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toring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또래교수 담론에서의 집단 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rouping in Peer Tutoring Discourse)

  • 김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81-309
    • /
    • 2015
  • 본 연구는 또래교수 학습법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과정에서 집단별로 수학 성적이 다른 또래학습자의 3개의 집단에서 각 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이 학습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수학 성적 최상(A) 상(B) 중(C) 하(D)위 집단에서 연구 참여자를 각각 한명씩 선정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가장 높은 학생이 또래교수자가 되고, 나머지 3명의 학생들이 또래학습자가 되어 A-B, A-C, A-D의 3개의 집단을 구성하였다. A-B, A-C, A-D의 각 집단별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설명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촬영한 비디오 자료와 사전 사후 활동지를 분석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담론 전사본과 활동지를 열 네개의 문제에 대하여 구조화된 자료를 비교 대조하여 세 집단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교수자에게 또래교수 학습법이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장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또래학습자의 성적 차이가 집단 별로 다를 때 수학적 담론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을 할 때 성적의 차이를 고려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여 또래교수의 집단 구성 방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등학교 수학 교실의 또래교수 설계 및 실행 비교 연구 (Comparing Two Peer Tutoring Method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earch)

  • 조아라;민경찬;임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179-200
    • /
    • 2020
  • 본 연구는 또래 교수(peer teaching) 설계 방식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학교 현장에서 또래 교수 활성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질성이 확보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일대일 비상호적 또래 교수 활동을 실행하는 집단과 일대사 상호적 또래 교수 활동을 실행하는 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에서 6주 동안 또래 교수 활동을 실행하고 사후 학업 성취도 검사, 정의적 영역 검사 및 또래교수 활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한 후 활동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후 다시 6주 동안 각 집단의 또래 교수 활동을 교차하여 진행한 후 두 활동을 비교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교수의 설계 방법의 차이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은 또래 교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으며, 각각의 또래 교수 활동의 설계 방법의 장점들에 대해서는 주목할 만한 인식의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는 또래교수 설계를 통해 기존의 교실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예비영어교사의 영어 학습 지원 튜터링이 북한이탈 대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Tutoring on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of North Korean Refugee College Students)

  • 최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70-779
    • /
    • 2016
  • 이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의 대학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를 분석한 후, 예비영어교사의 튜터링을 통해 영어 능숙도와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튜터링을 시작 전, 100명의 탈북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희망하는 탈북 대학생은 예비 영어교사와 한 학기간 영어 학습 튜터링을 실시하였다. 탈북 학생들의 어려움과 영어 학습 요구는 양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고, 튜터링을 통한 탈북 학생의 영어 능숙도와 정의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탈북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 학습 요구도는 매우 높았다. 또한 한 학기 간의 튜터링을 통해 그들은 시기별로 네 가지의 주된 변화를 보였다. 첫째, 튜터링 시작 초반에는 영어 기초 학습의 부재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둘째, 튜터링 학습을 통해 다소 영어 능숙도가 향상되는 것을 탈북 대학생 스스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영어 능숙도의 향상과 더불어 그들의 정의적 측면(학습 동기와 자신감)이 조금씩 향상되었고, 넷째, 튜터링이 마무리 되는 시점에서 탈북 대학생은 영어 학습의 기초적인 측면(즉, 발음과 기초 문법 등)이 좀 더 향상되었다는 점을 자각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 이탈 대학생을 지원하는 대학 내 영어 프로그램 개발에 교육적 의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er Tutoring Teaching Method in Various Kinds of Groups on High School Students's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 백정은;권혁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87-504
    • /
    • 2007
  •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로 구성된 교실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학습 지도 방안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수업의 도입이 적극 권장되고 있으나 현실적인 많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안적인 학습 지도 방법으로 교사의 지원 감독 하에 학습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을 또래교수자(peer tutor)로 삼아 다른 또래학습자(peer tutee)를 지도하는 또래교수(Peer Tutoring) 지도 방법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정규학급의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교수 지도 방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수학교과목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학습 집단을 삼대일과 일대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삼대일 집단에서의 또래교수 학습이 일대일 학습 집단보다 더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튜터링 학습 영향 요인이 치위생과 학생의 튜터링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아효능감과 주관적 규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tutoring-learn factors on the tutoring-learn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By mediating effects of the academic self-efficiency and subjective norms-)

  • 엄숙;정기옥;윤현경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3-64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utoring and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elf - efficacy and subjective norm are mediating effec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1 students in the first year, 82 students in the second year, 30 students in third year of girls who are majoring in the dental hygiene of a college in north Gyeonsang province Form September 1 to October 15 2017 asked them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retrieved the questionnaire, among the 193 questionnaires except for the inaccurate response, 186 were final analysis. Resul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factors of tutoring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of tutoring learning, the relationship of social interdependence, group intimacy, program usefulness, group commitment, academic self - efficacy, subjective norm, It was found to be relevant.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utoring learning.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tutoring learning satisfaction is mediated by the academic self - efficacy and the subjective norm,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the study application of the new educ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dental hygiene.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 최계현;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423-442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mathematic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11 first graders in on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study lasted for 1 year in regular mathematics classrooms. According to the results, reciprocal peer tutoring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and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Especially, in high and low performing student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ffective factors such as interest,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nxiety after reciprocal peer tutoring. However, average performing stud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ffective factors of interest and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예비 수학교사의 멘·튜터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Men-tutoring Activities of Pre-Service Math Teacher)

  • 허유진;고호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97-221
    • /
    • 2021
  • In this study, a men-tutoring model was applied to fou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that could cultivat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 cases,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on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mentoring applied to mathematics learning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reinforcing prerequisite learning,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rengthening mathematical strategies, and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and maintaining interest. We are looking forward to that men-tutoring can be used effectively for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learning mathematics.

AI-based language tutoring systems with end-to-e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proficiency evaluation

  • Byung Ok Kang;Hyung-Bae Jeon;Yun Kyung Lee
    • ETRI Journal
    • /
    • 제46권1호
    • /
    • pp.48-58
    • /
    • 2024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language tutoring systems for nonnative speakers by leveraging advanced end-to-e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and proficiency evaluation. Given the frequent errors in non-native speech, high-performance spontaneous speech recognition must be applied. Our systems accurately evaluate pronunciation and speaking fluency and provide feedback on errors by relying on precise transcriptions. End-to-end ASR is implemented and enhanced by using diverse non-native speaker speech data for model training. For performance enhancement, we combine semisupervised and transfer learning techniques using labeled and unlabeled speech data. Automatic proficiency evaluation is performed by a model trained to maximize the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fluency score manually determined by a human expert and a calculated fluency score. We developed an English tutoring system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called EBS AI Peng-Talk and a Korean tutoring system for foreigners called KSI Korean AI Tutor. Both systems were deployed by South Korean government agencies.

자기주도형 동료 튜터링을 활용한 컴퓨터 그래픽 수업의 학습 활동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elf-Initiated Learning of Computer Graphics Classes with Peer Tutoring)

  • 박혜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91-19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그래픽스 관련 교과목에 대한 자기주도형 동료 튜터링 방안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그래픽 교과목은 실습 중심의 과목으로서 학생들의 학업능력과 그래픽 관련 학습수준 및 적성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학생들이 학업 능력을 신장 시키고 교과목에 대한 흥미를 높이기 위해 방학기간을 포함한 6개월간의 동료 튜터링 활동을 통해 본 교과수업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튜터링 활동내용을 분석하였고 튜티들로 참여한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튜터링 활동 전보다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하였고 수업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