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nkle forma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1초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물의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보습 효과 및 세포독성 평가 (Skin Regeneration, Anti-wrinkle,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s of Cheongsangbangpung-tang Aqueous Extracts with Cytotoxicity)

  • 우창윤;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9-70
    • /
    • 2017
  • 목 적: 본 연구는 한의학에서 면포질환에 빈번히 사용하는 대표적인 복합처방인 청상방풍탕의 열수 추출물 동결건조물의 피부 노화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하여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각각 평가하였고, 기본적인 독성 평가의 일환으로 세포독성 또한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human normal fibroblast(CRL-2076)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CRL-6475) 세포에 대한 청상방풍탕 열수 추출 동결건조물(수율 18.71%)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고, B16/F10 melanoma cells의 melanin 생성 억제 정도 및 melanin 합성 필수 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와 arbutin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피부 재생 및 주름 개선 효과를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1$와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능을 비교, phosphoramidon disodium salt(PP)와 세포외 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elastase활성 억제를 비교, oleanolic acid(OA)와 hyaluronidase, collagenase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활성 억제를 비교하여 각각 평가하였고, 마우스 피부 수분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결 과: 본 실험의 결과, 청상방풍탕은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 및 B16/F10 murine melanoma 세포에서 최고 농도인 500 mg/ml까지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fibroblast의 collagen type I 합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세포외기질 파괴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및 MMP-1 활성을 각각 억제하였고 melanin의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함이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정상매체 대조군에 비해 청상방풍탕 경구 투여군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마우스 피부 수분 함량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청상방풍탕은 세포 독성 없이 피부재생, 주름개선, 미백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남이 관찰되어 차후 피부 개선 소재로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나 금후 개별 구성 약재 각각에 대한 효능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와 피부 보호 효과에 대한 in vivo평가를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orean Red Ginseng extract ameliorates melanogenesis in humans and induces antiphotoaging effects in ultraviolet B-irradiated hairless mice

  • Saba, Evelyn;Kim, Seung-Hyung;Lee, Yuan Yee;Park, Chae-Kyu;Oh, Jae-Wook;Kim, Tae-Hwan;Kim, Hyun-Kyoung;Roh, Seong-Soo;Rhee, Man He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496-505
    • /
    • 2020
  • Background: Panax ginseng is a marvelous herbal remedy for all ailments of body. That may be why it is called Panax, which means "cure for all". Melanin is a pigment that gives color to our skin; however, increased melanin production can lead to tumor formation. Human exposure to ultraviolet B radiation has increased extensively owing to the increased sunlight due to global warming. Consequently, a phenomenon called photoaging has been observed for all skin colors and types. As a result of this phenomenon, a set of enzymes called matrix metalloproteinases, which serve as degradation enzymes for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mainly collagen, is increased, causing depletion of collagen and resulting in early wrinkle formation. Methods: Therefore, in our study, we used the murine melanoma cell line B16/F10 to study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Korean Red Ginseng (KRG) extract in vitro and HRM-2 hairless mice exposed to artificial ultraviolet B to examine the efficacy of KRG in vivo. We prepared a 3% red ginseng extract cream and evaluated its effects on human skin. Result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KRG induced potent suppress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moreover, it reduced the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components involved in the melanin production pathway. In the in vivo experiments, KRG poten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reduced wrinkle formation, and inhibited collagen degradation. On human skin, ginseng cream increased skin resilience and skin moisture and enhanced skin tone. Conclus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KRG is an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product.

