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second molar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2초

CT 이미지를 사용한 Micro-implants 식립을 위한 매부학적 연구 (An Anatomical Study using CT Images for the Implantation of Micro-implants)

  • 박효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35-441
    • /
    • 2002
  • 교정치료의 고정원으로서 수술용 Microscrew가 소개되고 사용되어 왔다. 몇몇 임상가들은 Miniscrew혹은 Microscrew를 치근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치근 하방의 기저골에 식립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저자는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없이 치근사이의 치조골에 식립하여 고정원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렇게 하므로서 치근하방에 식립할때 생기는 문제점인 수직 분력이 커지고 수평 분력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악의 경우 적절한 후상방 교정력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치조골에 상악의 경우 치아 장축에 대하여 30-40도의 각도로, 하악의 경우 10-20도의 각도로 식립하여 교정력의 방향을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바꾸고 긴 Micro-implant를 치근 손상의 위험성을 줄이며 식립하여 안정도를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Mciro-implant를 치근사이 치조골에 식립하는데 기준이 되는 어떠한 연구도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Micro-implant식립에 기준이 되는 즉 치근 손상 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부위의 선택을 위한 근거 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1명 환자를 대상으로 치조골로부터 5-7mm에 해당하는 CT 절단면을 선택하여 피질골의 두께, 피질골 표면과 치근과의 거리,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피질골의 두께, 골 표면과 치근사이의 거리, 인접 치근사이의 거리등을 구하였다. .피질골의 두께는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이행할수록 두꺼웠다. 특히 하악골 구치부에서 가장 두꺼웠다. 인접 치근 사이의 거리 계측 항목에서 상악에서는 제2소구치와 제 1대구치사이,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 사이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임플랜트 상부 보철물의 고정 방식에 따른 힘의 분포에 관한 연구 : 나사 유지형 대 시멘트 유지형 (A COMPARISON OF LOAD TRANSFER IN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 이주희;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5-145
    • /
    • 2001
  •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between cement-retained and screw-retaine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e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abutment type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hypothetical three unit fixed partial denture case was modelled on the three implants(10mm length and 3.75 diameter) in mandibular bone. Four angles of implantation(vertical, 10, 15 and 20 degree inclined mesially) were created and three different directions of force (vertical, oblique, horizontal) were appli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remolar and distal end of the first molar for each case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vertically installed cases, the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upper components, but mesially inclined cases, the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cortical bone. 2, The more inclined mesially the more stress was observed, especially at cortical bone. 3. The cement-retained models showed lower principal stress and more even stress distribution than the screw-retained models. 4. The similar stress distribution pattern was showed in model 1 and model 2, model 3 and model 4. 5. The more stress was observed when the loads were applied at the distal end of 1st molar than the center of 2nd premolar. 6 The fixture and the model as a whole, lesser stress values were observed when vertical loads were applied as compared to horizontal and oblique loads.

  • PDF

Patholog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third molars: A retrospective study of panoramic radiographs in a Southern Brazilian population

  • Gabriela Brum Cardoso;Gleica Dal' Ongaro Savegnago;Waneza Dias Borges Hirsch;Mariana Boessio Vizzotto;Gabriela Salatino Liedk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4호
    • /
    • pp.303-31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and acquired patholog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third molars (3Ms) in a Southern Brazilian population and evaluated whether demographic and tooth characteristics were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bone or tooth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Panoramic radiographs were assessed for developmental (bone-related) or acquired (tooth-related) pathoses associated with impacted upper or lower 3Ms. Data on tooth positioning, tooth development, and patient demographics were collected. A trained, calibrated postgraduate student evaluated all images. Binary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ssess associations between outcomes and the demographic and radiographic variables. The threshol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5% (P<0.05). Results: The sample comprised panoramic radiographs from 2054 patients, predominantly female (59.2%), with a mean age of 27.2±11.5 years. Overall, 4066 impacted 3Ms were evaluated, revealing 471 (11.6%) developmental and 710 (17.5%) acquired pathoses. Among the developmental pathoses, 460 (95.2%) were indicative of dentigerous cysts. Male sex, lower 3M location, vertical or distoangular positioning, and incomplete root formation were associated with an elevated likelihood of developmental pathology. Lower tooth position, complete root formation, and partial eruption were linked to an increased probability of an acquired pathology in the third or second mola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pathologic condit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3Ms was low. Male sex, lower 3M placement, horizontal or distoangular positioning, and incomplete root formation were associated with developmental pathoses, while lower tooth position, complete root formation, and partial eruption were related to acquired pathoses.

