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onometric approxim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2차원적 음원추적에 관한 연구IV -음원위치의 근사적 결정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2-Dimensional Sound Source Tracking System IV - Mainly on Approximation of the Relative Bearing and Distance -)

  • 문성배;전승환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1-379
    • /
    • 2001
  • We have reported the new measurement system which was substituted digital filter for the analog filter in order to develop the optimal system that could find the time delay between each sensors with high accuracy. And also we have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s that the accuracy of measurements were differentiated by the methods what kind of digital filter had been adopted. This paper suggests two algorithms which approximate the sound source's bearing and distance. One is that sound source's relative bearing can be approximately regarded as the gradient of hyperbolic asymptote, the other is that the source's range can be approximated under the condition of a long range source relative to the sensor's interval. And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the source's distance 22.42meters and the random bearing interval within the limits of $-90^{\circ}$~$+90^{\circ}$. As a result, we have recognized that the approximation methods could measure the bearing and distance with higher accuracy than the method using trigonometric relation could do.

  • PDF

송신 다이버시티를 가진 OFDM 시스템에서 삼각다항식 근사화를 이용한 채널 추정 기법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Channel Estimation using Trigonometric Polynomial Approximation in OFDM Systems with Transmit Diversity)

  • 이상문;최형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3C호
    • /
    • pp.248-256
    • /
    • 2003
  • 시공간 부호(space-time coding)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해 설계된 부호화 방식이다. 이러한 시공간 부호를 이용한 송신 다이버시티의 경우 수신기에서는 각 송신 안테나에 대응되는 채널을 추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공간 부호를 이용하는 OFDM 시스템에서 삼각다항식에 기반한 채널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채널 추정 방법은 주어진 채널의 지연확산에 대해 기존의 방법 보다 계산의 복잡도 면에서 효율적이다 즉, QAM 변조방식의 경우 FFT 크기가 128일 때, 기존의 방법은 significant tap caching으로 J=7을 고려하면 TU, HT, BV 채널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복소곱의 수는 9852로 동일한 반면에 제안한 방법은 TU, HT, BU 채널 각각에 대해 2560, 7680, 3584의 복소곱을 요구한다. 제안한 방법은 최대 지연 확산이 작을수록 BER 성능과 계산의 복잡도의 개선을 동시에 가져온다. 부가적으로 채널의 지연 확산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에 대해 최대 지연 확산 추정을 위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한다. 채널 추정 기법의 성능은 다양한 무선 채널에 대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BER을 통해 분석한다.

APPROXIMATED SEPARATION FORMULA FOR THE HELMHOLTZ EQUATION

  • Lee, Ju-Hyun;Jeong, Nayoung;Kang, Sungkwo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41권2호
    • /
    • pp.403-420
    • /
    • 2019
  • The Helmholtz equation represents acoustic or electromagnetic scattering phenomena. The Method of Lines are known to have many advantages in simulation of forward and inverse scattering problems due to the usage of angle rays and Bessel functions. However, the method does not account for the jump phenomena on obstacle boundary and the approximation includes many high order Bessel functions. The high order Bessel functions have extreme blow-up or die-out features in resonance region obstacle boundary. Therefore, in particular, when we consider shape reconstruction problems, the method is suffered from severe instabilities due to the logical confliction and the severe singularities of high order Bessel functions. In this paper, two approximation formulas for the Helmholtz equation are introduced. The formulas are new and powerful. The derivation is based on Method of Lines, Huygen's principle, boundary jump relations, Addition Formula, and the orthogonality of the trigonometric functions. The formulas reduce the approximation dimension significantly so that only lower order Bessel functions are required. They overcome the severe instability near the obstacle boundary and reduce the computational time significantly. The convergence is exponential. The formulas adopt the scattering jump phenomena on the boundary, and separate the boundary information from the measured scattered fields. Thus, the sensitivities of the scattered fields caused by the boundary changes can be analyzed easily.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are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formulas in accuracy, efficiency, and stability.

중학교의 근사값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bout Approximation in Math History fo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 조성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85-196
    • /
    • 1998
  • This study is undertaken to clarify the evolution of the mathematics regarding the $\pi$ ratio, square root, trigonometric ration which are dealing by approximate valu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Middle School and its subsequent growth of methods for attaining the approximate value. Furthermore a brief survey has been thought for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core of approximate value and its utility which will be given a guide line to many young learners. I'd better teach these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students and it makes clear the approximate value and the content about the approximate value. This research should help to improve the student's ability of solving a problem by making them think it mathematically through the life and the effort of the mathematician.

  • PDF

Dynamic Instability of Lattice-Dome Structures by Lyapunov Concept

  • Han, Sang-Eul;Hou, Xiao-Wu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25-32
    • /
    • 2008
  • Stability is a very important part which we must consider in structural design. In this paper, we take advantage of finite element method to study parametrical instability of lattice dome structures, which is subjected to harmonically pulsating load. We consider elastic stiffness and geometrical stiffness simultaneously during the calculation of stiffness matrix, and adopt consistent mass matrix to make the solution more correct. In order to obtain instability regions, we represent displacements and accelerations in dynamic equation by trigonometric series expansions, and then obtain Hill's infinite determinants. After first order approximation, we can get first and second order dynamic instability regions eventually. Finally, we take 24-bar star dome and 90-bar lamella dome as examples to investigate dynamic instability phenomena.

