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lated word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예측 가능한 패턴의 영어그림책과 한국어 번역그림책 간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Translated Picture Books in Korean in Predictable Pattern Books)

  • 이명신;김지연
    • 아동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7-169
    • /
    • 2014
  •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types of predictable pattern books are suitable for reading aloud, th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translated Korean picture books in terms of their characteristics of speakability and the meaning of sentences. This study investigated a total of 112 picture books. The predictable pattern types were analyzed specifically, compared with onomatopoeia, mimetic words, repetition, rhyme, the shift of sentence and style typ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edictable pattern books could b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and the number of sentences in translated books increased owing to the difference of sentence structure. In terms of speakability, words in repetitio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represented higher frequency except rhym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Furthermore, translations used strategies of the shift in sentence and style types for speakability.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predictable pattern books can serve as good materials to read aloud for young children not only in terms of English picture books but also translated books regardless of concerns regarding their speakability.

Query Formulation for Heuristic Retrieval in Obfuscated and Translated Partially Derived Text

  • Kumar, Aarti;Das, Sujoy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3권1호
    • /
    • pp.24-39
    • /
    • 2015
  • Pre-retrieval query formulation is an important step for identifying local text reuse. Local reuse with high obfuscation, paraphrasing, and translation poses a challenge of finding the reused text in a document. In this paper, three pre-retrieval query formulation strategies for heuristic retrieval in case of low obfuscated, high obfuscated, and translated text are studied. The strategies used are (a) Query formulation using proper nouns; (b) Query formulation using unique words (Hapax); and (c) Query formulation using most frequent words. Whereas in case of low and high obfuscation and simulated paraphrasing, keywords with Hapax proved to be slightly more efficient, initial results indicate that the simple strategy of query formulation using proper nouns gives promising results and may prove better in reducing the size of the corpus for post processing, for identifying local text reuse in case of obfuscated and translated text reuse.

한국 초등학교 가정통신문의 어휘 특성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n Vocabulary Used in School Newslette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Focus on the areas of Busan, Ulsan and Gyeongnam)

  • 강현주
    • 한국어교육
    • /
    • 제29권2호
    • /
    • pp.1-2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words and phras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newsletters from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high frequent words from school newsletter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content and function words, and the domains of the words were looked up. For this study 1,000 school newsletters were collected in the areas of Busan, Ulsan and Gyeongnam. In terms of parts of speech, nouns, especially common nouns,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school newsletters followed by verbs and adjectives. This result shows that for immigrant women who have basic knowledge on Korean language, it is useful to give translated words to get the message of school letters. Furthermore, school related terms such as facilities, regulations and activities of school and Chinese-based vocabularies are found in school newsletters. In case of verbs, the words which contain the meaning of requests and suggestions are used the most. Adjectives which are related to positive value and evaluation, and describing weather and season is frequently used as well.

한국 신문의 영어 번역에 나타난 번역 보편소의 코퍼스 기반 분석 (A Corpus-based Study of Translation Universals in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Newspaper Texts)

  • 고광윤;이영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109-143
    • /
    • 2016
  • 본 연구는 번역된 텍스트들에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언어적 특성들인 번역 보편소(translation universals)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번역 보편소 연구는 언어계통상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어와 다른 유럽어 사이의 번역에 집중되어 왔으며, 다른 한편으로 주로 문학 장르의 분석에 치중되어 있다는 아쉬움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가 지닌 이러한 두 가지 주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어를 원문으로 하는 영어 번역 가운데 비문학 장르인 신문언어 텍스트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먼저, 번역된 신문영어 텍스트와 비번역 신문영어 텍스트를 정해진 기준에 따라 수집하여 번역과 비번역 영어(translated and non-translated English)로 구성된 대응코퍼스(comparable corpora)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대응 코퍼스를 바탕으로 기존 문헌에서 논의된 번역 보편소 가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단순화(simplification), 명시화(explicitation), 규범화(normalization), 평준화(leveling-out) 현상이 한국어 신문의 영어 번역 텍스트에서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각 가설들이 지니는 타당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단순화와 규범화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가설의 언어적 특성들은 모든 언어쌍과 모든 텍스트 장르에 걸쳐 일반화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번역 보편소의 개념 규정이나 분석지표의 정교화, 그리고 결과의 일반화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ntent Validity of a Korean-Translated Version of a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A Pilot Study