발효홍삼의 광노화 피부 억제효과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Photoaging Skin of Fermented Red Ginseng in Hairless Mice)

  • 이창현;김호일;김종석;오미진;김선웅;마상용;김명순;권진;정한솔;오찬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6-216
    • /
    • 2014
  • To investigate the anti-photoaging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RG) in SKH-1 mice. We examined the effects of extracts of non-fermented RG(NRG group), fermented RG(FRG group) and fortified fermented RG(FFRG group) on skin wrinkles formation, histological changes related to the number of epidermal cell layers, epidermal thickness, neutrophil infiltration into dermis, degradation of collagen fibers, and the number of mast cells, and immunohistochemical changes related to cytokines and enzymes in photoaging skin caused by UVB irradiation of SKH-1 mice. The oral administration(300 mg/Kg B.W./day) and topical application($100{\mu}{\ell}/mouse/day$) of extracts of NRG, FRG and FFRG inhibited increases in epidermal thickness and wrinkle form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dorsal skin induced by UVB irradiation. We observed more increased stainability of acid fuschin and aniline blue in dermis of FFRG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Furthermore, NRG, FRG and FFRG prevented the disruption of collagen fibers within papillary layer of dermis, and decreased number of mast cells in the dorsal skins induced by UVB irradiation. We observed fine wrinkle formation in FFRG group. Treatment with NRG, FRG and FFRG decreased immunohistochemical density of myeloperoxidase related to inflammation in the photoaging skin. We observed more decreased immunohistochemical density of myeloperoxidase in FFRG group than those of other groups. Immunohistochemical density of PCNA and Ki-67 in FFRG group was more decreased than those of other groups. Our study suggests that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participates in inhibitory effects in the morphological processes related to photoaging skin on UVB irradiated SKH-1 mice.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탄닌산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annic acid on Human Skin Fibroblast Elastase Activity)

  • 이주은;김소영;김수연;오미희;윤혜영;백광진;권년수;김동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7-223
    • /
    • 2008
  • 피부에서 엘라스틴(elastin)은 중요한 탄력섬유의 구성성분 중의 하나이다. 피부주름(skin wrinkle) 형성은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분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많은 연구에서 엘라스틴의 재형성과 분해 또한 주름형성 기전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엘라스타제(elastase)는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일종의 메탈로프로테이나제(metalloproteinase)이며, 자외선 B (ultraviolet B, UVB) 조사 후에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증가된 엘라스타제의 활성은 피부의 탄력성 감소와 주름 형성의 주요한 원인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각종 견과류나 과일에 함유된 폴리페놀(polyphenol)성분인 탄닌산(tannic acid)을 사람의 섬유아세포(CCD-25Sk fibroblasts)에 처리하여 엘라스타제 활성과 트로포엘라스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닌산은 농도의존적으로 사람의 섬유아세포 엘라스타제 활성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그러나 트로포엘라스틴 합성이나 발현증가에는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탄닌산은 엘라스타제의 활성을 억제시켜 엘라스틴의 3차원적 구조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탄닌산은 주름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ailor Welded Blanks를 이용한 S-rail의 성형 (S-rail Stamping of Tailor Welded Blanks)

  • 전병희;조흥수;오수익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5-30
    • /
    • 1997
  • In this study, the forming behavior of Tailor welded HS and IF steel s-rail stamping is analyzed by experiments and simul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uniform strain distribution in the formed part is most important to prevent springback and wrinkle formation. For that purpose, it is most effective to distribute uniformly the contact pressure of blank and bland holder.

  • PDF

섬유아세포에서의 MMP-2 및 MMP-9 활성 억제에 의한 베르베린의 항주름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berberine by inhibition of MMP-2 and MMP-9 activity in fibroblasts)

  • 장영아;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9-15
    • /
    • 2018
  • 우리는 황련에서 분리된 베르베린의 화장품소재로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항산화와 항주름 효능을 분석하였다. 시료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산화와 항주름 활성평가를 위해 ROS 생성능, hyaluronic acid 생성능, MMP-2, -9, TIMP-1,-2, $TNF-{\alpha}$의 발현을 각각 측정하였다. 베르베린에 대한 자외선의 세포 독성은 CCD-986sk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MTT 분석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이 $25{\mu}g/mL$의 농도 미만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베르베린이 ROS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고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베르베린은 주름 형성과 관련된 MMP-2 및 MMP-9의 protein 단계 및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TIMP-1 및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프로 pro-inflammatory cytokine 으로 알려진 $TNF-{\alpha}$에 대한 베르베린의 억제효능을 실험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TNF-{\alpha}$ 유전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베르베린은 활성산소종의 억제와 TIMP-1과 -2의 발현 조절에 의한 MMP-2,-9의 감소로 항산화 및 항주름에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사료된다.

