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 보행시설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evel of Service in Transfer Walking Facilities

  • 투고 : 2009.12.03
  • 심사 : 2010.01.14
  • 발행 : 2010.02.28

초록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사고가 적다는 점에서 보행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대중교통의 중요성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부각되며 대중교통 수단간의 환승이 중요시되고 있다. 환승을 위해 보행하는 환승시설물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당역의 환승통로와 신도림역의 내부계단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용량을 조사하여 연구에 이용하였다. 기존의 서비스수준 산정방식으로는 첨두시간대의 보행자 통행패턴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본 연구에서는 대기행렬이론과 시설물의 가용률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실제 시설물에서 나타나는 서비스수준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현재 서비스수준 산정방식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평가 또는 설계했을 경우 실제 상황보다 과대평가되는 위험함이 있었고, 본 연구의 방법론과 실제 현장상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유사한 형태를 띄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방법론이 실제상황에 근접한 서비스수준을 산출한다고 할 수 있다.

The walk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environment friendly and low accident rate, and transferring is also important as increasing public transportation uses. Facilities for transferring such as transfer path in Sadang station and internal stairways in Sindorim station are the object of this paper. Using preexistence methodology for Level of Service is not appropriate to transferring facilities because they are occurred only when the train arrive that st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uses queuing theory and utilization factor. In result, we can get Level of Service which can simulate real situation of the facilities by using new methodology which introduce by this paper. Also it reveals that preexistence methodology cannot simulate real phenomenon in transferring center.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2),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시설 보완 설계지침.
  2. 건설교통부(2004),도로용량편람.
  3.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2002),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49-156.
  4. 김흥기(2006), 지하철 정거장 내 환승공간의 시설용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권영종(2005), "대중교통환승센터 유형별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연구", 대한국토지.도시계획학회지, 제40권 제2호.
  6. 이준혁(2008.1.3.), 신도림역 '최악승강장' 오명 벗을까, 오마이뉴스기사.
  7. 이진욱(2005), 보행자교통류특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 미(2005), 환승센터의 설계원칙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임정실.오영태(2002),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91-99.
  10. 임진경(2004),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제5호, pp.723-728.
  11. 주정완(2008.1.28.), 서울 지하철역 이동 편해져요, 중앙일보기사.
  12. 천승훈(2006), 대기행렬이론을 이용한 중앙버스정류소 접근구간 보행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교통연구세미나 자료집, pp.91-99.
  13. 최진헌(2005), 환승센터 평가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ruce. W.(2001),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nment:A Pedestrian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01-0511.
  15. Dennis G. Davis and John P. Braaksma (1987), Level-of-service standards for Platooning Pedestrians in Transportation Terminals, ITE journal, pp.31-35.
  16. Dixon, L.B.(1996), Bicycle and Pedestrian Level-of-Service Performance Measures and Standards for Congestion Management System, Presented at the 75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17. John J. Fruin(1971),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Metropolitan Association of Urban Designers and Environmental Planners, Inc. N.Y.
  18. John J. Fruin(1987), Pedestrian Planning and Design, Revised Edition, Elevator World, Inc. Mobile, AL.
  19. Sarkar, S.(1993), Determination of Service Levels for Pedestrians, With European Exampl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1405, TRB,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pp.35-42.
  2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0), Highway Capacity Manual,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2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0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2nd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