컴퓨터를 이용한 치아크기 계측시 재현도와 정확도에 관한 연구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tooth size measurements obtained by the use of computer)

  • 김은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3-573
    • /
    • 1999
  • 본 연구는 치아크기 측정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계측치와 석고모형을 촬영하여 컴퓨터를 사용한 계측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석고모형 분석시 컴퓨터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치아밀집치열 특징을 지니며 모든 치아의 맹출이 완료된 상하악 20조의 석고 모형의 좌측 중절치부터 제 1대구치까지 12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폭경을 버니어 캘리퍼스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2주 간격으로 2회 측정하여 실험측정치를 얻은 다음, 측정에 이용된 석고모형을 근원심접촉점 부위에서 개개치아로 분리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표준치와 비교분석하였다. 계측시 오차의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하악의 occlusogram을 얻어 각 치아의 접촉점 이탈유무 및 정도를 구하고, TARG (Torque Angulation Reference Guide)를 이용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경사도를 계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회 측정에 대한 재현도 비교시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12 개 치아 중 3개의 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컴퓨터의 경우에는 1 개의 치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2. 치아크기 계측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치와 비교한 결과,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12개 중 3개의 치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의 경우에는 12 개 중 2 개의 치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3.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한 경우 상악 제 1 대구치는 표준치에 비해 크게, 하악 제 1 대구치는 표준치에 비해 작게 재는 경향을 보였으며 컴퓨터의 경우 상하 제 1 대구치 모두 표준치에 비해 크게 재는 경향을 보였다. 4. 버니어 캘리퍼스로 계측시에는 하악 제 1 대구치가 가장 큰 오차를 보였으며 치아별로 오차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난 반면, 컴퓨터의 경우 치아별 오차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접촉점 이탈정도 및 치관의 근원심 경사도와 오차정도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한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컴퓨터로 계측한 경우 약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모형분석을 위한 치아크기 계측시 컴퓨터 이용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 PDF

성장기 환자에서 하악의 차등적 소구치 발치 (MANDIBULAR DIFFERENTIAL PREMOLAR EXTRACTI0N IN GROWING PATIENTS)

  • 김도훈;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01
  • 성장기 환자에서 치아의 배열이나 입술의 외형을 개선하거나 경미한 악골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을 절충(camouflage)하기 위하여 발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하악 치열궁에 총생의 양이 미약하거나 전치부 분절을 과도하게 후방견인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하악 제 2소구치 발치를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서 이러한 제 2소구치 발치의 기준과 치료에 의한 상, 하악 치아의 이동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시행한 성장기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제 1소구치와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군(4/4발치군, 14명)과 상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를 발치한 군(4/5발치군, 15명)의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하악 제 2소구치 발치의 적응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평가하고, 안정골 구조물을 참고한 중첩법을 이용하여 치아이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4발치군과 4/5발치군은 치료 전 계측치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전치의 치축각도, 구치부 교합관계, IMPA 그리고 interincisal angle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하악 제 1 대구치의 전방 이동량은 4/5 발치군에서 더 전방이동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치료 전, 후의 상악 치아의 이동양상은 4/4 발치군과 4/5 발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

상하악 제2소구치 발거 치료 증례 - III급 부정교합 경계증례의 치료전략 (Upper and lower second premolar extraction treatment case - Treatment strategy for Class III borderline cases)

