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conscious desir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남성 패션에 표현된 다중 문화 (Multi-Culture in Men's Fashion)

  • 이민선
    • 복식
    • /
    • 제51권7호
    • /
    • pp.21-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f multi-culture and to examine how multi-culture has been reflected in men's fash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ry research was under taken to study psychoanalytical and socioeconomic contexts in which multi-culture in men's fashion has been formed. In addition, demonstrative studies on styles were undertaken through the analysis of pictures and photos. The historical range of this study is from the 19th century when western and modern original form of men's dress were visualized, to the year 2001 when the elements of multi-culture are expressed in men's fashion. Westerners in 19th century respected Greek fine arts and the desire for realistic restoration of the body of Greek hero is well reflected in men's suits. Other races were forced to believe such realistic depiction of the Greek body as a symbol of modernization.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late 20th century, absolute power had been decentralized, and people in the third world have revealed the racial contradictions by realizing the concept of splitted subject existing In unconscious. In the post-colonial world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value of diverse cultures is admitted. Models come from various races in fine art or photographic work Fashion trends are no longer limited to dominant mode, and designers express multi-culture by adopting and renewing folk elements from all over the world.

  • PDF

삼재(三才)와 사상(四象)의 결합을 통한 심리(心理)에의 운용에 대한 연구 (Study on Operating Psychology through Combining Samjae and Sasang)

  • 송시원;강정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102-1110
    • /
    • 2006
  • Sambyun(三變) is standard classification for nine palace. Through sambyun you can define new meaning of 'self' in three perspective ways. First 'self' could mean desire, emotion and memory which are ontological values. second, 'self' could mean id, ego, and superego which are practical values. Third 'self' could mean unconscious, preconscious and conscious which are epistemological values. Samjae(三才) is method that analyze things base on common features. Sa sang is method that analyze things base on difference. They both are device that searching for reason. If you put one's mind in center to observe the universe creativity of great absolute and symmetry distinction of yingyang produces jeung(情), supreme intelligence(神), and soul(魂魄). With these facts identity of the heaven(天), earth(地) and man(人) which is named samjae(三才) generates symbols of independent sasang(四象). And also, sasang generates relations between five element(五行), six energy(六氣). From ten shen(十神) relation comes seven feelings(七情) of man which creates a category of the eight trigrams(八卦) for divination and unification of nine palace(九宮). All these process are united.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와 그 문제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Lacanian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53-82
    • /
    • 2014
  • 본 글은 라캉의 주체 개념 및 이것의 연장인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의들에 내포된 문제들을 비판한다. 라캉이 제공하는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가 이론화하고 개념화한 저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용어들, 즉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의 관계성,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구분, 남근과 기표의 의미, 타자와 욕망, 의식과 무의식, 소외와 분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용어들의 사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제 2장에서 상상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상징계와 자아 이상 사이의 관계를 논구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차이와 유사를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 4장에서 타자, 욕망 그리고 무의식적 주체 사이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제 5장에서는 라캉이 말하는 남근과 기표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제 6-7장에서는 상기의 분석들을 토대로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주체 이론 및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이론의 전체적 의의 및 그 한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물론 결론의 장에서 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전체적으로 비판하기 이전에 각 장들의 말미에서 그 장의 핵심적인 관념들을 비판하는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최종 결론은 이것이다. 라캉과 라캉 학파의 성차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최소한의 객관적인 의미라도 가지려고 한다면, 그것들은 궁극적으로 해부학적 차이에 근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Rhizomatic Escape by Deleuze and Guattari - Song Hayoung With a focus on paintings and objet works -)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25-330
    • /
    • 2021
  •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

<판의 미로>에 나타난 환상성과 미궁의 모티프 (The Fantastic and Labyrinth Motif in Pan's Labyrinth)

  • 노시훈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135-158
    • /
    • 2019
  • 본고의 목적은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2006)를 환상영화로 평가하게 해주는 특성과 그것에 밀접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 미궁의 모티프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츠베탕 토도로프는 '환상적인 것'을 현실에 침입한 초자연적인 사건에 직면하여 자연적 해석과 초자연적 해석 사이에서 겪는 망설임이라고 정의하였는데, <판의 미로>는 그 망설임이 사라져 환상적인 것이 '기이'장르나 '경이'장르로 들어가도록 하지 않고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는 환상성이 계속해서 잘 드러난다. 이때 미궁은 환상계로 들어가는 통로이자 그것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예술을 상징한다. 로즈메리 잭슨은 환상이 "문화적 속박으로부터 비롯된 결핍을 보상하려고 하는 욕망의 문학"이어서 무의식적 제재들을 반복적으로 다룬다고 보았는데, 델 토로의 영화는 환상 세계에서 가족 로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망의 표현으로서의 환상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때 미궁은 욕망의 장소로서 마음을 상징한다. 캐스린 흄은 환상이 미메시스와 같이 현실에 대한 반응이자 '일치된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 영화는 '비전'장르로서 '대조'의 방법을 통해 환상계가 현실계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그 정의를 충족시키고 그것이 가진 환상성을 돋보이게 한다. 이때 미궁은 현실계의 거울로서 세계를 상징한다. 이처럼 <판의 미로>는 환상적인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환상영화를 대표할 만하며, 이 영화에 나타난 미궁은 예술, 세계, 마음의 세 가지를 모두 상징하여 의미가 충만한 모티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본고의 의의는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한 모티프가 특정 장르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조명한 데 있다.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의 무의식을 통해 바라본 자아성장에 대한 연구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코렐라인>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Leading Character's Unconsciousness-oriented Self-growth in Animations - Focusing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and -)

