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ntastic and Labyrinth Motif in Pan's Labyrinth

<판의 미로>에 나타난 환상성과 미궁의 모티프

  • 노시훈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10.18
  • Accepted : 2019.11.1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that make Guillermo del Toro's film Pan's Labyrinth (2006) a fantasy film, 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labyrinth motifs closely related to it. Tzvetan Todorov defined the 'fantastic' as the hesitation between natural and supernatural interpretations in the face of supernatural events that invade reality. In Pan's Labyrinth, the fantastic continues to be seen, because the film does not allow the hesitation to disappear; thus, the fantastic does not enter the 'uncanny' genre or 'marvelous' genre, and because it keeps its fantastic state. In this case, the labyrinth symbolizes art as a passage into the fantastic world and a space that represents it. Rosemary Jackson saw the fantasy as a "literature of desire to compensate for a lack resulting from cultural constraints" and thus repeatedly dealing with unconscious materials. Del Toro's film shows the character of the fantastic as an expression of desire by allowing 'family romance' to take place in the fantastic world. In this case, the labyrinth symbolizes the mind as a place of desire. Kathryn Hume defined fantasy as a reaction to reality, like mimesis, and 'departure from consensus reality.' The film, operating in a 'vision' genre, satisfies its definition by allowing the fantastic world to illuminate the reality world through 'contrastive' technique, and brings out the fantastic it has. In this case, the labyrinth symbolizes the world as a mirror of the world of reality. Thus, Pan's Labyrinth is representative of fantastic film in that the fantastic functions very effectively, and the labyrinth appearing in this film can be evaluated as a motif that is full of meaning by symbolizing all three elements of art, world and min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how a motif works in a particular genre through the above considerations.

본고의 목적은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2006)를 환상영화로 평가하게 해주는 특성과 그것에 밀접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 미궁의 모티프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츠베탕 토도로프는 '환상적인 것'을 현실에 침입한 초자연적인 사건에 직면하여 자연적 해석과 초자연적 해석 사이에서 겪는 망설임이라고 정의하였는데, <판의 미로>는 그 망설임이 사라져 환상적인 것이 '기이'장르나 '경이'장르로 들어가도록 하지 않고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는 환상성이 계속해서 잘 드러난다. 이때 미궁은 환상계로 들어가는 통로이자 그것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예술을 상징한다. 로즈메리 잭슨은 환상이 "문화적 속박으로부터 비롯된 결핍을 보상하려고 하는 욕망의 문학"이어서 무의식적 제재들을 반복적으로 다룬다고 보았는데, 델 토로의 영화는 환상 세계에서 가족 로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망의 표현으로서의 환상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때 미궁은 욕망의 장소로서 마음을 상징한다. 캐스린 흄은 환상이 미메시스와 같이 현실에 대한 반응이자 '일치된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 영화는 '비전'장르로서 '대조'의 방법을 통해 환상계가 현실계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그 정의를 충족시키고 그것이 가진 환상성을 돋보이게 한다. 이때 미궁은 현실계의 거울로서 세계를 상징한다. 이처럼 <판의 미로>는 환상적인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환상영화를 대표할 만하며, 이 영화에 나타난 미궁은 예술, 세계, 마음의 세 가지를 모두 상징하여 의미가 충만한 모티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본고의 의의는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한 모티프가 특정 장르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조명한 데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