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consciousnes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7초

환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프로이트와 클라인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 Study on the Phantasy Freud and Klein)

  • 박선영
    • 감성과학
    • /
    • 제8권2호
    • /
    • pp.137-153
    • /
    • 2005
  • 환상은 인간의 정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메타심리학 임상 개념으로 심리내적 구조와 외적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심리적 현실이다. 환상은 무의식적 소망충족이 이루어지는 장이면서 사디즘과 불안의 도피처, 그리고 증상이 형성되는 심리적 공간이다. 욕망의 구조화과정에서 환상은 욕망의 재현과 충동의 표상물이다. 본 논문은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내적 세계에 들어가기 위한 필연적 관문인 환상의 정신분석적 의미와 메커니즘에 대한 멜라니 클라인의 정신분석이론을 제시하며 이를 프로이트와 비교 분석한다.

  • PDF

호텔 객실 디자인에 내재된 상징적 표현에 관한 연구 - C.G. Jung의 상징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ymbolic Expressions Immanent in Designs of Hotel Guest Rooms - Based on the Symbolic Theory of C.G. Jung -)

  • 김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8-96
    • /
    • 2009
  • Contemporary hotels adopt distinctive designs in order to symbolize themes of various spaces they consist of. This phenomenon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spiritual values reflected through themes of spaces is emphasized as much as those of basic functions and structures of hotels. Above all, a variety of expression methods pervading throughout spaces of guest rooms consist of thematic spaces, visualization of emotions, as well as mixture of artistic genres, ones that are originated from unconsciousness of symbolic theory of C.G. Jung and widely perceived as variations of archetype. Meanings of symbolic express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various hotels can be defined by attributes of local cultures as well as propensities of mythicism, which feature local pride enlightened by natural environments, the spirit of the times, historical events and other transcendental and fantastic topics. These symbolic expressions are metaphysical forms that are made unconsciously and such symbols are far beyond mer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s which require us profound and mature methods to approach. It is pleasing to know that we are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progresses are being made to better understand minds and metal states of human beings. Given such a circumstantial advantage, researches on meanings of symbolic expressions should not be limited to only those of hotel designs, but also those of religious architectures and museums in which spiritual values are emphasized throughout designs of the spaces they consist of.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의한 영화 속 꿈 표현의 비교 연구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와 "인셉션 (2012)"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arison about dream sequence in film based on Freud's Psychoanalysis (Focusing on the film "Mulholland Drive(2001)"and "Inception(2012)"))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37-444
    • /
    • 2017
  • 꿈속의 세계를 독특한 시공간으로 묘사하며 꿈의 표현에 새로운 장을 연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인셉션(2012)"은 현실과 꿈 사이에서 환영에 빠져 있는 몽환적인 무의식의 세계를 잘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비현실적인 구조와 형태라는 실제적인 꿈의 모습과 본질에 대해서는 표현에 있어 한계와 모순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꿈의 실제적인 프레젠테이션 과정의 표현에 있어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에 보다 가까운 데이빗 린치 감독의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프로이드가 언급한 꿈에 대한 해석과 맥락을 분석하려 한다. 영화 "인셉션"은 공상과학 영화의 관점에서 창조된 시공간과 풍부한 상상력은 높이 평가될 수 있으나 실제 꿈의 본질을 적용시킨다는 관점에서 논리적 개연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반면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는 비논리적이고 혼란스럽고 불유쾌한 무의식의 느낌에 대해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인 꿈의 해석에 입각한 논리와 질서를 부여해서 무의식의 사고과정과 흡사한 관점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의 관점에 입각한 꿈과 무의식의 묘사를 통해서만 꿈의 보다 더 리얼한 장면묘사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트라우마의 개성화와 치유를 위한 미디어 테라피 가능성 연구 융(Jung)의 집단 무의식과 개성화 사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dia Therapy Experience for Individuation and Treatment of Social Trauma Focusing on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ndividuation)

  • 유숙;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0권
    • /
    • pp.167-19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로 인한 사회적 트라우마 현상을 분석하고,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융의 집단 무의식과 원형, 개성화의 개념을 적용했고,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 심리상담 전문가, 일반인 자원봉사자와 일대일 심층인터뷰 및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일차적/이차적 피해 경험에 따라 고립감, 불안 등 각기 다른 형태의 사회적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나, 공동체로서 사회적 트라우마를 함께 극복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죽음과 삶, 애도와 기억 등의 원형이 표출되고 있었다는 점, 또한 테라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원형들의 상징이 포착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테라피 프로그램은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공예 활동의 테라피 효과가 높다는 점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성화를 통한 치유와 미디어 테라피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궐증(厥證)의 병인병기(病因病機) 및 치방(治方)에 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내경(內經)과 상한론(傷寒論)에 대(對)한 역대의가(歷代醫家)의 견해(見解) 차이(差異)를 중심(中心)으로- (The study of Literature Review on the pathological mechanism and Therapeutic methods of sudden coma -Focused on Different opinion of successive dynastic medical group in HwangJeNaeKyung and SangHanRon-)

  • 유형천;곽정진;최창원;이강녕;이영수;김희철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7-90
    • /
    • 2003
  • The result of Bibliographic studies on the pathological mechanism of the sudden coma, we got the conclusion like this. 1. The sudden coma is an acute syndrome that refers to be a sudden fainting, an unconsciousness, an aphasia or a cold clammy limb, and immediately awakes or dies, and awakes in a short time, and if we awake, it doesn't leave over and above a sequela. 2.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the sudden com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1st is a disease raising the sudden death due to unconsciousness accompanied by wry mouth & sudden syncope with coma. The 2nd is simply the state of cold limbs. The 3rd is the meaning of the physique and symptomes of the six meridians. The last is the ancient method of expression in contrast of the beriberi. 3. The pathological mechanism of the sudden coma consists of the toxoid from outside, Qi and Xie, fatigue, damp phegm, the damage from seven emotions and the damage from five mental elements, especially the mental disorder due to the angry energy, causes the problems when the fleming-up of liver fire and the depressed of liver qi raise the physiological disorder. 4. Therapeutic methods of sudden coma are soothing the liver and remove stasis, soothing depression and circulating of the qi, calming the liver and suppressing yang. When that is early stage, at first, we must checking upward adverse flow of the qi after promoting the circulation of qi and awakening, and then, we must regulate excessive deficiency of yin yang by therapy that is based on differentiated in symptoms according to heat & cold, deficiency & excess, and use invigorating herb medicine for supporting vigour.

