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experience

검색결과 849건 처리시간 0.032초

모바일 가상 뷰어 시스템 기반의 협업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 제안 (Proposal of Collaborative Application Prototype based on Mobile Virtual Viewer System)

  • 박재현;박민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897-912
    • /
    • 2019
  • The growth of domestic fashion industry market went sluggish affected by long-term slow growth and shrinking consumer sentiment since 2012, and the entire market has shown a slight growth since 2017. Yet only some conglomerates or global businesses experience this growth. Small and medium-sized fashion companies or rising fashion designers in South Korea, face real limitations and problems poor capital, lack of professional workforce, experience, informa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y as well as difficulty of acquiring distribution network, which lead to further polarization between conglomerates and small businesses. Thus, this study proposed mobile virtual viewer system-based collaborative application prototype capable of overcoming limitations and problems drawn by analyzing business environment of domestic brands launched by rising fashion designers. Especially, through applied template-based 3D virtual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performing the entire process in the virtual reality beyond spatial and temporal restraints, it is assumed that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outcomes can be obtained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가상현실 게임의 사이버 멀미 감소를 위한 연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Plan for Reducing Cybersickness in Virtual Reality Game)

  • 정세아;김홍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3-123
    • /
    • 2017
  •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next-generation technology and can create realistic environments like the real world and reproduce sensory experiences. And it is a cutting-edge technology that allows humans to experience the same real-world experience in a virtual world by computing the five senses with computers. Also Virtual reality is a technology that has the advantage of experiencing reality in cyberspace and is applied to content such as movies and games. However, many users who use virtual reality can feel cybersickness. And it especially in virtual reality games. This is an important issue for the virtual reality game industry to be resolved. Main symptoms of cyberscickness include dizziness, headache, and vomiting. Existing motion sickness and symptoms are similar, but the cause of cybersickness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ickness. Therefore, this study uses virtual reality games and data from various organizations to determine the causes of cybersickness. Also, it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virtual reality game industry by presenting methods to supplement these problems.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소비경험에 대한 연구: 사회표상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Paid Virtual Live Stream Concert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 박현진;정윤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77-101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현장콘서트의 대안적 공연형태이자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가 등장하였으며, 계속해서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의 콘서트 소비 및 참여경험을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표상이론(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SRT)을 바탕으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소비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C-P-N-D(Content-Platform-Network-Device) 모형에 기반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의 특징 차원의 요소와 관람자의 인식 차원의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개방형 설문에 대한 23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SRT에 기반한 핵심-주변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과 네트워크 및 기기 차원의 특징들이 유료 온라인콘서트의 핵심적 사회표상 요소로 제시되었으며, 콘텐츠와 플랫폼 차원의 요인들이 주변부 요소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안적 매체로 부상하는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고하고, 참여자들의 소비 및 관람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ourth Wall on the Player's Gaming Experience in Side-Scrolling Games

  • Qi Y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18-123
    • /
    • 2023
  •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merging technologies represented by VR technology, many game developers are declaring that they are constantly trying to break the "fourth wall" and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ity to create game immersion for players. new game. But for many gamers, a strong sense of immersion is not the focus of their pursuit. The sense of control and safe exploration during the game is also the game experience that many gamers are pursuing. Moreover, there is ambiguity i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breaking the fourth wall in the field of academic theory. The purpose of breaking the fourth wall was to separate the real world from the virtual world, to remind the audience that the actors and the audience are in two different worlds, and to trigger the audience's thinking about drama and deeper philosophy. But in the current game, it has become a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pulling players into the virtual world, and focusing on the immersive experience. In this paper, we will first sort out the concept of "breaking the fourth wall", and the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horizontal scroll games and VR games, and conclude that the "fourth wall" has an impact on players Great conclusion.

실감미디어 기반의 다감각 가상 체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sensory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Realistic Media)

  • 이현철;박기창;김은석;허기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74-1583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how to develop a multi-sensory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realistic media that can improve the sense of immersion and reality experienced by the user. We suggest four types of multi-sensory virtual reality system; a realistic media experience system which provides sensory experiences to user by interlocking the media file with the sensory informations and reproducing the sensory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scene, a real image-based panorama experience system which maximizes the sense of reality, an experience ball system in which users engage themselves into the system environment to lead the story and immersion of the conten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ystem, and a cultural heritage experience system based on hand movement recognition. The suggested systems can be applied in a various area such as education, advertisement, culture and arts, performance, exhibition, sports, game, 4D Experience Center, and so on. We supposed that it can contribute to create a variety of sensible contents services in the realistic media industry through the convergence of media, contents, and devices.

