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planting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4초

옻나무 근삽시 삽목시기와 삽수의 절단 효과 (Effects of Cutting Time and Scions Section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4
    • /
    • 2003
  •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에 있어서 적정삽목 시기와 삽수의 절단 여부에 따른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목시기가 빠를수록 신초는 3-4주 후부터 발생하여 늦은 경향이었으나 삽식 10주 후의 신초 형성율은 높은 경 향이었는데 3월 15일과 25일 및 4월 5일 삽목구는 84% 이상이었으며, 신초는 삽목시기가 늦을수록 각시기별로 고르게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묘소질은 4월 5일과 3월 25일 삽목구가 수장, 주당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모두 가장 양호하였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로부터 신초의 발생은 2주 후부터 시작되었으나 절단한 삽수로부터는 3주 후부터 시작되어 약 1주일이 늦었다. 그러나 삽식 6주 이후부터 10 cm의 크기로 절단한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10주 후에는 84%이었으나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54%로 매우 낮았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묘가 경시적으로는 양호하였으나, 수장,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라오스 개벌림에서 다섯가지 자생수종과 각기 다른 조림처리의 Enrichment Planting이 묘목의 생장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richment Planting with Five Native Species and Different Plantation Treatment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at Logged-over Forest in Lao PDR)

  • 찬사몬 폰고우돔;실라반 사와드봉;우수영;와이문 호;박영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5-52
    • /
    • 2012
  • Enrichment planting은 라오스에서 산림복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차림에서 수종의 밀도를 증가시키는데 흔히 쓰인다. 본 연구는 다섯 종의 자생수종을 대상으로 임관층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Enrichment planting을 실시하여 라오스에서 개벌 이후 적용할 수 있는 조림방법과 적합한 수종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관층의 높이만 조사수종간 그리고 식재처리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묘목의 생존율과 수관층의 직경은 조사수종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식재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반면 묘목의 근원경과 묘고는 식재처리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수종 중에는 Hopea odorata 와 Dalbergia cochinchinensis 가 다른 수종들에 비해 생존율과 수고생장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들 수종들이 향후 라오스 산림복원을 위한 Enrichment planting에 적용하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m간격의 line planting은 묘목의 근원경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되지만 gap planting과 같이 넓은 간격의 line planting은 묘고생장을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가로수 조성 유형에 따른 비용편익 비교 분석 (Cost-Benefit Analysis for Planting Type of Street Trees)

  • 김준순;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29-3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cost and benefits of street trees for their planting types, specifically, single row, single row+bottom, double row, double row+bottom. Different planting types a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Net Present Value (NPV) and benefit-cost ratio (BCR). Existing data are collec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s for the use of meta-analysis method for estimating cost and benefit. The elements for analyzing costs are management and planting costs, and benefits are air purification, energy saving and landscape view. The discount rate is applied at a minimum of 3% and a maximum of 5.5%. The unit used in this calculation is km/year. The result shows that the net benefit is highest in double row, followed by single row, double row+bottom, and single row+bottom. The BCR is the highest in double row, followed by single row, double row+bottom, and single row+bottom. The BCR reaches the break-even point from 9 to 17 years depending on the planting types.

인천해안지역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해안림 식재모델 연구(I) - 곰솔림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 (The Planting Models of Maritime Forest by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the Seaside, Incheon - A Case Study on Pinus thunbergil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 권전오;이경재;장상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63
    • /
    • 2004
  • Planting models for restoration forest on the seaside have been demanded because coastal reclaimed land has increased for habitation sites, industrial complexes and new towns on the west seaside of Korea. The planting models have to consider endurance for ba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make a role to protect the urban space against the extreme seaside environment. The dominant species, relative impotance value, individuals and species number were analysed in natural forests that were exposed to extreme seaside conditions in Deokjeok island and Younghung island, Incheon. The nativ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and Pinus densiflora, which survive on the seaside, were mainly recommended because the coastal reclaimed land had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Stable vegetation structures could be made by multi-layer planing by using these species. A diverse vegetation community could be made according to these planting models. The maritime forests made by these planting models might be more effective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a windbreak forest than alone tree, and the young trees below 3m height could easily adapt to these conditions.