  • Kim, Gyoung-mo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translate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FAB) scale into Korean a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by utilizing a back-translation method with a view to assessing balance function and the risk of falling in a clinical research setting.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six steps. First, three Korean physical therapists translated the FAB scale into Korean. Second, two bilingual professors of physical therapy and a physical therapist evaluated translation conformity of Korean-translated FAB scale. In the third and fourth steps, twelve physical therapists evaluated the degree of translation comprehension, and a translator back-translated the Korean FAB scale into the original language. Fifth, a bilingual professor of physical therapy and two native speakers evaluated the technical and conceptual equival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lation versions. In this process, inappropriate translated items were revised using recommended substitute words or sentences, and all item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ree points or more on a rating scale in terms of translation comprehension, and the technical and conceptual equivalence of the back-translation. In the sixth and last step, the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completed the final Korean version. The above process indicated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translated FAB scale was established by means of systematic translation methods, and it can therefore be used to assess balance function and the risk of falls in a clinical research setting.

A study on the arrangement of emotional words for understanding the human's emotion

  • 권규식;이순요;우석찬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4-68
    • /
    • 1993
  • The idia of modern product design is translated from the concept of functional importance as the basic function to that of emotional importance as the supplement function. In other words, the interests of the emotion in human performance side based on psychological factors of human are increased as well as the function in technical performance side based on physical factors of product. The standard emotional works for understanding the human's emotion are arranged in this paper. The standard emotional words are composed of words expressing the humaa's emotion. The adjectives adaptable to human's emotional works are collected from Korean dictionaries and arranged in the semantic differential(SD) scale. Next, the words with great marks evaluated by SD method a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FA) method and characterized as emotional words for understanding the human's emotion. The standard emotional words arranged in this paper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duct or technology as well as for the matter of emotional measurement technical development.

  • PDF

소설 속의 'くれる類'동사에 대한 한국어와 영어의 번역양상 - 하목수석(夏目漱石)의 『こころ』를 중심으로 - (Aspects of Korean and English Translation of 'KURERU' in the Novel - about NATSUMESOSEKI 『KOKORO』)

  • 양정순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327-353
    • /
    • 2017
  • 본고는 근대소설 "こころ"안에서 사용된 'くれる類' 동사가 번역가에 의해 재생산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번역 양상을 '표현주체와 상대에 따른 사용'과 '이동대상'에 초점을 두어 분석했다. '표현주체와 상대에 따른 사용'은 다음과 같다. 'くれる類' 동사의 사전적 어휘용법에 머무르지 않고 장면에 따라 번역되었다. 그런데 '주는 자'가 손위의 인물일 때 사용된 'くれる'에 대한 한국어 역은 '주는 자'가 부모라면 전부는 아니지만 가급적 그 행위를 높여서 번역하는 경향이 보였다. 정중도에 대한 영어 역의 차이는 'くれる類' 동사가 부탁 의뢰 명령과 같은 용법으로 사용될 때 나타났는데, 'くれる'보다 'くださる' 쪽에서 'please'의 사용이 보였다. '이동대상'에 따른 번역 양상은 다음과 같다. 본동사로 사용될 때의 한국어 역은 'くれる' 'くださる'에 대응하는 '주다' '주시다'로 번역되었지만, 영어 역은 이동대상의 특징에 따라 번역 어휘가 다양했으며 구체화된 행위의 표현으로 번역되었다. 보조동사로 사용될 때의 한국어 역과 영어 역은 행위의 이동 이외에 사물의 이동이 포함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번역 어휘가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어 역은 구체적인 사물과 더불어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는 '-주다' '-달라' '-주시다' 등과 같은 수익을 나타내는 번역이 우세했다. 추상적인 사항과 함께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와 이동 대상에 행위만 있을 때의 한국어 역은 수익을 나타내는 번역도 있었지만, 전항동사의 행위로 번역된 예도 보였다. 영어 역은 구체적인 사물 및 추상적인 사항이 포함된 행위의 이동이 있을 때나 행위의 이동만 있을 때도 전항 동사의 행위로 번역된 예가 우세했다. 부탁 의뢰를 나타내는 표현에 한국어 역은 '-달라' '-주세요'와 같이 'くれる'와 'くださる'에 대응하는 번역이 있었던 반면, 영어 역은 'must' 'ask' 'wish' 'would' 'would like to' 'please'와 같이 문 구조나 언어기능 항목에 초점을 두어 행위를 구체화 시키는 번역이 중심을 이뤘다.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Argument and Argumentation: A Review of Literature for Clarification of Translated Words)

