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Location Correction Algorithm for Pedestrian Location Tracking in Traffic Connective Transferring System

교통 연계 환승 시스템의 보행자 위치 추적을 위한 보정 알고리즘 연구

  • 정종인 (한양대학교 전자통신컴퓨터공학과) ;
  • 이상선 (한양대학교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racking technologies which provide real-tim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llecting and processing for pedestrians who use traffic connective and transferring center have been being examined. However some problems are caused due to the wide-range positioning error for some services as device installation and service place. It is also difficult to be applied to traffic linkage and transfer services because many situations can be barren. In the testbed, Gwangmyoung Station, we got some results in bad conditions such as a lot of steel construction and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Practically, conditions of the place which will be built can be worse than Gwangmyoung station. Therefore, we researched suitable Location correction algorithm as a method for accuracy to traffic connective and transferring system. And its algorithm is designed through grid coordinates, map-matching, modeling coordinates and Kalman filtering and is being implemented continuously. Also preparing for optimization of various transferring center model, we designed for simulator type algorithm what is available for deciding algorithm factor.

교통연계 및 환승 센터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다양한 정보의 수집 및 가공을 통하여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행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검토하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상용 기술은 장치의 설치 및 서비스 장소에 따라 위치 추적 오차가 일부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크다.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교통연계 및 환승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실험을 실시한 광명역의 경우에도 각종 철골 구조물과 타 무선 장비가 혼재해 있는 악조건이었으며, 실질적으로 설치될 곳은 이보다 더 조건이 나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통 연계 및 환승 시스템에 적합한 위치보정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 위치보정알고리즘은 그리드 좌표 맵매칭, 모델링 좌표 및 칼만 필터링을 통해 설계되었으며, 환승 센터로 구성될 수 있는 유형의 다양화에 따른 최적화에 대비하여 향후 알고리즘의 인수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뮬레이터 형태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종, "이용자 중심의 교통체계 및 환승시스템 구축," 대한토목학회, 제56권 제4호, pp. 42-47, 2008. 4.
  2. 김홍석, "대중교통환승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제185호, 2008. 7.
  3. V. Hlupic, "A comparison of simulation software packages," Proc. Eurosim Conf., vol. 2, pp. 171-175, Sept. 1995.
  4. J. M. Kahn, R. H. Katz, and K. S. J. Pister, "Next century challenges: mobile networking for smart dust," Proc. IEEE ACM Int. Conf, vol 2, pp. 271-278, Aug. 1999.
  5. 김원수, 장기수, ZigBee 기술 동향 및 시장 전망 분석, 전자부품연구원 전자정보센터, 2006.
  6. I. F. Akyildiz, W. Su, Y. Sankarasubramaniam, and E. Cayirci, "A survey on sensor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40, pp. 102-104, Aug. 2002.
  7. 최상성, 신철호, 강법주, "무선 홈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고속 UWB 기술 및 표준화 동향,"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9권, 제5호, pp. 87-94, 2004. 10.
  8. 윤두영, 전수연, "UWB 기술 개요 및 주파수 정책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 제18권, 제13호, 통권 397호, 2006. 7.
  9. 허재두, 이현정, "WiMedia UWB 표준화 및 서비스 동향," Tech&Market 홈네트워크 서비스 및 기술동향, vol. 17, pp. 54-61, 2007.
  10. M. L. Averill and W. D. Kelton, Simulation Modeling and Analysis, McGraw-Hill, Inc. 1991.
  11. K. Nagel, J. Esser, and M. Rickert, Large-scale traffic simulation planning to appear in: Annual Review of Computational Physics VII,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1999.
  12. C. D. Pegdon, R. E. Shannon, and R. P. Sadowski, Introduction to Simulation Using SIMAN, McGRAW-Hill, 1995.
  13. Qi Yang, Haris N. Koutsopoulos, Moshe E. Ben-Akiva, "A simulation laboratory for evaluating dynamic traffic management systems," TMIP, TRB Paper No. 00-1688, Nov.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