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ity service Mode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5초

시민친화형 U-City 서비스 표준 및 수요 조사 (Citizen-friendly U-City Service Model and Demand Research)

  • 조용준;안승주;장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06-414
    • /
    • 2010
  • 효율적인 국토관리 및 국가산업 육성, 이를 통한 대시민 서비스를 강화하고자 U-City 구현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U-City 구현을 위한 인프라 및 요소기술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서비스, 공간 등에 대한 연구와 상호 호환 및 연동에 대한 기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도시민의 수요와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서비스 제공과 개념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비스가 중복개발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항목 및 우선순위를 제안함으로써 서비스 도입시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결과의 타당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u-City사업의 최적 u-서비스군 선정을 위한 가치평가모형 (u-SEM) 개발 (Developing u-Servi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Optimal u-Service Group of u-City Project)

  • 변완희;조현우;이용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3-164
    • /
    • 2007
  • 현재 국내에서는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u-City를 도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활발하게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도시의 목표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도출을 위한 선정방법이 미흡하여, 한정된 예산과 도시 전 분야에 걸친 과다한 서비스,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한 사업비용과 시간지연, 낮은 서비스 수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u-서비스군 선정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제안한 u-서비스군 선정방법론은 법 제도나 기술제약의 엄격한 적용과 다양한 변수를 통해 서비스군의 가치를 산출하였고, 서비스군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최적의 서비스군을 선정할 수 있는 가치평가모형(u-SEM)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본 모형은 사업추진상의 복잡도로 나타나는 비우호적이고 영향력이 높은 이해관계자의 수를 가치평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포함하였고, 궁극적으로 복수의 u-서비스군 대안을 경제효과, 복잡성, 구축비용 등으로 종합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한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 Management System via Personal Communication)

  • 문태균;장성봉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331-335
    • /
    • 2008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u-City and u-City services have been actively pursued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 bod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Health service, one of the services of u-City, by studying u-Health services in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and by analyzing and proposing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required to provide such services. Mainly,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current trend in personal mobile device based u-Health servic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propose a new type of u-Health service, u-Diet service. The study will introduce the architecture, service scenario, technologies, characteristics, and the business model for the u-Diet servi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new u-Health services.

  • PDF

건설분야에 적용가능한 IT 서비스 모델 구축방안 연구 - 빌딩시설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T Service Model for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Construction Field - Focused on the building facility -)

  • 이우식;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123-131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IT기술을 건술 분야와 융합하여 얻을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 산업에 첨단 IT기술을 선택적으로 융합시켜 건설산업을 단순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생산성 제고는 물론 새로운 시장 창출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건설과 IT기술이 융합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분야는 최근 국내외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U-City 산업분야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건설 산업 또는 U-City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각종 IT기술에 대한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향후 건설 분야에서 유망한 IT기술에 대하여 수요자 요구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U-City산업과 IT산업에 대한 환경과 전망분석을 통해 이를 융합한 U-City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이용한 부산시 U-City 계획의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of U-City Planning in Busan using System Dynamics Model)

  • 김병선;신동빈;김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5-6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시공간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System Dynamics Model)을 구현하고, SD 모형을 기반으로 부산시 U-City 계획에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올바른 U-City계획 수립의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U-City 이슈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전연구와의 차별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도시의 시계열적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SD 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U-City 계획측면에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인 U-City 계획의 정책방향으로 U-City 기술과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제시 필요성, 구도시와 신도시를 연계 통합할 수 있는 U-City 모델 구축과 사회 및 인구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U-City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을 들 수 있다.

u-City 통합운영플랫폼의 서비스 기능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of Service Function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of the u-City)

