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lness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웰니스 척도(KWS)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Wellness Scale)

  • 최경화;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2호
    • /
    • pp.127-170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삶의 중요 영역에서의 웰니스(wellness) 추구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웰니스 척도개발을 위하여 문헌 검토, 전문가 인터뷰, 심층 인터뷰, 개방형 설문 1, 2차를 거쳐서 도출된 31개 요인, 182문항은 최종 10개 요인, 99문항으로 선정하였다. 한국의 일반 성인 351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 결과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0개 요인 58문항을 도출하였고, 각 요인에서 중요한 개념을 반영한 문항들을 일부 수정해서 10개 요인 63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고, 또 다른 집단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10개 요인(일, 공동체, 가족, 타인, 경제력, 자아존중, 여가, 신체 건강, 영성, 자기 성장) 63문항을 도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적합도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도출된 웰니스 척도와 그 하위요인들이 실제로 웰니스를 측정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신적 웰빙 척도(K-MHC-SF)와 웰니스 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를 사용하여 수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Scale)과 삶의 만족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변인과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각 경로에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웰니스 척도의 '자아존중' 은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감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의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 여가몰입 및 웰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among Leisure Supports, Flow and Wellness among Active Senior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 설수황;최종운;안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40-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며 1가지 이상 여가활동과 3개월 이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 209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에 대한 빈도분석, 연구변인의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여가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둘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지지는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1). 셋째, 액티브 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몰입은 웰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001). 고령사회로 접어든 현시점에서 여가활동 참여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여가지지와 여가몰입 및 웰니스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추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고, 웰니스를 영위하기 위해 여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본인 뿐만아니라 우리 사회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과제 및 웰니스 상품화 방안 (The Commercialization Ways of Wellness Tourism and the Problems of Healing Tourism in Gangwon Province Model)

  • 김상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17-323
    • /
    • 2019
  • 최근 웰니스 문화 및 치유관광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문헌조사 및 사례연구를 통해 치유관광 목적지로서 강원도의 치유관광 여건을 검토하고, 강원도형 치유관광의 발전 과제 및 웰니스 관점의 상품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조사 결과, 강원 영동권은 자연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우수한 치유기반 여건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지자체 간에 치유관광사업의 개발 컨텐츠나 사업 아이템이 중복되거나 계획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서로 연계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 사례지로 검토한 고성군의 경우, 실버치유관광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역의 특화된 자원과 연계한 테라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치유관광 대상별 웰니스 상품화 전략을 모색하고 강원 영동권의 지역별 강점을 효과적으로 연계 특화시켜 나간다면 실버 및 건강지향형 관광객을 타겟으로 하는 웰니스 관광상품 개발 운영의 지역적 성공 사례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웰빙관광과 웰니스의 매개효과: 숲치유프로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Well-being Tourism and Wellness Mediated Effects to Improve Quality of LifeFocusing on Forest Healing Program Users)

  • 이웅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64-2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관광만족도와 삶의 질사이에서 웰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웰빙관광이 삶의 질에 최근 웰빙관광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웰빙관광의 동기요인들을 통한 웰빙관광의 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인해 각 변인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는 2021년 5월 10일부터 5월 21일까지 웰빙관광을 경험 해본 수도권 지역의 일반인 총 236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웰빙관광동기요인은 웰빙관광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빙관광만족도는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웰니스는 웰빙관광만족도와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웰니스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웰빙관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웰빙관광이 웰니스를 추구하는 웰빙관광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삶의 질이 제고된다는 것을 확인하여 일상생활의 피로감이나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을 해소하는데 웰빙관광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밝혀냄으로서 웰빙관광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the Activities of Working People in the Sports Club)

  • 김경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9-109
    • /
    • 2019
  • 이 연구는 직장인들의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에 관한 연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400부를 설문 조사한 후, 무효 또는 오류 설문지를 제외한 387명의 설문지를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요인 분석 및 신뢰성 테스트는 IBM SPSS통계 Ver 21.0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변인 간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웰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종목에 따른 웰니스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연령에 따른 웰니스 차이에서는 지적 웰니스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대와 50대가 60대 이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활동기간에 따른 웰니스 차이에서는 사회적 웰니스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기간이 1~2년이 3년 이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인들의 웰니스적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장인들의 웰니스적 생활체육 동호회 활동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리스 프로그램이 여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비만지식과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Wellness Program on Knowledge of Obesity and Weight Loss in Women Schizophrenia Inpatients)