  • 김태경;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2002
  • 경미한 총생이 있는 경계증례를 치료할 때 비발치로 치료계획을 세우면 심미성과 안정성이 문제될 뿐 아니라 치료 후의 재발이 우려되며,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게 되면 전치부의 과도한 후방견인으로 인하여 dish-in face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면 안모심미성의 훼손없이 총생을 해결하고 치료 후의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미약한 골격 부조화가 있고 경미한 총생이 있지만, 좋은 안모와 I급 구치관계를 가진 성 장 완료된 환자에서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 치료하여 치료결과가 양호하고 성공적으로 유지 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Anterior and Posterior Overjet for Clinical Arch Coordination using 3-dimensional Analysis

  • Lee, Young-Wuk;Bayome, Mohamed;Baek, Seung-Hak;Kook, Yoon-Ah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8-23
    • /
    • 2009
  • Introduction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nterior and posterior overjets using bracket slot points, and compare two methods of overjet calculation according to different reference points using clinical bracket points on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s. Methods : A total of 35 normal occlusion models were scanned using a three-dimensional scanner (Orapix$^{(R)}$, Orapix Co., Ltd, Seoul, Korea) and then, virtual brackets (0.022" Slot MBT preadjusted brackets, 3 M Co.CA. USA) were placed on the digital models using virtual setup program (3Txer$^{(R)}$ ver. 1.9.6, Orapix co., Ltd). Archwire-like curves were designed to analyze labial and buccal overjet.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and left overjet and between genders. The average overjet was found to be $1.67{\pm}0.85mm$ at the central incisor area, $2.16{\pm}0.88mm$ at the second premolar and $1.53{\pm}0.71mm$ at the first molar.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overjet of individualized upper and lower arch to be 2.0mm at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 PDF

피질골 절단술을 이용한 수평면에서의 임플란트의 위치 교정에 대한 치험례 (A CASE REPORT ABOUT CORRECTION OF IMPLANT POSITION AT HORIZONTAL PLANE AFTER CORTICOTOMY)

  • 최빈;오해수;김진철;길용갑;김경수;김좌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55-261
    • /
    • 2007
  • Preface: Dental implant is important method that may solve the mastication, occlusion, esthetic, temporomandibular joint, and psychologic problem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t is ideal that all of the implant are well positioned by adequate technique. By the way it‘s not always possible because of some anatomic, physiologic factor. In this case, If the implant can be moved to adequate position, it may be possible more esthetically and implanted patients more satisfied, but the majority of Implantists and orthodontists have thought that it is not possible. However, Implant, in fact, can be moved. and thus we can overcome the limit of implantation m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mplant movement after corticotomy. Case report: Patient missed the upper right first molar. and implantation was done after completion of socket healing. We wait six months for osseointegration. Then, corticotomy was done under local anesthesia and close coil was used for orthodontic force. After traction during 3 weeks, we find the change of implant position at horizontal plane. we can not see the degenerative change on adjacent structure and tracted implant. there is a clinical mobility on upper right second premolar that used for anchorage but it subside spontaneously at the timing of prosthetic restoration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Discussion: As we could have some knowledge with this experiment, we report the case of implant movement after corticotomy and suggest a method about more esthetic implant treatme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성인 유치악자 상악골의 악궁과 치열궁의 형태에 관한 조사 (A STUDY OF INTRAORAL ANATOMIC LANDMARKS OF KOREAN ADULT-UPPER JAW)

