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of caregiving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부양형태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의 차이 및 영향 변수에 관한 연구 -재가, 주간보호시설, 시설거주 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Differences in the Care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by Type of Caregiving -Focused on Caregivers in Home Stay, Day Care Center, and Nursing Home Situations-)

  • 김윤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8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by type of caregiving using data on three groups of caregivers, 177 from home stay situations, 189 from day care centers, and 138 from nursing homes. First, the result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both caregivers and elders differ by type of caregiving. Second, caregivers in the home stay situation have the highest caregiving burden of the three groups. Third, from examination of the related variables, the caregiving burden of home stay caregivers is affected by family income, caregivers' health, type of job, and whether or not the elder has symptoms of dementia. Also, the study reveals that emotional services for elders reduce the aggravation of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burden, but that instrumental services highly increase economic burden. It reveals that caregivers of elders in day care centers, especially those who are in bad health,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feelings of constriction, aggravation of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burden. On the other hand, caregivers who receive more emotional services have better experiences in family relations, including relations with the elder. In case of the elders of nursing homes, if the main caregiver is a daughter-in-law, aggravation of family relations is higher than if the main caregiver is a spouse. Finally, the caregiver's burden is affected by their own health and income, and by whether the elder has symptoms of dementia or stroke.

  • PDF

부양형태에 따른 신체취약 노인들의 정신건강 (The Type of Elder Care Arrangements and its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 Among Physically Frail Elderly)

  • 최혜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1-90
    • /
    • 2001
  • This study focuses on the type of elder care arrangements and its consequences for mental health among physically frail elderly. Based on data from 410 frail older people, this study reveals the following results: (1) Frail elderly in family caregiving situation shows better mental health in terms of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in self-care or public institutional situation, (2) but this positive effect of family caregiving on mental health, especially depression, among older people is partly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income and marital status among older people in different caregiving situations, (3) the factors which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mental health of older people are income in family caregiving situation, and education in both self-care situation and institution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mily resources in family caregiving situation and of personal resources in self7are or institutional situation.

  • PDF

기혼자녀(아들$\cdot$딸)와 부모간의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Caregiving Behaviors and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 김명자;손서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37-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20 adults, from 30 to 59 years old,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t least one living parent.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including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n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varied with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birth ranking and job for the children-related variables, and age of mother, income level and type of living for the parents-related variables. Second,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varied with the degree of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the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rd, the caregiv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s gend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the motives for caregiving behaviors.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비용분석 (Cost Analysis of Long Term Care Services)

  • 박창제;김수영;주수현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043-106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장기요양보호서비스에 대하여 유형별로 비용측면에서 경제성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적용대상자로 인정받은 65세 이상 노인과 그 부양가족이었고,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서비스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방문요양 155부, 방문간호 67부, 요양시설 108부, 요양병원 92부 총 422부가 본 연구의 분석 표본으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부양 가계의 가계소득이 높지 않았다. 둘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직접 지불하는 금액이 여전히 높은 편이다. 셋째, 부양가계가 노인을 위하여 수발하는 데 소요되는 간접비용이 아주 높은 편이다. 특히 재가서비스인 방문요양의 경우엔 평균 756,947원, 방문간호인 경우 594,807원으로 시설서비스에 비하여 간접비용이 상대적으로 아주 더 높았다. 넷째, 장기요양보호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아주 높다. 이 금액은 본 조사에서 확인한 부양가계의 평균가계소득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섯째,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부양가계가 부담하는 서비스 비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부양가계의 직접 비용에서도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서비스이용비용보다는 그 차이가 작았다. 일곱째, 사회적 직접 비용은 요양보호서비스 유형별로 아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덟째, 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비용금액이 아주 크고 서비스 유형별 총 사회적 비용이 전체 서비스 이용노인의 평균적인 사회적 비용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취업주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 -취업주부의 역할 만족도와 긴장도 및 역할 만족도와 긴장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rking Mothers: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 박주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117-131
    • /
    • 2005
  • In this paper, 1 examined role gratification and role strain of South Korean working mothers. The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n working mothers experienced very similar level of role gratification and role strain as taking their multiple roles. The findings also show that the factors of caregiving demands, employment demands, caregiving resources, employment resources are not strongly related to role gratification and role strain. Among the 12 caregiving demand variables and employment demand variables, number of children, type of family, number of hours worke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ducing role gratification. Among the 12 caregiving demand variables, number of hours worked, number of husbands absence due to night wor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ducing role strain. Among the 8 caregiving resources, participants satisfaction due to income contribution, look to make a purchase new electric home applian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duce role satisfaction. Among the 8 caregiving resources, number of family support policies in the husbands workplace, participants satisfaction due to income contribu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ducing role strain.