  • 정민영;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7호
    • /
    • pp.287-306
    • /
    • 2014
  • 사람의 마음에는 본인이 알고 있는 '의식 있는 부분'과, 분명하게 의식되지 않은 부분, 즉 '무의식의 부분'이 있다. 자아란 의식과 무의식 모두를 지칭한다. 자아의 성장이란 무의식이 지닌 잠재된 욕구와 저항들을 본인 스스로 올바로 마주하며, 의식과 함께 조화로운 균형과 통합을 유지하는 능력이다. 그런 면에서 캐릭터의 무의식에 대한 탐구는 내적심리를 통한 원래의 자아의 모습을 조망하고 변화와 성장하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다. 비교 분석 대상인 두 작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코렐라인>에서 주인공과 관련된 내외적 요소들은 상당부분 유사하다. 평소 부모의 영향력 안에 머물던 두 소녀 주인공은 부모의 갑작스런 사라짐과 함께 새롭고 낯선 환경을 맞게 된다. 둘은 모두 그 곳에서의 모순되고 불합리한 상황들에 저항하며 모든 것을 다시 제자리로 되돌리고자 험난한 모험을 수행한다. 흥미롭게도 두 인물은 유사한 무의식적 특징을 하고 있지만, 인물이 겪게 되는 여정과 자세, 내적자아의 변화는 서로 다른 경로를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두 주인공이 지니는 무의식의 구체적 근원과 행동요소들의 분석과 역할, 그리고 작품전체에 미치는 영향들에 대한 비교분석연구이다. 그 결과는 캐릭터 구축에 필요한 요소로 적용되며, 캐릭터의 무의식적 심리에 가장 잘 부합하는 상황과 사건을 연계하여 이야기의 개연성과 설득력을 높일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하게 된다.

세기말 서양복식에 표현된 Deforma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formation Dipicted on Western Costumes of the Late 20th Century)

  • 이효진
    • 복식
    • /
    • 제50권3호
    • /
    • pp.13-3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d the types of Deformation dipicted on the late 1990s western costumes. The late 20th century cultural experience or lifestyle is interpreted with 'popular culture' ,popular culture is described as cultural phenomenon in postmodern condition.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may no longer be strictly 'working-class' as the idealistic purists of political formalism would like to , but does emerge from subordinate cultures, from the inventive edges of the consensus, and from the previously ignored and suppressed. It gestured through a widening democratization of styles, sounds and images, to an important remarking , to new possibilities , new perpectives, new projects. The growing importance of popular culture as a source for change of expression in the art, expecially new desire and will of artists has been caused lots of ' Deformation' in their works. Deformation, doesn't mean to represent object faithfully as it were seen through the artist's eyes. In a sense it implies that artists deform it with conscious or unconscious form. So in this study , the phenomenon of the postmodern western costumes is to describe ' formative language' called 'Deformation.' and it is classified three types, that is, 'Deformation of human-body image.' , Deformation of silhouette.' 'Deformation of detail.'. First , Deformation of human-body image is represented by deconstructive , subversive image in western costumes, a lot of costumes types of deconstruction have been shown by fashion designers are emphasized empathy with Deformation of human-body image. Second, Deformation of silhouette is also represented subversion of traditional manner and ultiity, underwear and outwear structure and ugly image. parody image of postumodernism , and so on. Above all, the late 1990s western costumes with Deformation of silhouette was an infinitely larger and more complex world than it appeared from outside and has expressed as a rejection against the values which traditional aesthetic concept had pursued, And parody through the change of internal meaning is to bring about parodox, irony, contempt, satire , unexpectedness by applying the original to inapproporate subject through its substition, inversion. Third, Deformation of detail is represented overdecoration, exaggerative distortion of for , overlapping and fetish image, parody image, kitsch image, and so on , Once fetish achieve a certain' style factor' among trendsettler, they are picked up by internationally famous fashion designers, The characteristics of kitsch are overdecoration , unfitness , imitation , used western costumes.

