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erring

검색결과 1,372건 처리시간 0.04초

동양화의 예술적 스타일 탐구 (Exploring the Artistic Style of the Oriental Paintings)

  • 이소려;이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5-478
    • /
    • 2019
  • Although the work of neural style transfer has shown successful applications in transferring the style of a certain type of artistic painting, it is less effective in transferring Oriental paintings. In this paper, we explore three methods which are effective in transferring Oriental paintings. Then, we take a typical network from each method to carry on the experiment, in view of three different methods to Oriental paintings style transfer effect has carried on the discussion.

도시철도 건설사업의 편익계측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Benefit Evaluation of Urban Rail Construction Project : Korea vs Japan)

  • 최창식;김경철;김용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6
    • /
    • 1999
  • This paper studies on the benefit evaluation of urban railway construction project. We compares Korean Method with Japanese in calculating the generalized cost(GC) of a trip. In Japan, the disadvantage of transferring to another mode or line is included to calculate GC of trip. And environmental effects are contained directly as rail construction benefit. But in Korea, inconvenience of transferring facilities like stairways and passageway for riding a subway is not accounted to analyse benefit. As a result, there is a little investigate to improve and overcoming the inconvenience facilities of transfer, access, and egress. So, we suggest the containing the disadvantage measure of transferring facilities when subway riderships are forecasted. That will be reduced tile capital size of subway.

  • PDF

Optimal Job Scheduling for RGV with multiple buffers

  • Jeong, Chan-Doo;Lee, Su-Jeong;Kim, Jin-Ki;Sung, Hak-Ky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84.3-84
    • /
    • 2001
  • Suggesting the standard of optimal transferring for one RGV or two RGV, which have multiple buffers, using average delivery time and sigma in the straight line working place. For performing the optimal transferring, present RGV-Job Dispatching algorithm, which is possible to apply in realtime, and apply random job occurrence conditions for examining the possibility to apply various real environments.

  • PDF

IP 기반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지역분할 전송 모델 (The Regional transferring Model for Multicasting Service based on IP)

  • 장경성;김병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5호
    • /
    • pp.637-646
    • /
    • 2001
  • 최근의 이동컴퓨팅의 기술 및 IP 지원 이동성(Mobile IP)의 다양한 적용기술의 발전되고 있으며, 멀티캐스트 통신이 그룹중심의 응용기술을 지원하는 효율적이고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제한된 대역폭을 가지는 이동성 지원 네트워크 환경에서 고용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터널링과 원격가입을 통한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좀 더 효율적인 이동성 지원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지역분할 방법을 제시한다. 각 지역 내부에서는 양방향 터널링을 이용하여 이동호스트에게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지역 외부에서는 원격가입을 통하여 홈 에이젼트와의 원거리 전송시 야기되는 트래픽의 부하를 줄이도록 설계하고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 PDF

디스플레이용 판유리 이송을 위한 양방향 이송 로봇장치 (Full Duplex Robot System for Transferring Flat Panel Display Glass)

  • 이동훈;김성동;이치범;조영학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96-1002
    • /
    • 2013
  • This study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a full duplex robotic system for transferring flat-panel display glass. We propose to accomplish this using a bidirectional linear transfer mechanism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rotary transfer mechanism. The developed full duplex robot comprises a driving part that carries the glass panel laterally, vertical part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by means of a ball screw and linear motion guide arrangement, and hand part that slides by the cylinder of the driving part along the guide rail with a V-guide bearing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In addition, an alignment part prevents the hand part from derailing and holds the hand part while the driving part moves horizontally. The full duplex robot lifts and drives a glass panel directly while transferring it to the buffer and does not require rotational motion. Therefore, both transferring and stacking are realized with a single device. This device can be used in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industrial robots in current as well as future process lines. The proposed full duplex robot is expected to save considerable amounts of time and space, and increase product throughput.