흰목이버섯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Tremella Fuciformis Extracts)

  • 이광호;박현수;윤일주;신용봉;백영찬;구대호;김성규;정호경;심미옥;조현우;정원석;김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8-46
    • /
    • 2016
  • Background : The white jelly mushroom (Tremella fuciformis), one of the most popular edible fungi, has medicinal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s of T. fuciformis in skin whitening or anti-wrinkle efficacy has not been defined to dat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 fuciformis extracts o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icacy in skin cells. Methods and Results :We prepared T. fuciformis extracts with water. The extracts ($80^{\circ}C$) contained 12.11 mg/g polyphenol and 8.54 mg/g flavonoid concentration. T. fuciformis extracts markedly decreased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lpha}$-MSH-stimulated melanocytes (B16F10 cells).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of melanin formation factors, such as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RP-2)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alpha}$-MSH-stimulated melanocyte. Furthermore, T. fuciformis extracts increased the synthesis of type I procollagen and reduced mRNA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 (MMP-1) in the human dermal fibroblast (HDFn cells). These data indicated that T. fuciformis extracts induce repression of cellular melanogenesis and protect against wrinkles caused by UVB-stimulated damage. Conclusions : Thus T. fuciformis extracts could be a cosmetic candidate for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Isoquercitrin 함유 연꽃잎 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능 연구 (Effect of Isoquercitrin-containing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on Skin Wrinkle Improvement)

  • 문은정;전준명;이가희;백민영;이대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20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1형 프로콜라겐 분비량 측정을 통해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물을 검색하던 중, 연꽃잎추출물(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LE)이 가장 우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NLE를 분석한 결과 iso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isoquercitrin도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에서 제1형 프로콜라겐의 분비를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LE와 isoquercitrin은 자유 라디컬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isoquercitrin은 인간 피부유래 세포주인 HaCaT 및 NHDF에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고 총항산화능을 증가시켰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팀은 isoquercitrin의 함유량을 높이기 위해 정제한 NLE를 1.7% 함유한 크림(isoquercitrin 51 ppm 함유)을 제조하여 눈가의 주름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0 ~ 65세의 한국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얼굴의 한쪽 면엔 NLE 함유 크림을,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엔 대조제품을 매일 2회씩, 8주간 연속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NLE 함유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자극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조제품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 있게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NLE 및 isoquercitrin이 우수한 콜라겐 생성 촉진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며, isoquercitrin 함유 NLE는 안전한 천연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Safflower Seed Oil and Its Active Compound Acacetin Inhibit UVB-Induced Skin Photoaging

  • Jeong, Eun Hee;Yang, Hee;Kim, Jong-Eun;Lee, Ki 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67-1573
    • /
    • 2020
  • Ultraviolet (UV) is one of the major factors harmful to skin health.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accelerates the decline of skin function, causing the skin to have deep wrinkles, dryness, decreased procollagen production, and degradation of collagen. Novel materials are needed to prevent the aging of the skin by blocking the effects of UV. Safflower seed oil (Charthamus tinctorius L., SSO) contains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phytochemicals. SSO has been traditionally used in China, Japan, and Korea to improve skin and hair. Our objective in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SO and its active compound acacetin on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CaT cell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HDF). SSO inhibited UV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t both protein and mRNA levels in HaCaT cells and HDF. MMP-1 is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llagen degradation and wrinkle formation. Acacetin, a type of flavonoid, is present in SSO. Similar to SSO, acacetin also inhibited UVB-induced MMP-1 protein and mRNA levels in HaCaT cells and HDF. MMP-1 mRNA is primarily regulated by the mitogen-activated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 Acacetin 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JNK1/2 and c-jun, but did not inhibit the phosphorylation of ERK1/2, p38 and AK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SO and its active compound acacetin can prevent UVB-induced MMP-1 expression, which leads to skin photoaging, and may therefore have therapeutic potential as an anti-wrinkle agent to improve skin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