  • PDF

윌리엄 포크너의 『성역: 오리지널 텍스트』: 매트릭스의 역할 (William Faulkner's Sanctuary: The Original Text as a Matrix)

  • 정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33-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윌리엄 포크너의 "성역: 오리지널 텍스트"가 개작되어 발표된 "성역"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이 작품이 개작되고 버려진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독립적인 별개의 작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의 실험적 작품 활동이 활발하던 시기에 집필된 이 작품은 그 시기와 이후의 작품들의 주제와 인물 창작의 면에서 기반(matrix)의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잊혀져왔다. 이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초기 작품들의 인물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과 작품들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주제의 틀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 자체로도 진지한 작업의 결과물이며 그가 구상한 요크나파토파 카운티의 첫 구상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호러스 벤보우의 어린 시절을 중심사건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 찾아서 이 작품이 가지는 중요성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1920년대에 작가로서의 입문과정을 거치면서 작가는 혼돈된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삶과 인간 군상을 만들어갈 때 작가에게는 하나의 프로토콜이 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며 호러스가 지닌 인간의 약점이 ?틴과 다알과 젊은 베이야드 사토리스 등의 인물을 창조해나가는 원형이 되었다고 본다.

존 버닝햄 그림책 『셜리야, 물가에 가지 마!』, 『셜리야, 목욕은 이제 그만!』 의 상상적 함의: Bakhtin의 카니발 개념을 이용한 해석 (Imaginative Implication of John Burningham Picturebooks 『Come Away from The Water, Shirley』 and 『Time to Get Out of The Bath, Shirley』 : An Interpretation using Bakhtin's Conception of Carnival)

  • 정유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551-55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존 버닝햄의 그림책 2권(『셜리야, 물가에 가지 마!』, 『셜리야, 목욕은 이제 그만!』)을 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 중 카니발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서는 주인공 '셜리'의 일탈에 대한 무의식적인 소망이 기상천외한 상상세계에서의 모험으로 전환되어 웃음이 곁들여진 축제와 같은 사건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림책을 통해서 유아들은 현실에서 금지된 행동을 상상세계에서의 사건으로 전환 시켜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만족한다. 이러한 간접 경험은 유아가 현실에서의 불만을 자연스럽게 해소하면서 자기만의 독창적인 내적 발달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가정이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다양한 그림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그들의 성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도 또한 시사하고 있다.

한국 천주교 '연도(煉禱)'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n 'Yeondo', a Prayer for Souls in Purgatory of Korean Catholic Church)

  • 여춘자
    • 심성연구
    • /
    • 제31권1호
    • /
    • pp.1-40
    • /
    • 2016
  • 한국 천주교회에는 '연도(煉禱)'라고 하는 연옥 영혼들을 위한 독특한 방식의 위령기도가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신 안에서의 영적 변환과정'을 위한 '정신적 용기(psychic container)'로서의 '연도의례'가 담고 있는 상징성을 분석 심리학적 관점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연도의례는 또한 지옥도 천국도 아닌 '중간상태'에 있는 연옥 영혼을 위한 사후 심판의 '통과의례(rites of passage)'로서 산 자인 상주와 죽은 자인 망자(亡者)가 함께 통과의례의 구조인 분리(separation), 전이(transition), 통합(incorporation)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특히 중간상태인 전이단계에서 상주와 망혼이 특별한 연대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연도의례에서는 죽음을 삶의 끝이 아닌 '영원한 생명'의 시작이라는 재생적 사건으로 바라보며, 연도의례의 상징적 과정은 죽음의 혼돈과 정화와 재생을 통한 낙원회복의 영적변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죽음과 부활에 의한 영적인 재생과정은 집단적 무의식과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회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산 자가 죽은 자를 위해 하느님의 은총과 이미 낙원에 들어가 있는 성인들의 도움을 얻기 위해 기도를 한다는 것은, 무의식의 인식과 통합 즉 자기실현은 의식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의식의 수준을 넘어서기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은총에 힘을 입은 연옥영혼이 구체적인 정화과정을 경험하면서, 하느님의 세계와 통교할 수 있는 초인적인 능력을 얻고 하느님과 합일의 경지에 이르러 낙원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정화과정과 중심화를 통한 자기 인식의 길에 도달한 내적 인간, 즉 변환된 인격이 되는 자기실현을 의미한다 하겠다. 입문의례로서의 연도의례는 죽은 자와 산 자의 숙고를 위한 목적성을 지닌 개성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산 자들이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연도를 바치는 의미는 전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