  • 강남화;이은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119-1138
    • /
    • 2013
  • 국내 과학교육연구 문헌에서 argument와 argumentation이 소개되고 연구되어온 지 거의 10년이 되었고, 그 용어가 크게 세 가지 단어로 번역이 됨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교육 문헌에서 두 용어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지를 고찰하여 다양하게 번역된 용어들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번역의 다양성에 관한 철학적 관점에서 외국 과학교육 문헌에서 argument와 argumentation의 정의와 그 연구 맥락을 검토하고, 국내의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문헌은 2000년 이후 제목에 argument와 argumentation을 포함하는 79개의 외국 주요 과학교육저널에 실린 논문과 그 두 용어의 번역어를 제목에 포함한 37개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이다. 분석 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연구 맥락에 따라 argument와 argumentation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정의 또는 탐구의 한 측면과 같은 구체적인 상황에 기인한 정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에서 번역 용어의 다양성에 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언급한 경우에도 하나의 예외를 제외하고 선택한 번역용어를 사용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argument 또는 argumentation의 정의를 위해 여러 연구자들이 동일한 외국 문헌을 고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번역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그 용어의 정의와 특정 번역어의 사용은 연구자들에게는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특정 연구 집단이 특정 번역어를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번역이 실천적 습관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번역 용어의 결정에 관한 입장을 연구 전문성과 연구집단 간의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노인주택의 개념과 유형화 연구 (A Classification of Elderly Housing Types Toward a Holistic Understanding)

  • 이연숙;이성미;김민수;이유진;이선민
    • KIEAE Journal
    • /
    • 제7권1호
    • /
    • pp.81-93
    • /
    • 2007
  • Due to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risk which will be caused by fast aging of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aging friendly environment including housing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both individually and socially. In this regard, recently, in Korea, diverse elderly living facilities have increased in its number. Because of little experience, however, there have not been enough holistic understanding about aging friendly housing. Accordingly, most previous literature which introduced elderly housing to Korean society have translated differently, thereby caused more confusio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bout aging friendly housing, clear and consistent definition of its type and comprehensive range needs to be deline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various elderly housing alternatives in architecturally understandable way. This study was proceeded by content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on elderly housing environment.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concept and existing classification of elderly housing was done prior to main analysis of translated Korean words. After classifying the Korean words of definition, systematic classification which focused on two important criteria of determining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pace sharing degree and intentional plannedness was delineated and suggested. This research shows the first step towar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lderly housing classification.

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삼육(三育) 개념의 도입과 전개 (A Study o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Meiji Japan)

  • 한용진;최정희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49-271
    • /
    • 2014
  • 본 논문은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 서구교육학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삼육(三育)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구의 교육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삼육 관련 용어가 어떻게 번역되고 그 개념이 어떻게 정리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메이지기 삼육 개념의 도입은 일본사회의 내부적 변화에 따른 선택적 번역과 수용의 과정에 따라 1880년대에는 '삼교(三敎)'의 형태에서 '삼육(三育)'의 체계로서 정착된다. 둘째, 일본 메이지기 삼육의 개념은 일본 교육사조의 흐름에 따라 '삼육'의 형태는 유지하되 교육의 목적에 따라 중점을 두는 구성요소와 개념이 변용되어 전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