교통 연계 환승 시스템의 보행자 위치 추적을 위한 보정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f Location Correction Algorithm for Pedestrian Location Tracking in Traffic Connective Transferring System)

  • 정종인;이상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49-157
    • /
    • 2009
  • 교통연계 및 환승 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가공을 통하여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행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상용 기술은 장치의 설치 및 서비스 장소에 따라 위치 추적 오차가 일부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크다.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교통연계 및 환승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실험을 실시한 광명역의 경우에도 각종 철골 구조물과 타 무선 장비가 혼재해 있는 악조건이었으며, 실질적으로 설치될 곳은 이보다 더 조건이 나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통 연계 및 환승 시스템에 적합한 위치보정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 위치보정알고리즘은 그리드 좌표 맵매칭, 모델링 좌표 및 칼만 필터링을 통해 설계되었으며, 환승 센터로 구성될 수 있는 유형의 다양화에 따른 최적화에 대비하여 향후 알고리즘의 인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뮬레이터 형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 PDF

영상처리를 이용한 작물의 모종시기 결정 (Determination of Transferring Period of Several Plants using Image Processing)

  • 민병로;김웅;김동우;이대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8-184
    • /
    • 2004
  • 본 연구는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채소의 모종 시기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작물의 높이, 장변 및 단변을 영상처리를 이용해 자동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각 작물 당 20개씩의 실험체를 두어반복 측정한 결과, 들깨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5.0mm로 평균 실측 길이 대비 1.7% 오차율, 장변은 평균 오차 4.7mm, 오차율 3.9%, 단변은 평균 오차 5.5 mm, 오차율 6.9%로 나타났다. 도라지의 경우 높이는 평균 오차 2.4 mm, 오차율 8.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10.4%로 나타났다. 상추의 높이는 평균 오차 4.0 mm, 오차율 9.1%, 장변은 평균 오차 3.4 mm, 오차율 7.2%, 단변은 평균 오차 3.6mm, 오차율 9.4%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 환경에 맞게 좀 더 개선된다면 사람의 시각을 이용한 작물의 생장상태 판별보다 더 정확하다고 판단된다.

환승 보행시설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evel of Service in Transfer Walking Facilities)

  • 윤태관;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3-156
    • /
    • 2010
  •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사고가 적다는 점에서 보행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대중교통의 중요성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부각되며 대중교통 수단간의 환승이 중요시되고 있다. 환승을 위해 보행하는 환승시설물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당역의 환승통로와 신도림역의 내부계단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용량을 조사하여 연구에 이용하였다. 기존의 서비스수준 산정방식으로는 첨두시간대의 보행자 통행패턴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대기행렬이론과 시설물의 가용률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실제 시설물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수준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서비스수준 산정방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평가 또는 설계했을 경우 실제 상황보다 과대평가되는 위험함이 있었고, 본 연구의 방법론과 실제 현장상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사한 형태를 띄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방법론이 실제상황에 근접한 서비스수준을 산출한다고 할 수 있다.

전사 공정을 이용한 산화막 정렬 패턴 제작과 액정 배향 특성 연구 (Parallel pattern fabrication on metal oxide film using transferring process for liquid crystal alignment)

  • 오병윤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594-598
    • /
    • 2019
  • HfZnO 박막 위 패턴 전사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러빙법을 대체하는 배향 공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렬 패턴은 레이저 간섭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위에 제작하였다. 졸겔 공정을 이용하여 HfZnO 용액을 제작하였고, 유리기판 위에 스핀코팅하였다. 미리 제작한 정렬패턴을 스핀코팅된 HfZnO 위에 올려놓고, $100^{\circ}C$에서 30분간 소성하였다. HfZnO 박막에 평행한 그루브가 형성되었음을 atomic force microscopy 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HfZnO 박막을 이용하여 액정 셀을 제작하였으며, POM 분석으로부터 액정이 균일하게 정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정은 $0.25^{\circ}$의 프리틸트 각을 가졌으며, 수평배향 특성을 보여주었다. 액정 분자는 평행한 그루브에 의한 HfZnO 박막 표면 이방성에 의하여 균일하게 정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