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following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5초

소형풍동을 이용한 단동 비닐온실의 열손실 분석 (Analysis on Heat Loss of Single-span Greenhouse Using Small-scaled Wind Tunnel)

  • 김영화;김형권;이태석;오성식;유영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일정한 풍환경하에 온실 피복재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기 위하여 온실 열손실 분석용 소형 풍동을 제작하고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모형온실을 적용하였을 때의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였다. 소형 풍동은 시험부 측 공기흐름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풍동의 각 요소를 반영하여 구성하였으며 송풍부, 확산부, 정류부, 축소부, 시험부로 구성하였다. 소형 풍동의 형태는 개방형, 토출식으로 결정하였고, 시험부 규격은 제작하고자 하는 모형온실의 규격과 상사비율, 시험부의 단면 폐쇄율을 감안하여 결정하였다. 상사비율을 풍동실험에 적용할 모형은 농업시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단동 비닐온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형풍동 내 풍속을 조절함에 따라 나타나는 모형온실 피복재의 관류전열계수는 피복재 면을 크게 지붕면과 측벽면, 앞뒷면으로 나누고 각 면별 계측 데이터를 평균 내어 산출하였다. 지붕면은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전열계수도 증가하나 증가폭이 감소하는 구간은 배치각도에 따라 1-2ms-1과 2-3ms-1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측벽면의 전열계수가 증가하는 폭이 큰 구간은 0-1ms-1 구간인 것으로 판단된다.

Sucrose용액중(溶液中)에서 유기(誘起)되는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의 자기용해현상(自己溶解現象)에 의(依)하여 형성(形成)된 Protoplast의 성상(性狀)에 관(關)한 연구(硏究) (Biological Properties of Protoplasts Produced by Sucrose-induced Autolysis of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 최경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6-142
    • /
    • 1978
  • 혐기성세균(嫌氣性細菌)인 C. saccharoperbutylacetonicum이 동조(同調) 농도(濃度)의 sucrose용액중(溶液中)에서 타(他) 용균효소(溶菌酵素) 또는 항생물질(抗生物質)을 첨가(添加)함이 없이 세포벽(細胞壁)이 급격(急激)히 용해(溶解)되어 구상(球狀)의 균(菌)으로 변화(變化)하는 특이(特異)한 현상(現象)이 확인(確認)되었다. 형성(形成)된 구상(球狀)의 균(菌)은 세포벽(細胞壁)이 완전(完全)히 제거(除去)된 원형질체(原形質體)로서 삼투압(壓) shock에 약(弱)하고 bacteriophage흡착능(吸着能)을 상실하였으며 분열증식(分裂增殖)이 불가능(不可能)하였다. 그러나 생체고분자(生體高分子)의 생합성(生合成)이 가능(可能)하며 mitomycin C처리(處理)에 의(依)하여 bacteriocin을 생산(生産)하였으며 분리(分離)한 phage DNA의 감염(感染)에 의(依)하여 자손(子孫) phage를 생산(生産)하였다. 즉(卽) 동조농도(同調濃度)의 sucrose 용액중(溶液中)에서 유기(誘起)되는 용균(溶菌)에 의(依)하여 생성(生成)된 구상(球狀)의 균(菌)은 세포벽(細胞壁)을 가지지 아니한 원형질체(原形質體)로서 모세포(母細胞)의 균학적(菌學的) 특성(特性)을 계승한 상태(狀態)에 있었으며 전형적(典型的)인 protoplast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고산 윤선도 금쇄동 정원유적 정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lanning for Gumswae-dong Garden Heritage Maintenance)