성인 신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Adult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Spouse's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 김덕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71-3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신체장애인을 부양하는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 우울,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을 살펴보고, 각 영역들의 상관관계 및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이 배우자의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2016년 7월부터 8월까지 S시와 K도에 소재한 2개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들의 배우자 8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양스트레스 총점은 $71.43{\pm}17.78$점 이었으며, 부양스트레스 하위항목 중 경제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가 다른 항목보다 높았다. 우울총점은 $50.34{\pm}26.41$점으로, 일반 정상 성인들의 평균점수보다 다소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을 살펴본 결과, 연령이 많은 여성의 경우, 부양비에 대한 지출이 많고 부양시간이 많은 경우, 장애인의 연령이 젊고, 병명이 뇌졸중인 경우 부양스트레스와 우울지수가 높았다. 부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장애인의 연령, 장애기간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은 부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우울에는 장애인의 연령, 장애유형 및 등급,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능력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가족들의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경제적, 신체적 혹은 심리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 강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73-97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구시 거주 대학생의 삼세대 동거의식에 관한 연구 (Taegu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ree Generation Coresidence)

  • 강혜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63-17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erd caregiving and three-generation coresidencd of the future family living. In order to use its analysed results as a basic for the housing for the aged in Korea and to improve quality of their liv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321 college students' in Taegu were surveyed and percent. crosstabulations were used to analysis the data. The result showed firstly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os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aregiving to the old parents between sexes. and secondly that they had a potential sense of responsbilty of the eldst son of daughter for caragiving to the parents when considering the order of brothers and sisters. Thirdly the respondents of the female students were far more nagative for three-generation coresidence that that of the male students. Fourthly, there was no relation to the three-generation coresidenct regardless of the family form or the order of brothers and sisters. Fifthly, housing type based on the three-generation coresidence showed that they preferred an independent house with the size of 31-40 pyong. It was also shown that the room for the parents should be arranged in the best position.

  • PDF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on the Will to Be Self-Suffici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김정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1-15
    • /
    • 2021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가족탄력성이 자활의지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강원도 소재 지역자활센터에 참여하고 있는 20~70대 283명이다. 통계분석은 IBM SPSS18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는 Baron & Kenny(1986)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들과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자활의지는 돌봄가족, 가구소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탄력성은 연령대, 결혼상태, 건강상태, 가구유형, 돌봄가족, 주택소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지지는 연령대, 결혼상태, 건강상태, 가구유형, 돌봄가족, 부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돌봄가족이 있을수록, 가족탄력성과 가족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자활의지 수준이 높았다. 셋째,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가족탄력성과 자활의지 관계에서 가족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의지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대안으로 가족탄력성과 가족지지가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종합병원 유료간병인 이용행태에 따른 의료소비자의 만족도 (Consumer Satisfaction with Paid Caregiving in General Hospitals According to Type of Paid Caregiver)

  • 정경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5-38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sent use of caregiver services, to evalu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according to type of caregiver service, private or public, a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lan which will provide good quality service with less economic and psychological burden to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patients in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their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during April, 2004,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patient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Jun (2001).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X^2$ analysis, t-test. The SPSS computer program was used to facilitat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score for satisfaction was high for both groups. For the private caregiver group it was $52.38{\pm}11.08$, and for the public caregiver group, $58.14{\pm}9.64$.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t=-3.391, p=.001). In all of areas, the scores for satisfaction of the public caregiver service group were higher than private caregiver service group, ie. caregivers' attitude, role, confidence, performance, and service charge, and all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long-term hospitalization of older patients with high dependence resulted in more caregiver service. There were more severe patients in the public caregiver group, but the service charges, additional costs and paid holidays were less. Based on these results,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ere significantly more satisfied with public caregiver service because it was not only less expensive but also had a high quality of service. Thus, caregiver services should be systemized so that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ill get the best quality caregiver serv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