므로써 생육저해작용을 해소하여 본균(本菌)의 증식 속도와 균체수율을 향상시키는 commensalistic system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