  • 김무한;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1-51
    • /
    • 2015
  • 고산 윤선도의 금쇄동 원림과 현산고성은 사적 432호로 일괄 지정된 문화재로 진정성 있는 정비복원이 요구되는 정원유산이다. 본 연구는 고산원림과 현산고성 유적의 진정성 및 완전성 유지 강화와 고산문학의 산실인 윤선도 유적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비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주민 및 전문가 인터뷰, 사료조사, 현장측량 조사 및 항공사진 분석 등과 함께 사례연구, 전문가 워크샵을 실시하였다. 정비계획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발굴구역 설정을 위해 핵심 발굴 구역, 발굴 권장구역, 발굴 검토구역을 계획하였다. 둘째, 고산 당대 명명된 유구들인 22개 경관을 대상으로 안내시설 설치, 주변식생정비, 동선 정비 및 안전시설 설치, 조망지점 정비와 기타 편의 시설로 작은 휴게장소와 데크 설치를 제안하였다. 셋째, 금쇄동기, 고지도, 옛 항공사진, 주민 면담 등을 통해 기존 산길을 찾아내고 필요한 길을 정비하여 정원감상을 위한 동선을 계획하였다. 넷째, 정확한 조성시기 확인과 발굴 후 보전 계획이 요구되는 대상들로서 식생정비 및 주변 정비를 계획하였고, 유적이 없는 대상의 경우 관람 및 편의를 위한 시설과 경관의 다양성과 생태적 효과를 위한 부분별 습지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산고성은 기본적으로 정비방식 설정을 위한 발굴과 고증이 요구되나 편축성과 협축성에 대한 정비계획과 식생 정비수준을 계획하였다.

이중냉각 환형핵연료 집합체를 위한 비틀림 혼합날개 지지격자의 강제대류열전달 성능 검토 (Examination of Forced Convection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a Twist-Vane Spacer Grid for a Dual-Cooled Annular Fuel Assembly)

  • 이치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1권1호
    • /
    • pp.53-62
    • /
    • 2017
  • 이중냉각 환형핵연료 집합체를 위한 비틀림 혼합날개 지지격자의 강제대류열전달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비틀림 혼합날개 지지격자는 부수로 간 혼합뿐 아니라 부수로 내 혼합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을 위한 이중냉각 환형핵연료 모의 집합체로, 봉 중심 간 거리와 봉 외경의 비가 1.08인 봉 간격이 좁은 $4{\times}4$ 정사각 배열의 봉다발을 준비하였다. 실험은 봉다발 유동의 축방향 평균속도가 1.5 m/s, 열유속은 $26kW/m^2$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원주방향 온도 분포의 경우, 지지격자 상류에서는 부수로 중심 벽면에서, 하류에서는 비틀림 혼합날개 끝이 향하는 벽면에서 온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축방향 온도 분포의 경우, 지지격자 하류 근처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고, 비틀림 혼합날개에 의해 누셀트 수는 최대 56 %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를 토대로 봉 간격이 좁은 이중냉각 환형핵연료 집합체에서 비틀림 혼합날개 지지격자에 의해 강제대류열 전달 성능이 효과적으로 증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터널 굴진면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에 따른 단층 자세 분석 (Analysis of Fault Attitudes by Using Trajectories of the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on Tunnel Face)

  • 윤현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26권3호
    • /
    • pp.393-4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단층이 출현하기 직전의 굴진면에서 발생한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의 출현 위치를 예측하였다. 해석에는 총 28개의 단층 자세 모델이 이용되었다. 순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굴진면의 상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최대 수평변위가 굴진면 중앙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역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굴진면의 하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굴착에 따라 굴진면의 중앙부 또는 중앙 상부에서 하부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방향은 순경사 모델의 경우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상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며, 역경사 모델은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하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최대 수평변위는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굴착에 따른 굴진면의 수평변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굴진면 전방에 분포하는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및 마늘 정유투여(精油投與)가 백서(白鼠)(Rat)의 간장(肝臟) 및 신장(腎臟)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Histopath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Garlic and Garlic oil to the Rats)