  • 강준묵;백송훈;김남규;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7-484
    • /
    • 2009
  • u-City 운영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통합운영플랫폼은 유무선 통신망, 센서망을 연결하여 각종 센서 및 장치들을 수용하고, 다양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며, 각종 인프라 요소들을 지능적으로 관제 운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u-City에서 통합운영플랫폼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들을 공통응용 서비스, 운용관리 서비스 및 플랫폼 게이트웨이 서비스로 구분하고 각 서비스에 대한 세부 기능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된 세부 기능들은 상호간 정보 흐름 및 역할 정립을 통해 통합운영플랫폼의 서비스 기능을 명확히 할 것이며, 향후 서비스 기능 추가 및 수정에 따른 통합운영플랫폼의 기능 구성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SN 기반의 지상시설물 관리를 위한 추진절차 및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n Business Promotion Procedure and Service Model for Ubiquitous Sensor Network Based Ground Facility Management)

  • 정진석;김의명;이용주;변인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3-442
    • /
    • 2008
  • 본 연구는 도시 지상시설물에 첨단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수행 절차와 방법을 다루고 있다. 최근 들어 정부는 u-City 구축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할 있는 "u-City IT 인프라 가이드 V1.0"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u-City구축 기본골격에 관한 전반적인 추진 절차를 다루고 있어 u-City 기반시설물의 지능화 과정으로 볼 수 있는 대상시설물별 센서 및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을 참고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도시 지상시설물을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USN기반 지상시설물의 세부적인 구축절차와 그에 따른 서비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추진되는 u-City 구축 사업의 수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BIM/GIS 기반 u-City 해외진출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Overseas Expansion Strategy of u-City based on BIM/GIS)

  • 나준엽;이우식;홍창희;황정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19-127
    • /
    • 2012
  • u-City는 첨단 IT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하여 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 보장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키는 차세대 도시이다. 현재 u-City 시장규모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만의 새로운 브랜드화하여 추진할 경우 건설기술과 더불어 공간정보기술, 센서기술, 통신망 구축, 관련 장비산업 등을 복합하여 동반 진출함으로써 막대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City 구축 운영기술 및 관련 서비스, BIM/GIS 연계 활용 등의 측면에서 u-City 건설사업의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해 u-City와 관련된 국내외 시장 및 연구, 요소기술을 분석하고 진출 대상국의 선정 및 유형 분석, u-City 서비스의 패키지화 방안, BIM/GIS 연계 기술의 활용 등 u-City 해외진출 전략을 제시하였다.

KT u-City 방재 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City hazard mitigation services in KT)

  • 이범교;김형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65-368
    • /
    • 2008
  • The concept of "ubiquitous" has become the top issue of the 21st century communications field within the past years. u-City has become the new city paradigm with the convergence of city planning and ubiquitou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Starting from 2004, KT has collaborated with the Korean government to develop comfortable, convenient, pleasant, safe, and healthy IT technology based u-City focusing on; balanced development, value creation,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within the region. Presently the term, "hazard mitigation services" lacks a clear definition due to its varying applications by different local agencies and has caused confusion. Therefore, this report will clarify and define u-City hazard mitigation services currently proposed to the local agencies as well as services currently in effect. Additionally, the report will introduce hazard mitigation service models feasible by KT.

  • PDF

U-City계획 고도화를 위한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 방안 : CCTV 사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Plan of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Enhancing U-City Plans)

  • 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4
    • /
    • 2015
  • 본 연구는 U-City 공간의 고도화된 설계 및 계획 활동 지원을 위해 필수정보인 지능화시설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계획가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레퍼런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레퍼런스 모델의 핵심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계획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 (Comprehensiveness)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련정보의 최신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방대한 지능화 시설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조달청 물품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사례로서 CCTV의 적정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현재로서 U-City계획 패러다임은 IT 기술중심에서 스마트 공간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U-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배치 등에 관한 기준이나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법제도 및 지침의 부재로 인해 지능화시설의 적정 배치 선정과 같은 계획활동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U-City 계획 및 설계자에게 제공 가능한 IT기술 및 지능화 시설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서비스 수준과 예산 등을 고려한 최적 계획 수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달청은 약 26만 건의 산업관련 DB를 기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고 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U-City 산업의 핵심인 지능화시설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처로서 매우 유익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정보가 활용측면에서 내용적으로 다소 부족하고 정보 공개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U-City계획의 고도화 및 조달청 물품정보의 다부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