  • 정명실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0-68
    • /
    • 2013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a wellness program on knowledge of obesity and weight loss in women schizophrenia inpati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44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2) and a control group (22) in a 12-week multimodal weight control program. For 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pproximately an hour of teaching on obesity interventions and for another 6 weeks one hour of teaching on exercise and weight control interven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care. The outcome variab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Data was analyzed with the ${\chi}^2$-test and t-test using PASW Statistics 18. Results: For those who completed the weight control program, there was a mean weight loss of 1.37kg by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of obesity and weight loss. Conclusion: The wellness program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weight of women schizophrenia patients as well as being effective in increasing knowledge of obesity. Therefore, nurses must consistently educate women schizophrenia inpatients about health care and knowledge of obesity.

고령자 ADL 개선을 위한 기능적 운동 분석 및 선정 (Analysis of Functional Status and Determination for Improvement of ADLs: Korean Elderly)

  • 김사엽;박성빈;형준호;정경렬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15-924
    • /
    • 2010
  • Muscular strength in the elderly is important factors deciding on functional state in daily lives, and functional state shows a health condition. Resistance training to prevent loss of muscle mass and muscle fiber atrophy due to aging can increase muscle mass and strength. Recently, resistance training to improve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Resistance training increas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ability of the elderly, which makes healthy senescent. ADL/IADL is suitable for measuring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In this study, target muscles of resistance training were chosen through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DLs and elementary motion, and we presented a procedure to select target muscles and exercise equipments. This procedure consist of a survey method that were described detailed motion of ADL/IADL. So we should be to extract resistance training machine to improve functions of regarding fundamental motion. Result of study may improve daily life activities of the elderly through objectives and scientific approaches. Furthermore, it will be helpful to studies about various fields of the elderly.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센서 동향 연구 (A Review Study of Biosensors applicable to Wellness Wear)

  • 김효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231-243
    • /
    • 2017
  • 본 논문은 전기적 감지 방식 바이오센서의 개념을 리뷰하고, 의류 및 텍스트 기반의 바이오센서의 연구 사례를 조사하였다. 생체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생물학적 감지 물질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이오센서를 사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웰니스 의류는 U-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센서와 다르게 바이오센서의 차별화된 특징은 선택적 반응과 생물학적 물질의 결합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바이오센서 중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는 전기 신호의 처리로 인해 크기가 매우 작아 유비쿼터스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웰니스 의류를 개발하기 위해 소형화가 쉬운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적 감지 바이오센서(전기화학적 방식,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기반 FET 방식)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고찰을 통해 향후 웰니스 의류에 적용 가능할 바이오센서의 기술개발 방향을 제언하였다.

Co-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Anionic Macromolecules Extracted from Codium fragile with Red Ginseng Extract on Peritoneal Macrophage of Immune-Suppressed Mice

  • Kim, Ji Eun;Monmai, Chaiwat;Rod-in, Weerawan;Jang, A-yeong;You, Sang-Guan;Lee, Sang-min;Jung, Seok-Kyu;Park, Woo 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352-358
    • /
    • 202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mun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anionic macromolecules extracted from Codium fragile (CFAM) and red ginseng extract mixture on the peritoneal macrophage cells in immune-suppressed mice. Cyclophosphamide (CY) induces the immune-suppressed condition. CY-treated mice were orally f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FAM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 and the peritoneal macrophages collected. CY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mmune activities of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ed to the normal mice. The administration of CFAM mixed with red ginseng extract significantly boosted the viability of macrophage cell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peritoneal macrophages. Furth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CFAM mixed with red ginseng extract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OS, COX-2, and TLR-4 as well as cytokines such as IL-1β, IL-6, TNF-α, and IFN-γ more than the red ginseng-treated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CFAM enhanced the immune activity of red ginseng extract in the peritoneal macrophage cells of immune-suppressed mice. Furthermore, CFAM might be used as a co-stimulant of red ginseng extract through the regulation of macrophage cells for the enhancement of human health and immunity.

일(가정)-가정(일)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Individual Engage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Wellness Climate)

  • 왕동;차윤석;남윤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68-577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일-가정 간의 갈등이 개인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가정 갈등은 일영역에서의 부정적 효과가 가정영역에 미치게 되는 일방적인 단방향의 문제가 아니라 부정적 영향을 받은 가정영역에서의 효과가 다시 일영역에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이슈이다. 본 연구는 IT, 서비스, 제조업 등 총 11 개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정(가정-일) 갈등이 개인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는 한계적인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일 갈등과 개인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 건강지원 분위기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