가상 수중 환경과 체감형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Underwater Environment And Sensory Simulator)

  • 윤재홍;허기택;강임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60-568
    • /
    • 2012
  • 가상공간 구축 기술은 체험 방법이 다기능화 되면서 동작, 소리, 온도, 압력 등을 인식하여 콘텐츠와 사용자가 상호작용이 가능한 지능형 상호작용 기술 분야로 연구가 확대되고 있다. 가상현실 기술은 3D그래픽 기술과 물리 현상을 가상공간에 적용시켜 현실감을 증대시키고, 가상환경에 하드웨어 장치들을 사용하여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상 수중 환경에 대한 체감형 콘텐츠의 제작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드웨어 장치들과 해양 콘텐츠를 연계하기 위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심 변화에 따른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정규화된 수중 물리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이고 사실감 있는 가상 수중 환경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스킨스쿠버 체감 시뮬레이터를 가상 수중환경과 연동시킴으로써 수중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스킨스쿠버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체감형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Experience in Using Peer-to-Peer Platforms and Immersive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Future Masters of Pharmacy in Medical Lyceum

  • Volodymyrovych, Tsekhmister Yaroslav;Tetiana, Konovalova;Yaroslavovych, Tsekhmister Bogd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23-28
    • /
    • 2022
  •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xperience in using peer-to-peer platforms and immersive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future masters of pharmacy from the Pharmaceutical Faculty of Bogomolets National Medical University, Ukraine.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given the pre- and post-test containing multiple choice question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mmersive technologies. Further, a self-designed structured questionnaire contained 10 questions with 5 options was delivered to consented participants through email and WhatsApp. The results of test presented that students attained an average of 26% in their pre-test while the average attained score post-test was 74% tha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with peer-to-peer platforms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results of survey questions also showed an overall 86.73% satisfaction for the use of peer-to-peer platforms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training of future masters of pharmac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90.81% showed agreement that they gained a high level of confidence through peer-to-peer platforms and virtual reality to handl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 It can be concluded that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ed a strong agreement with positive experience in using peer-to-peer platforms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the training of future masters of pharmacy in medical lyceum.

가상현실을 이용한 박물관 내 멀티모달 스토리텔링 경험 연구 (Multimodal based Storytelling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in Museum)

  • 이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1-19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박물관 내에 멀티모달 경험을 만들 수 있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다양한 관람객들이 직관적인 역사 이야기를 체험하기 위해 필요한 가상현실 기술 기반의 멀티모달 스토리텔링 방식을 논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현재 박물관을 소재로 하거나 대상으로 만들어진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이용될 수 있는 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멀티모달 경험을 만들기 위한 컨셉에 대한 이론적 고찰, 그리고 역사 자료를 가상현실 유관 기술을 통해 시각화한 자료들을 문헌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멀티모달 기반의 스토리텔링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관련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에서 본 연구는 박물관 내에서 관람객을 위한 역사 주제의 가상현실 기반 멀티모달 환경의 구성요소에 대해 제안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역사적 자료가 오디오-비주얼 및 인터랙션 모드와 결합하여 다양한 계층의 관람객 대상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가상현실 스토리텔링 설계의 구성요소를 제안하는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한다.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사용자 경험과 운전 태도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of the Effects of User Experience and Driving Attitude on Driving Simulation Game in Virtual Environment)

  • 배재한;김재진;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18
    • /
    • 2015
  • 본 연구는 3D 가상현실에서의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과 일반 모니터를 사용한 비디오 게임의 환경에서 실재감, 몰입, 각성의 사용자 경험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비교 실험을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의 기능적 효과 측면에서 기능성 효과인 운전태도와 게임성 효과인 정서적 즐거움 그리고 복합적인 효과인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차 운전면허를 소지한 초보운전자 남녀 각50명씩 총 100명의 실험 참여자를 선정하여 두 가지 실험 환경에서 운전 시뮬레이션 게임을 플레이테스팅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재감, 몰입, 각성의 사용자경험이 가상현실 환경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의 기능적 효과인 운전태도, 정서, 만족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기능성게임의 가상현실 적용에 이론적, 실무적 기여를 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가상현실을 위한 몰입형 멀티채널 디스플레이 (Immersive Multichannel Display for Virtual Reality)

  • 김상연;임성민;김도윤;이재협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31-139
    • /
    • 2010
  •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allows users to experience the same sensation as if they look and feel real objects, and furthermore it enables users to experience phenomena in virtual environment which are difficult to illustrate in real world. A multichannel display is one of the virtual reality systems for generating high-quality images and guaranteeing a wide view angle using multiple projectors. In this work, we present the multichannel display system whose resolution is $4096{\times}1536$. We implement an automatic calibration (geometric and color) method for compensating the distorted image and color. The results clearly show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continuous and smooth i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