  • 오유리;이성복;박남수;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53-768
    • /
    • 1995
  • For accurate impression taking of dental patient and esthetic denture treatment of ednetulous patient, measuring between intraoral anatomic landmarks is useful.In this study the subjects selected at a random were two-jundred forty persons with a mean age 22.5(range 21-24) and were taken impression of by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sion material(Alginate). On the study model made by dental stone, each individual tray was made and final impresion was taken by border moilding. On final model measurings were performed with 3-dimensional measuring device and the values were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is following : ABOUT THE MEASURED VALUES. 1. The width between maxillary right and left canine cusp tip was average 36.44mm(s.d. 2.48), man 36.67mm, woman 35.83mm(p<0.05). 2. The width between labial height of contour of maxillary right and left canine was average 40.08mm(s.d. 2.42), man 40.29mm, woman 39.52mm(p<0.05). 3. The width between mesio-lingual cusps of maxillary first molar was average 43.14mm(s.d. 3.33), man 43.56mm, woman 42.05mm(p<0.05). 4. The width between buccal alveolar ridge on axis of mesiolingual cusp of right and left maxillary first molar was average 64.89mm(s.d. 3.88), man 65.58mm, woman 62.92mm(p<0.05). 5. The width between buccal alveolar ridge on axis of mesiolingual cusp of right and left maxillary second molar was average 68.58mm(s.d. 3.91), man 69.29mm, woman 66.30mm (p<0.05). 6. The width between right and left hamular notch was average 49.80mm(s.d. 3.96), man 50.70mm, woman 48.20mm(p<0.05). 7. The length from labial heigth of contour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center of incisive papilla was average 9.52mm(s.d. 1.18), man 9.46mm, woman 9.63mm(p>0.05). 8. The length from labial heigth of contour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palatine fovea was average 53.27mm(s.d. 2.93), man 53.93mm, woman 52.08mm(p<0.05). 9. The center of incisive papilla ws located posterior to intercanine line at 0.40mm(s.d. 1.16), man 0.51mm, woman 0.11mm(p<0.05). 10. The height from incisal edg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to the labial vestibule was average 21.84mm(s.d. 1.38), man 22.01mm, woman 21.00mm(p<0.05). 11. The height from mesiolingual cusp of maxillary first molar to buccalvestible was average 17.45mm(s.d. 1.42), man 17.56mm, woman 17.08mm(p>0.05). 12. The height from hamular notch to standard occlusal plane was average 6.84mm(s.d. 1.06), man 6.91mm, woman 6.70mm(p>0.05). 13. The height from the deepest point of palatal vault to standard occlsalplane was average 19.95 mm(s.d. 2.03), man 20.19mm, woman 19.12mm(p<0.05). ABOUT THE ARCH FORM 1. The arch form was able to classify into four typr by the rate of the measured values. Each arch form distribution was that the 1 group had 32.46% the 2 group 2.19%, the 3 group 52.83%, the 4 group 12.72%. The sexual composition was that in 1 group man had 73.5%, woman 26.5%, in 2 group man had 40.0%, woman 60.0%, in 3 group man had 83.3%, woman 16.7%, and in 4 group man had 55.17%, woman 44.83%. 2. When canine cusp tip was marked as point O, the intersection point between labial height of contour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intermaxillary suture as point A, height of contour of maxillary second molar buccal alveolar ridge as B point, ${\angle}$AOB was measured $133.8^{\circ}$for the 1 group, $133.0^{\circ}$for the 2 group, $132.3^{\circ}$for the 3 group, $128.9^{\circ}$for the 4 group.

  • PDF

Nolla 방법을 이용한 영구치의 발육 연령 평가 (Evaluation of the Developmental Age of Permanent Teeth by the Nolla Method)

  • 신민경;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Nolla 방법에 근거하여 소아 청소년에서 나이와 성별에 따른 영구치의 평균 발육 연령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 내원하여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한 어린이 중 4세에서 15세의 남녀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1,200명의 파노라마 사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3명의 잘 훈련된 조사자가 Nolla 방법에 의하여 상, 하악 영구치의 발육 단계를 평가하였다. 조사자 간 신뢰도(ICC,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는 0.973으로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발육 연령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치관이 완성되는 Nolla 6단계는 남아에서는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까지 각각 5.4, 6.4, 6.7, 7.5, 7.8, 4.6, 8.1세에서 나타났고, 하악에서는 4.8, 5.1, 6.0, 6.5, 7.2, 4.5, 8.0세에서 나타났다. 여아에서는 상악에서 5.3, 6.0, 6.3, 7.3, 7.7, 4.8, 8.1세, 하악에서는 4.8, 5.1, 5.9, 6.5, 7.2, 5.0, 7.9세에 치관이 완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의 영구치의 평균 발육 연령을 평가하였다. 성장 중인 환자의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