남부지역 도시녹지의 난대상록활엽수 동해피해 특성 (Freezing Injury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Southern Urban Area, Korea)

  • 정수영;이광수;유병오;박용배;주남규;김형호;박준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528-536
    • /
    • 201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관심이 증대되는 도시 녹지 내 난대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현황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개체목의 주요 부위별 피해빈도를 분석한 결과, 줄기 피해는 동백나무가 59.6%로 가장 낮았으며, 후피향나무가 83.3%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도는 지역별로 진주지역이 가장 피해가 심하였으며(p<0.001), 식재구역의 경우 생태공원이 가장 높은 피해도를 보였다(p<0.001). 식재 환경별로 수하식재지(p<0.01), 단목식재(p<0.001), 평탄지(p<0.001) 및 유기물이 많은 곳(p<0.05)에서 피해도가 낮았다. 생육인자와 피해도와 간의 상관분석 결과 수고, 수관폭의 상관계수가 각각 -0.432, -0.470으로 피해도와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율적인 난대상록활엽수의 도시녹지 조성을 위해서는 수종, 입지환경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을 위한 추모 서비스 개선방안 (Improving Memorial Services for Sustainable Forest Burials)

  • 이정선;차성수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37-47
    • /
    • 2024
  • 현재 화장문화의 정착으로 인해 화장후 장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와 자연 친화적인 장법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자연장의 대표격인 수목장과 수목장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나무에 의존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속된다면 수목장 (림)이 숲을 훼손하여 또 다른 묘지로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수목장림은 우리가 가진 자연이라는 공간으로 인간이 회귀한다는 시간적 의미가 깃들어져 인간은 자연에 순응하여 돌아간다는 철학적 의미를 담는 장법이다. 이렇듯, 수목장림은 우리가 익히 아는 전통적인 장사시설이 아님에도 시설과 운영시스템의상당 부분이 공원묘지 기준을 차용하면서 법령상의 자연장보다 더 엄격한 기준과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직성은 숲을 보존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수목장림의 확장성과 운영에 제한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수목장림 운영을 위한 구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의 자연장 유형을 살펴보고, 국민들의 정서와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정착할 수 있는 수목장림의 방향을 찾는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으로는 추모목에 의탁하지 않는 안치 방법, 익명이나 무기명 수목장림의 운영, 그리고 참배 추모 방식의전환, 그리고 다양한 산골방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의 대안을 제안한다. 수목장림이 시행되는 곳은 산림, 다시 말해 숲 자체이다. 장사시설이 아닌 숲을 통한 고인의 진정한 자연회귀의 정신을 기릴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됨으로서 숲이 가진 공익적 가치, 즉 숲의 사회적 기능을 친환경적인 장사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신갈나무림의 식생구조와 생태적 복원모델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이미정;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5
    • /
    • 2011
  • The composition of species for each community of Quercus by vegetation and soil survey,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were used and analyzed during the period of 2000~2004 for Quercus mongolica forest. And the resulting suggestions for a subsequent planting model for forest are as follows.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had the highest importance value for Quercus mongolica followed sequentially by Acer pseudosieboldianum, Acer mono,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and Fraxinus sieboldiana. As a result of suggesting a planting modeling for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both $60.90{\sim}79.79^{\circ}C$ and $53.96{\sim}64.82^{\circ}C$, Quercus mongolica was absolutely dominant in case of the subtree layer for the accompaniment species of distribution in the planting modeling by tree layer in the two areas depending on the warmth index, while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shown in case of the lower tree layer. While Acer pseudosieboldianum, Tilia amurensis, Fraxinus rhynchophylla, Sorbus alnifolia, Acer mono, etc. were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for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60.90{\sim}79.79^{\circ}C$. Cornus controversa, Quercus mongolica, Fraxinus sieboldiana, etc. were many appeared in the subtree layer for the areas with the warmth index of $53.96{\sim}64.82^{\circ}C$. And, when we made ecological Quercus mongolica community, subtree layer planting is different by warmth index.