  • PDF

콘 사토시 작품에서 나타나는 양면성을 지닌 캐릭터의 페르소나 연구 - <퍼펙트 블루>, <망상대리인>, <파프리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ersona of Double-sided Characters Shown in Satoshi Kon's Works)

  • 추혜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181-208
    • /
    • 2014
  • 콘 사토시는 양면성이란 모티브에 초점을 맞춰 인간의 근본적인 자아 정체성을 다루며 존재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는 대표적인 애니메이션감독이다. 본 연구는 그의 작품 속의 자아와 또 다른 자아의 결합 방식에 따라 캐릭터의 페르소나, 즉 인격의 가면이 어떻게 드러나며 자기실현을 이루어 나가는지 그 유형을 융의 분석 심리학적 견해를 토대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간의 가장 외적 인격을 의미하는 페르소나는 자신이 속한 사회 속에서 타인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적 행위와 연결된다. 사회적 요구가 많아질수록 개인은 여러 가지 인격의 가면을 쓰고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이처럼 페르소나는 외부와 중요한 관계기능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데, 집단의 요구에 지나치게 순응하여 인격의 가면에만 몰입할 경우 의식과 무의식 간의 불균형을 야기하여 개인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페르소나가 항상 부정적인 요인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원활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하게 발달된 페르소나는 내면의 무의식과 외면의 의식 사이에 균형을 이뤄 건강한 자아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의식과 무의식의 상관관계와 결합 유형에 따라 작품 속 캐릭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캐릭터의 내면에 숨어있는 가면의 욕망이 어떻게 표면화되어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차용한 심리학적 관점의 분석 방식이 다양한 캐릭터 연구에 유용한 이론적 틀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을 통해 본 작가의 심리분석 (A Depth Analysis of Frida Kahlo in Her Self-Portraits)

  • 박효인;신혜순
    • 심성연구
    • /
    • 제26권1호
    • /
    • pp.1-35
    • /
    • 2011
  • 프리다칼로는 그녀의 생애에서 143개의 작품을 남겼는데 그 중 55개가 자화상이다. 그녀는 자신의 삶에서 많은 시간을 그림을 그리는 것에 몰두하였고, 자신을 그림에 넣어서 표현하였다. 작가의 예술과 창조적 작품은 작가의 무의식의 표현 과정이다. 일련의 작품들은 그의 개인 무의식적 내용을 표현하지만, 어떤것들은 집단적 그리고 원형적 무의식이 표출된다. 이러한 작품들은 그들의 마음에 일련의 인상적인 이미지를 주며, 아직 알지 못한 정동에 충격적으로 자극한다. 예술가는 이러한 과정에서 자신의 작품과 스스로 대화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상징적 이미지는 예술가의 의식과 조화를 추구한다. 이 연구는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프리다 칼로의 사실적인 자화상 네 개를 해석함으로서 그녀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검토하였다. 이 네 개의 작품은 그녀의 삶에서 가장 절박한 순간에 표출된 것들이다. 우리는 이 작품들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 그녀의 자화상은 그녀의 개인적인 삶과 개인무의식 뿐만 아니라 집단적 무의식의 요소들이 포함되어있다. 2) 그녀는 자신의 충격적인 변환의 사건들을 자화상에 표현함으로서 심리적치유를 경험하였다. 3) 그녀의 자화상들은 그녀가 격은 창조적 변환과정의 표현이다.

시간과 공간의 관념론적 접근을 통한 초현실주의적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urrealistic Design by Apporaches to Spatiotemporal Idealism)

  • 김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46-53
    • /
    • 2004
  • This study has importance of that it verifies applica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of surrealism to spatial design. Transcendental cognitive form of idealism, concept of time and space are premise of reality and surreality is finally condensed to the matter of time and space. Surrealistic techniques are automatic description, double association, montage and etc, and all of them are trials to approach to essence of images expressing unconsciousness through spatiotemporal changes of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urrealistic methods that can be applied to spatial design.

정신분석에 기반한 Cognitive Mental Algorithm: 차세대 지능로봇의 Mental Model 설계를 위한 이론적 배경 (A Cognitive Mental Algorithm based on Psychoanalysis Theory: Theoretical study for design the mental model of a next intelligent robot)

  • 박경숙;권동수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9-20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study for making intelligent robots with human-like mind. For the development of a cognitive mental model, we developed three algorithms based on the cognitive process for human psychoanalysi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id, ego and superego from the theory of Sigmund Freud was adopted and the procedural algorithms were presented.

  • PDF

접지시스템에서 지층구조의 변화에 대한 최대 허용전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aximum Tolerable Voltage about Earth-Layer Structure in the Grounding System)

  • 심건보;김경철;이형수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4-259
    • /
    • 2007
  • During the ground fault conditions, the flow of current to earth will produce potential gradients within and arround a substation. The common physiological effects of electric current on the body, stated in order of increasing current magnitude, are threshold perception, muscular contraction, unconsciousness, fabrillation of the heart. In this study, determined the tolerable voltage about earth-layered structure in the ground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