  • 노일협;이숙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권3_4호
    • /
    • pp.201-205
    • /
    • 1968
  • The authors has observed the histopathologically and histochemically on the effect of the garlic and garlic oil to the liver and kidney of rats. In order to confirm the histochemical changes of the metabolism of polysaccarides, the periodic acid Schiff reaction was applied. The 30 albino adult male rats weighing about 150 grame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ere housed individualy and devide into 3 experimental groups: Group C: stock diet group Group B: stock diet-garlic group Group A: stock diet-garlic oil group Group C was fed with stock diet only through out this experimental period, Group B was fed with stock diet supplemented with garlic homogenator to be 1%, and Group A was fed with stock diet supplemented with the garlic oil to 0.05%. The garlic oil used in this experiments was extracted by author. And all rats was fed during 10 weeks. The histopathological and histochemical results were shown in each figure. According to the all results, the following concIusions were drawn. 1) In the garlic oil administrated groups, congestion of the sinusoid was subsided and the liberation of the Kupffer's cells were observed. 2) In garlic administrated groups, fatty metamorphosis in hepatic cells, and slight liberation of Kupffer's cells in sinusoidal walls were observed. Connective tissue proliferation and collagen bundle were observed. 3) The connective tissue and blood vessel wall in portal area Were reacted intensely with PAS stain. The hepatic cells Were reacted intensely with PAS stain in control group and moderately or slightly in garlic and garlic oil administrated group.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cting and Henle's loops in each groups, but narrowing of lumen of the distal tubules were observed in garlic oil administrated group. 5) The basement membrane of the tubules and the connective tissues of the vessel wall in Kideny were reacted intensely with PAS stain in each groups. In control and garlic administrated groups. the brush border of the proximal tubules were reacted intensely with PAS stain, but epithelium of the Heine's loop, proximal, distal and collecting tubules were reacted moderately. In garlic oil administrated-group, there were tendency of decreasing of PAS stain in each tubules.

  • PDF

흉벽에서 발생한 점액성섬유육종 (Myxofibrosarcoma Originating from Chest Wall)

  • 차병기;이미경;이삼윤;최종범;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66-170
    • /
    • 2006
  • 점액성섬유육종은 성인과 장년의 환자에서 사지의 가장 흔한 연조직 육종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 종양은 흉벽에서는 희귀하게 발생한다. 58세의 여자환자가 본: 병원 일반외과에서 절제에 이은 수개월 후 재발하여서 우측 아래 흉벽에서 8${\times}$6.5 cm의 거대 종양덩어리를 보였다. 조직은 침윤성 심부에 위치한 피하층 종양이었고 명확한 점액성 변화와 중등도의 세포 충실성을 보이면서 명확한 엽성 성장을 보였다. 종양세포는 다양한 정도의 세포양상과 유사분열을 갖고 있는 방추형세포였고 궁형의 혈관양상을 보였다. 5-100, CD68과 Mac387 그리고 FX IIIa의 면역염색은 음성이었고 Vimentin 염색은 양성을 보였다. 조직양상은 점액성 섬유육종의 증간등급이었다. 광범위절제를 하였고 한달 후 퇴원하였는데 항암제나 방사선치료 없이 결손부위의 피부이식을 준비하고 있다.

수학적 선행경험이 산수학습에 미치는 인지적 효과 (Cognitive Effects of Mathematical Pre-experiences on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명숙;전평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93-10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mathematical abilities of the 1st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investigating cognitive effects which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have on children's learning mathematic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In learning effects through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1)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pre-experiences and children without them in Mathematics Achievement Test\ulcorner 2) is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pre-experiences and children without them in Transfer Test for learning effects\ulcorner For this study, a class with 41 children in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a Myon near Chong-ju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lass with 43 children in G elementary school in the same Myon was selected as a control group.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To give pre-experiences to the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their classroom was equipped with materials for pre-experiences, so children could always observe the materials and play with them. The materials were a round-clock on the wall, two pairs of scales, fifty dice, some small pebbles, two pairs of weight scales, two rulers on the wall, and various cards for playing games. Pre-experiences were given to the children repeatedly through games and observations during free time in the morning (00:20-09:00) and intervals between periods. There was a pretest for homogeneity of mathematics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wer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30 items) and Transfer Test (25 items) for learning effects as post-tes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test on April 8 (control group), on April 11 (experimental group) and from th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and Transfer Test on July 15 (experimental group) and on July 16 (control group). T-test was used to analyz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pretest, there was not a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17.10. SD=7.465) and the control group (M=16.31, SD=6.974) at p<.05 (p=0.632). (2) For the question 1. i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26.08, SD=4.827) and the control group (M=22.28. SD=5.913) at p<.01 (p=.003). (3) For the question 2. in the Transfer Test for learning eff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M=16.41, SD=5.800) and the control group (M=11.84, SD=4.815) at p<001, (p=.000).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bta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mathematical pre-experiences given by teacher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transfer in learning mathematics. Second, games. observations, and experiments given intentionally by teachers can make children's mathematical experiences rich and various, and are effective in adjusting individual differences for the mathematical experiences obtained before they entered elementary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ive mathematical pre-experiences with close attention in order to stimulate children's mathematical interests and intellectual curiosity.