순천만 해안방풍림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 식재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for the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Suncheon Bay in Suncheon-si, Korea)

  • 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9-10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planting model to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on the Suncheon-bay in Sucheon-si, Korea. Make up of coastal windbreak forest in this site was needed for appropriate bioresource, biodiversity and ecological structure, and for conservation of the eco-tour resource and protection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the unforeseen disaster from the coast. Based on the plant-social principle, the planting model of windbreak forest was developed to facilitate growth of trees, considering planting locations. The ecological planting model for the coastal windbreak was composed of warm temperate evergreen and windbreak forest which is spreading around the inland area in Korea. The horizontal forest style was composed of forest edge community and inner forest community, and the vertical forest style was composed of upper, middle, low and ground planting class. The target of the present model was quasi-natural forest, and the species of tree were selected based on the adaptability to surroundings depending on a goal to create a forest and forest style. To achieve both functions of wind break forest and visual effect in short period of time, small trees and seedlings were planted with high-density of 40,000/ha in an expectation of easy natural maintenance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is a suggestion for a guideline to create ecological coastal windbreak forest in the Suncheon-bay in which the harmony of human life and the ecological conservation is of great importance. Also, the ecological coastal windbreak forest model should be developed further through the long term monitoring after construction of forest.

도시생태계 수목의 대기정화 역할 -용인시를 사례료-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Trees in Urban Ecosystem -in the Case of Yongin-)

  • 조현길;안태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8-45
    • /
    • 2001
  • This study quantified annual $CO_2$, SO$_2$ and NO$_2$ uptake and annual $O_2$ production by trees in Yongin´s urban ecosystem, and explored values of urban tree plantings in atmospheric purification. Woody plant cover was only 7.7% with planting density of 1. trees/100$m^2$, and the tree-age structure was largely characterized by a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Annual per capita pollutant emissions from fossil fuel consumption were 7.3t/yr for $CO_2$, 7.6kg/yr for SO$_2$, and 26.6kg/yr for NO$_{x}$. Carbon dioxide storage per unit urban area by trees was 13.1t/ha and the economic value for $CO_2$ storage was ₩6.6millions/ha. Annual atmospheric purification was 2.0t/ha/yr for $CO_2$ uptake, 2.0kg/ha/yr for SO$_2$ uptake, 4.0kg/ha/yr for NO$_2$ uptake and 1.5t/ha/yr for $O_2$ production, and the annual economic value for the atmospheric purification was ₩1.5millions/ha/yr. Urbantrees stored an amount of $CO_2$ equivalent to about 3.1% of the total annual $CO_2$ emissions, and annually offset total $CO_2$ emissions by 0.5%. Annual SO$_2$ and NO$_2$ uptake by trees equaled 0.5% of total SO$_2$ emissions and 0.3% of total NO$_{x}$ emissions, respectively. Urban tree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through producing annually 9.2 of the $O_2$ requirement for Yongin´s total population, despite relatively poor tree plantings. Future active plantings and greenspace enlargement in the study city could enhance the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urban tre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mphasizing environment benefits of urban trees, and in urging the continuous necessity for tree planting and management budget.get.

  • PDF

옻나무 근삽시 삽상배지의 효과 (Effects of Cutting Media in Root Cuttings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 두홍수;권태호;양문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1-246
    • /
    • 2001
  • 옻나무 근삽에 의한 묘목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7종류의 삽상배지를 공시하여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상배지는 PV(peatmoss vermiculite = 1 : 1)와 PVS(peat moss : vermiculite : sand = 1 : 1 : 2) 처리구에서 3주 후부터 신초가 발생되었고, 삽 식 10주 후의 신초발생율은 PVSC(peatmoss : vermiculite : sand : clay loam = 1 : 1 : 2 : 2)배지에서 80%로써 가장 높았다. 삽수당 신초형성수는 PH와 PVC 삽상배지가 2.2개로써 가장 많았고 HSC 삽상배지 는 1.3∼1.5개로써 가장 적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Peatmoss, vermiculite, sand 및 clay loam을 각각 1:1:2:2 (v/v/v/v)로 혼합한 PVSC 삽상배지가 옻나무 근삽의 삽상배지로 이용하기에 양호하였으며, 수장,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등의 묘소질 역시 양호하여 본포에 이식하기에 적당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