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ast culture

검색결과 1,049건 처리시간 0.039초

Steinernema carpocapsae로부터 분리된 Xenorhabdus nematophilus에 의한 살충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ultur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Insecticidal Toxin by Xenorhabdus nematophilus Isolated from Steinernema carpocapsae)

  • 유연수;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00-105
    • /
    • 2000
  •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mernema Carpocapsae로 부터 분리$\cdot$동정된 Xenorhabdus nematophilus를 대상으로 최적배지조성과 배양조건, 상변화 특성 및 곤충 독성물질 역기를 조사하였다. 균주의 최적배치 조성은 50-70g/L yeast extract, 3 g/L $K_{2}HPO_{4}$, 1g/L $NH_{4}H_{2}PO_{4}$, 2g/L ${MgSO}_4$$\cdot$${7H}_{2}O$,10g/L NaCl 이였으며, yeast extract의 농도가 균주성장 제한인자로 작용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에 대한 비성장속도의 의존도를 Monod equation을 가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최대 비성장속도는 0.13 $ht^{-1}$이고 Monod 상수값은 20 g/L였다. 배양 배치의 pH는 초기 6-7에 관계없이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약 8.5-9.5까지 증가하였으며, 7L fermentor배양에서는 균주의 비성장속도가 약 0.18 $ht^{-1}$로 flask배양보다 1.4배 더 증가하였다. 상변화의 경우 정지기에서도 fermentor배양과 flask배양 모두 약 90% 이상 phase I이 유지되었다. 한편 꿀벌부채명 나방에 대한 구강독성을 시험해 본 결과, X. nematophilus 균주를 유충사료에 첨가하면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하였으며, 20여일 경과 후 완전히 유충을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유충에 직접 주사하였을 때 배양 24 시간인 지수성장기 초기에 가장 독성이 강하였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독성이 점차 감소하였다.

  • PDF

Expression and Secretion of Heterologous Protein in Yeast

  • Kim, Moo-Kyum;Song, Moo-Young;Yu, Myeong-Hee;Yu, Myeong-Hee;Park, Hee-Moon;Kim, Jinmi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8-112
    • /
    • 1992
  •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the secretion of heterologous proteins in yeast, we constructed an yeast secretion vector and produced a human secretory protein, .alpha.-1-antitrypsin (.alpha.-1-AT), from yeast cells. The secretion vector pGAT8 was constructed by inserting the signal sequence of yeast acid phosphatase gene (PH05) into the .alpha.1-AT expression vector pGAT6 which contained .alpha.-1-AT cDNA fused to GAL10-CYC1 promotor. The .alpha.-1-AT was produced efficiently in the yeast cells transformed with plasmid pGAT8, which was onfirmed both by the .alpha.-1-AT activity assay and by the immunoblot method using .alpha.-1-AT antibody. We also showed the secretion of .alpha.-1-AT into the culture media and into the periplasmic space by immunoblot.

  • PDF

Optimization of Growth and Astaxanthin Production by Phaffia rhodozyma AJ-6 in Fed-batch Culture

  • 김수진;유연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1-274
    • /
    • 2000
  • A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a nitrogen source and the optimize the C/N ratio for the maximum cell growth of Phaffia rhodozyma in fed-batch culture. The yeast extract was the best organic nitrogen source. In the batch culture experiments, the highest cell yield was obtained 0.575 g-cell/g-glucose from 10 g/L and 10 g/L yeast extract. In the fed-batch experiments, the maximum cell concentration was obtained 33.1 g/L from the C/N ratio of 2:1 while the astaxanthin concentration of cell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N ratio, of feed medium.

  • PDF

Pseudomonas putida의 유가배양연구 (A Study of Pseudomonas putida Fed-batch Culture)

  • 김인호;김희정;송재양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307-310
    • /
    • 2002
  •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성장속도가 증가하여 P. putida가 호기적 조건에서 더 잘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pH를 조절하지 않았을 경우와 달리 암모니아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5.0, 7.0으로 조절했을 때, 포도당의 소모량이 증가 할 뿐 아니라 비성장 속도가 증가하였다($\mu$=0.27 --> 0.42). 포도당만을 공급할 것이 아니라 yeast extract와 같은 유기 질소원 다른 기질도 같이 공급함으로써, 보다 많은 균체량을 얻을 수 있었다.

수종의 Elicitor 및 Amino Acid가 배양세포내 Taxane 유도체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Elicitors and Amino Acids on Production of Taxane Derivatives in Cultured Cells)

  • 임숙;신승원
    • 생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0-364
    • /
    • 1998
  • To develop new elicitors inducing the high productivity of taxane derivatives, plant growth inhibitors, namely, maleic acid hydrazide, N-phosphomethyl glycine and succinic acid 2.2-dimethyl hydrazide, coconut milk and yeast extract were administrated in the cell suspension culture system of Taxus cuspidata, and the production of baccatin III were analysed. The effects of amino acid related with the biosynthesis of baccatin III were also examined in these culture system. As the results, a remarkable enhancement of baccatin III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cultivation with coconut water and with maleic acid hydrazide.

  • PDF

Elicitation and In Situ Recovery of Alkaloids in Suspension Cultures of California Poppy

  • Byun, Sang-Yo;Pedersen, Henr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220-226
    • /
    • 1991
  • Large and rapid increases in benzophenanthridine alkaloid production occured in suspension cultures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cells treated with elicitors. Response to different biotic elicitors showed that elicitors prepared from yeast extract, Collectotrichum lindemuthianum and Verticillium dahliae induced alkaloid formation. Highest alkaloid accumulation was obtained with $60\;\mu\textrm{g}$ of yeast extract elicitor per gram of fresh cell weight. In time course performance after elicitor addition, more than 40 hours were required to obtain saturated alkaloid accumulation. Compounded silicone fluid, an ideal accumulation phase for two-phase culture of E. californica,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alkaloids produced in a specific manner. Elicitation in two-phase culture clearly increased net alkaloid production as well as their concentrations in the accumulation phase.