  • PDF

지하이동통로가 구비된 다기능 어도의 안정성 검토 (Stability Analysis of Multi-Functional Fishway with Underground Passage)

  • 이영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0-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경북 구미시 봉곡천에 최근 건설된 다기능어도를 대상으로 SAP2000으로 구조 해석하기 위한 변수를 R/C Slab, R/C+S/C Slab 및 지하이동통로 규격(가로${\times}$세로)을 $1m{\times}0.2m$, $1m{\times}0.4m$, $1m{\times}0.6m$와 유속 0.8m/s, 1.2m/s, 1.6m/s으로 구분하여 해석한 결과와 봉곡천 설계식을 비교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봉곡천의 설계식 보다 R/C+S/C Slab 타입이 지하이동통로 출구부는 휨모멘트와 최대응력은 각각 28~54%, 26~50%, 측벽은 24~47%, 17~31%, 상부슬래브인 경우도 10~27%, 4~20%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최대응력과 휨모멘트가 R/C+S/C Slab 타입이 구조 안정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지하통로는 휨모멘트와 최대 응력이 27%, 25%, 측벽은 24%, 15% 상부슬래브는 14%, 10%의 보완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지하이동통로 규격이 봉곡천 규격과 동일한 $1m{\times}0.4m$일 때가 $1m{\times}0.2m$, $1m{\times}0.6m$ 보다 안정성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해석 및 분석 결과를 근거로 다기능어도 시공 시 기본 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투명 fiber 포스트를 통한 광중합형 접착레진의 중합 반응 (CURING REACTION OF THE LIGHT CURED FLOWABLE COMPOSITE RESINS THROUGH THE ENDODONTIC TRANSLUCENT FIBER POST)

  • 안석;박상원;양홍서;방몽숙;박하옥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ubstitute possibility of a newly developed flowable composite resins as a luting cement for translucent fiber post. Material & Method: Two kinds of 12 mm translucent fiber Post (D.T. Light-Post (Bisco, USA) and FRC Postec (Ivoclar vivadent, Liechtenstein) was inserted into the teflon mold (7 mm diameter, 9 mm long) and Filtek-Flow (3M ESPE. USA), a light activated flowable composite resin, was polymerized for 60 seconds through the post. Also, the post was cut from the tip to 9 mm, 6 mm, 3 mm, and Filtek-Flow was light cured according to each length. For comparison, 60 seconds light-cured and 24 hours self-cured two dual cured resin cement (Duo-cement (Bisco, USA) and 2 Panavia-F (Kuraray, Japan)) samples were prepared as control group. Also cavities (1 mm in width, 1 mm in depth and 12 mm in length) were prepared using acrylic plate and aluminum bar, and flowable composite resin was flied and light cured by the diffused light from the fiber post's side wall.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curing light using Vickers' hardness test. Result: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Vickers' hardness of light cured dual cured resin cement and flowable composite resin decreased from Panavia-F, Filtek-Flow and Duo-cement accordingly (p<0.05). In the dual curing resin cement, light curing performed group showed higher surface hardness value than self cured only group (p<0.05). 2. Surface hardness ratio (light cured through fiber post /directly light cured) of D.T. Light-Post using Filtek-Flow showed about 70% in the 6 mm deep and about 50% in the 12 mm deep FRC Postec showed only 40% of surface hardness ratio. 3. Surface hardness ratio by diffused light from the post's side wall showed about 50% at 6 mm and 9 mm deep, and about 40% at 12 mm deep in D.T. Light-Post. However, FRC Postec showed about 40% at 6 mm deep, and almost no polymerization in 9 mm and 12 mm de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