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메이지기(明治期) 삼육(三育) 개념의 도입과 전개

A Study on the Adoption and Development of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in Meiji Japan

  • 투고 : 2014.01.15
  • 심사 : 2014.03.14
  • 발행 : 2014.03.31

초록

본 논문은 메이지기(明治期) 일본에 서구교육학이 소개되는 과정에서 삼육(三育)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고 전개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서구의 교육학 서적의 번역을 통해 삼육 관련 용어가 어떻게 번역되고 그 개념이 어떻게 정리되는가를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 글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메이지기 삼육 개념의 도입은 일본사회의 내부적 변화에 따른 선택적 번역과 수용의 과정에 따라 1880년대에는 '삼교(三敎)'의 형태에서 '삼육(三育)'의 체계로서 정착된다. 둘째, 일본 메이지기 삼육의 개념은 일본 교육사조의 흐름에 따라 '삼육'의 형태는 유지하되 교육의 목적에 따라 중점을 두는 구성요소와 개념이 변용되어 전개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three concepts of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such a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had adopted and developed in Meiji Japan through the introduction process of Western Education. In this work, we hope to identify the three general educational words which are translated in Japanese as well as that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ranslated words of these principles had changed from Sam-Kyo(三敎) to Sam-Yuk(三育); owing to the internal change of situation in 1880's. Second, the three general educational principles have changed their main element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though still maintaining the three, but it had developed their concepts according to the trend of thought in Japanese edu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