  • PDF

동치미에서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의 배양조건에 따른 Aflatoxin 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Aflatoxin B1 on Culture Condition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 Isolated from Dongchimi)

  • 이창호;김정희;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5-410
    • /
    • 2004
  • 동치미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Leu. mesenteroides subsp.cremoris DLAB19 균주의 aflatoxin Bl에 대한 항 돌연변이원성 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한 결과, 탄소원으로 glucose를 첨가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질소원으로서는 yeast extract 첨가시 항 돌연변이 효과가 우수하였다. 탄소원으로 glucose의 농도을 2$\%$ 첨가시aflatoxin Bl에 대한 항 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질소원으로서 yeast extract 1$\%$ 첨가시 가장 우수한 항 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 돌연변이원성 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은 초기 pH, 배양 온도, 진탕 속도가 각각 7.0, 30$^{\circ}C$ 및 150 rpm이었다. 상기의 최적 조건에서 36시간 배양시 가장 높은 항 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m TA100과 TA98을 이용한 경우항 돌연변이 효과가 87.11$\%$와 75.04$\%$이었다.

플라스크배양에서 버들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Agrocybe aegerita in Flask Culture.)

  • 차월석;이명렬;조배식;박세영;오동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0-566
    • /
    • 2004
  • 버들송이버섯의 균사체 대량 생산의 기초자료를 얻을 일환으로 균사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적합한 조건을 연구하고자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 및 영양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공시배지 중 ME 배지에서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최적 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5.5이며 최적 배양일수는 12일이었다.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다당류인 dextrin이었으며, 최적 탄소원인 dextrin의 적정농도는 3% (w/v)였다. 질소원에서는 유기태 질소원인 yeast extract이었고, yeast extract 최적농도는 2% (w/v)였으며, 최적 무기염류는 MgSO$_4$와 KH$_2$PO$_4$이고, 최적 농도는 MgSO$_4$0.05% (w/v), KH$_2$PO$_4$0.15 (w/v)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다. 기본배지인 ME 배지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최적배지로 액체 배양하여 균체량을 비교한 결과 기본배지는 배양 12일째 최대 건조 균체량 7.59 g/l을 얻었으며, 최적배지는 배양 12일째 17.6 g/l의 최대 건조 균체량을 얻어 기본배지 보다 최적배지의 균체량이 훨씬 높은 균사체 생산수율을 보였다.

L-Methionine과 Phosphate의 제한 공급에 의한 Escherichia coli MT201로부터의 고농도 L-Threonine 생산 (High Production of L-Threonine using Controlled Feeding of L-Methionine and Phosphate by Escherichia coli Mutant)

  • 이만효;이홍원;김병진;김천석;정준기;황용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9-153
    • /
    • 2004
  • 븐 연구에서는 E. coli MT201을 이용한 L-threonine 발효공정을 확립하였다. 회분식 배양에서 L-threonine생산이 균체 증식과 더불어 증가하는 증식과 연관된 형태의 생산 곡선을 보여주었다. L-Threonine 생산에 대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유가식 배양에서 첨가배지내 최적 효모추출물과 포도당의 농도는 각각 60 g/$\ell$와 600 g/$\ell$이였으며, 약 87 g/$\ell$의 L-threonine이 생산되었다. 유가식 배양에서도 L-threonine 생산은 회분식 배양과 마찬가지로 균체량의 증가와 더불어 L-threonine 생산이 증가하는 증식과 연관된 형태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균체량의 증가와 L-threonine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L-methionine과 인산염이 추가로 공급된 첨가배지를 이용한 고농도 배양 조건이 확립되었다. 한편 고농도 배양에 따른 용존산소의 결핍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소가 포함된 혼합공기를 사용하였다. 최적화된 유가식 배양 결과 균체 증식도 원활하게 증가하였으며, L-threonine의 생산도 약 98 g/$\ell$로 향상되었다. 이때 L-threonine의 생산성은 약 3.85 g/$\ell$/h이었다.

배양조건에 따른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성장과 크기변화 (Growht and Size Variation of (Brachionus plicatilis) Reared at Different Conditions)

  • 김현준;김정대;최유길;우영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9-225
    • /
    • 1997
  • 배양온도, 먹이생물의 종류에 따라 rotifer 의 성장과 세포크기변화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 Large-type rotifer 의 최대세포수는 온도 $36^{\circ}C$, 먹이생물 $\omega$-yeast를 공급한 것에서 배양 7일후 1,420 ind./ml, small-type rotifer에서는 온도 $34^{\circ}C$, 먹이생물 $\omega$- yeast를 공급한 것에서 배양 7일후 1,669 ind./ml로 최고의 성장을 보였다. Rotifer의 크기변화에서는 large-type의 경우 온도 $34^{\circ}C$, 먹이생물 C. ellipsoidea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112.1\mu m$까지 감소되었다 (실험시작시 $202.0\mu m$. Small-type rotifer의 경우는 $320^{\circ}C$, $\omega$-yeast를 먹이로 공급한 것이 배양시작 5일후 $201.3\mu m$까지 증가되었다 (실험시작시 $157.0\mu m$. 크기의 변화가 큰 rotifer에 온도 변화를 다시 주었을 때 처음 실험 시작 때의 rotifer 크기로 회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