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Case Study on Grouping in Peer Tutoring Discourse  

Kim, Ga-Hyun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v.18, no.3, 2015 , pp. 281-30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es an implication of further teaching learning process by analyze the common and difference and characteristic of mathematical self-efficiency between three peer tutoring groups discourse in the mathematical teaching leaning process that use peer tutoring. To achieve this goal, three groups formed that consist of one peer tutor who received a first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and one peer student. Peer student of each group is divided into high grade, middle grade, low grade of mathematic achievement. Then analyze the discourse in the exponential function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this paper provides a concrete example of merit of peer tutoring on the peer tutor. Result of study also provides a practical help to make a peer tutoring group by considering a difference of grades between peer tutor and peer student.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mutual discourse on the tutoring group that consist of similar grades.
Keywords
peer tutoring; characteristic of peer tutoring; grouping in peer tutor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현희 (2008). 담론을 통한 수학적 개념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 교육부 (2015). 제 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교육부.
3 김세정 (2013). 또래교수의 집단구성방법이 수학교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4 김연주.나귀수 (2009).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3(2), 141-161.
5 김원경 외 (2014). 고등학교 미적분II. 서울: 비상교육.
6 김윤희.김선유 (2002).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의사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6. 77-96.
7 김창동 외 (2014). 고등학교 미적분II. 서울: (주) 교학사.
8 문옥춘.양성호 (2011).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13(2), 189-207.
9 박만구.김진호 (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
10 박소영 (2009). 또래교수 학습이 또래교수자의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1 백정은 (2007).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487-504.
12 백정은(2008). 집단구성유형에 따른 또래교수가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손영 (2004). 또래교수의 집단구성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4 손영.김성일 (2005). 또래교수 집단구성 방식이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敎育心理硏究, 19(3), 595-613.
15 송은아.강완.백석윤 (2008). 초등 수학 또래교수 활동에 나타난 의사소통 특성 분석. 한국초등교육, 18(2), 35-50.
16 오영열.오태욱 (2009).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3(2), 327-327.
17 윤보경.김수연 (2011). 또래와의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부진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장애연구, 8(1), 65-84.
18 우정호 (1998).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 우정호 외 (2014). 고등학교 미적분II. 서울: 두산동아.
20 유지은 (2010). 단계적 발문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1 이인애 (2013). 또래교수활동의 담론에서 나타난 근접 발달 영역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2 이종희 (2001). 수학적 의사소통의 관점에 따른 수학 수업. 교과교육학연구, 5(2), 69-86.
23 이진희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24 이혜림 (2012). 또래교수에서 나타나는 또래교사의 교수전략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5 정미진.권성룡 (2011).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 13(1), 127-153.
26 정상권 외 (2014). 고등학교 미적분II. 서울: (주) 금성출판사.
27 진선미(2012). 중학교 우수 수업 동영상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발문 형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8 채미애 (2002).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의 효과. 이화교육논총, 12, 213-235.
29 최혜령.백석윤 (2006). 프로젝트형 문제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과 수학적 태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0(1). 43-66.
30 홍금희.최재호 (2011). 담론 중심 수학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59-577.
31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2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the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The Harvard University Press.
33 Sfard, A. (2003). Balancing Unbalanceable: The Standards in Light of Theories of Learning Mathematic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353-392.
34 Sfard. A. (2001). Cognition as Communication :Rethinking Learning-by-talking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ind, cucture, and activity, 8(1), 42-76.   DOI
35 Vygotsky, L. S.(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IT Press.
36 Warger, C. L.(1991). Peer tutoring: When working together is better than working alone. Reserch & Resources on Special Education, 30.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345-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