Phenomenological Modeling of Newly Discovered Eclipsing Binary 2MASS J18024395 + 4003309 = VSX J180243.9+400331

  • Andronov, Ivan L.;Kim, Yonggi;Kim, Young-Hee;Yoon, Joh-Na;Chinarova, Lidia L.;Tkachenko, Mariia 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127-136
    • /
    • 2015
  • We present a by-product of our long term photometric monitoring of cataclysmic variables. 2MASS J18024395 +4003309 = VSX J180243.9 +400331 was discovered in the field of the intermediate polar V1323 Her observed using the Korean 1-m telescope located at Mt. Lemmon, USA. An analysis of the two-color VR CCD observations of this variable covers all the phase intervals for the first time. The light curves show this object can be classified as an Algol-type variable with tidally distorted components, and an asymmetry of the maxima (the O'Connell effect). The periodogram analysis confirms the cycle numbering of Andronov et al. (2012) and for the initial approximation, the ephemeris is used as follows: Min I. BJD = 2456074.4904+0.3348837E. For phenomenological modeling, we used the trigonometric polynomial approximation of statistically optimal degree, and a recent method "NAV" ("New Algol Variable") using local specific shapes for the eclipse. Methodological aspects and estimates of the physical parameters based on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parameters are presented. As results of our phenomenological model, we obtained for the inclination $i=90^{\circ}$, $M_1=0.745M_{\odot}$, $M_2=0.854M_{\odot}$, $M=M_1+M_2=1.599M_{\odot}$, the orbital separation $a=1.65{\cdot}10^9m=2.37R_{\odot}$ and relative radii $r_1=R_1/a=0.314$ and $r_2=R_2/a=0.360$. These estimates may be used as preliminary starting values for further modeling using extended physical models based on the Wilson & Devinney (1971) code and it's extensions

해저 파문에서의 입자의 라그란지적 혼돈 및 확산 (Lagrangian Chaos and Dispersion of Passive Particles on the Ripple Bed)

  • 김현민;서용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4
    • /
    • 1993
  • 해양오염은 환경파괴의 주요 인자이다. 해양바닥에 가라않은 오염물질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문제와는 별도로, 파동(wave)에 의해 그것이 자동적으로확산될 수가 있다. 파문(ripple)으로 덮혀진 해저(sea bottom)에서 표면의 중력파에 의한 물의 수평방향 요동운동은 와류(vrotices)를 발생시칸다. 이런한 유동장은 해저 침전물을 부유시켜 멀리까지 화가신시키는 작용을 한다.파문주위의 유동장을 살펴보면 모서리(crest)에서 발생된 와류로 인해 정상유동성분이 존재하며 이런한 정상유동은 파문의 주기적 형상으로인해 다분히 순환적이다. 이ㅔ 파동에 의한 요동운동이 가세하면 Taylor 와류와 같은 효과를 보여 줄 것이다. 해저부근에서의 이러한 확산효과를 보기 위하여, 해양유동을 단순화하여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혼돈이론을 가미시켰다. 아주 단순한 유동이라도 복잡한 입자의 궤적을 나타내며 입자의 확산과 연관됨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보여준다.

  • PDF

모바일 벡터 그래픽 프로세서용 역코사인 함수의 하드웨어 설계 (Hardware Design of Arccosine Function for Mobile Vector Graphics Processor)

  • 최병윤;이종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27-73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벡터 그래픽 가속기용 역코사인 연산 회로를 설계하였다. 모바일 그래픽스 응용은 기존 데스크 톱 컴퓨터에 비해 면적, 연산 시간, 전력 소모와 정밀도 측면에서 제약이 크다. 설계한 역코사인 함수 회로는 연산시간과 정밀도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IEEE 표준 부동 소수점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며, 계수 테이블을 사용하는 2차 다항식 근사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하드웨어 공유 기법을 통해 면적을 감소시켰다. 역코사인 회로는 약 15,280개의 게이트로 구성되며, $0.35{\mu}m$ CMOS 공정 조건에서 약 125 Mhz의 동작 주파수를 가진다. 7개의 클록 사이클에 역코사인 함수를 구현하므로, 설계된 회로는 약 17.85 MOPS의 연산 성능을 갖고 있어서 OpenVG 프로세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융통성 있는 구조 특성으로 설계된 회로는 ROM 내용의 교체와 속규모의 하드웨어 변경을 통해 지수함수, 삼각함수, 로그 함수와 같은 다른 초월함수에 적용이 가능하다.

18세기 후반 조선산학서에 나타난 평면도형 관련 내용 분석 (A study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lane figures of Joseon-Sanhak in the late 18th century)

  • 최은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47-62
    • /
    • 2022
  • 본 연구는 18세기 후반 조선산학서의 기하 영역 중 평면도형 관련 내용들이 이전 시기와 비교하여 어떻게 차별화되어 다루어졌는지 살펴보고, 평면도형과 관련된 설명과 계산법의 변화, 문제해결과정에서 수학적 논리의 엄밀성, 새롭게 등장한 수학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8세기 후반에 저술된 서명응의 <고사십이집>과 황윤석의 <산학입문>, 홍대용의 <주해수용>을 주 분석문헌으로 선정하여 이전시기의 <묵사집산법>, <구일집>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도형을 측정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성질을 탐구하는 대상으로 설명하고, 서법(西法)을 별해로 추가 제시하거나 기존 풀이법을 대체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또한 일부 문제에서 수학적 근거를 토대로 계산법의 타당성을 기술하거나 도형그림을 삽입한 도해(圖解)를 통한 설명, 근삿값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보다 정밀한 근삿값 설명 등은 수학적 논리의 엄밀성을 추구한 대표적 사례였다. 오늘날의 삼각함수에 해당하는 팔선(八線)과 삼각형의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를 일반 삼각형으로 확장한 사례는 18세기 후반에 새롭게 등장한 기하 영역 주제였다. 이상은 18세기 후반의 조선산학이 서양수학의 이론적이고 논증적인 전개 양식을 점진적으로 수용한 근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