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ing of teachers for gifted educ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동료간 상호작용이 강조된 연수 프로그램에서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 the In-service Teachers Training Program)

  • 박지은;이봉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35-145
    • /
    • 2012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efficient in-service teachers training program, which could help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gifted teacher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in-service training program was to put great emphasis on interaction between fellow teachers. With this program, teachers could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s about gifted edu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4 interaction modules: 'the module of interaction at the pre-planning', 'the module of interaction in the small group', 'the module of interaction at the plan of application', 'the module of interaction at the practical exercis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 'the module of interaction at the pre-planning'. We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in 'the module of interaction at the pre-planning'. Each teachers got 17.2 correction opinions from peer teachers. They accepted 79.2% opinions among them and refused the other opinions (20.8% opinions). In the analysis of 'program process', the interactions for the improvement about 'the acquirements of knowledge and function' step were 41.9% and the interactions for the improvement about 'plan and exploration' step were 30.5%. In the analysis of 'program domain', the interactions about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41.9%. The interactions about 'program step' were 28.6% and the interactions about 'learning contentsh were 24.8%. With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features of interaction between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and proposed the improvement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teachers.

교사변인에 따른 초등과학 영재교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과학교수불안 분석 (Analysis of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 김상일;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95-10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 of science teaching anxiety of elementary teacher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 for gifted education,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instrument to assess their science teaching anxiety was Westerback's S-STAI, modified in this study to be suitabl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for gifted felt more teaching anxiety in gifted classes than in normal classes on the who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career in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of taking gifted education training courses, and participation in meeting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mplications related to reduce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teaching anxiety were discussed in depth.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service Training for the Arts Gifted)

  • 맹희주;강병직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79-3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술영재 담당 교사들의 연수 현황 및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실효성 있는 연수를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응답자의 약 49.4%는 예술영재교육 관련 연수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경험 없이 영재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기초 연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수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개발 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된 수업내용은 미흡하였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술영재교육 연수 운영 시 연수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하고, 연수에 대한 사전 홍보와 정보의 제공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셋째,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위해 '연수강사진의 전문성 확보'와 '연수 유형의 다양화', '연수기관 및 연수 운영진의 전문성 확보'가 연수 운영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 측면에서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과 기초, 심화, 전문 등 연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내용의 다양성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환경 측면에서 교통과 연수시설의 편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실효성 있는 예술영재교육 연수가 되기 위해서 예술영재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차별화된 연수모형과 현장적용이 가능한 연수 커리큘럼이 개발 및 보급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연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Explor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박경희;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77-98
    • /
    • 2007
  • 교사 전문성의 수준은 곧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영재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곧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 모색의 기반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지식기반, 능력기반, 상황기반 전문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교급별 및 교과별 교사 인식의 차이를 다변량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이 초등 교사에 비해 전공 교과 전문지식 획득과 첨단지식 및 정보 습득 측면에서 또한, 과학 교사들이 수학 교사에 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영재교육 평가방법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자질 및 양성, 임용 (A study on characteristics, training, and employment of the teacher of the gifted)

  • 김홍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93-125
    • /
    • 2002
  • 본 연구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이상적인 자질을 탐색하고, 이러한 자질을 갖춘 교원을 양성하고 임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도를 제시하고 있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자질은 문헌 연구와 개발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영재교육 담당 교원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영재교육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사명감, 전문적 자질, 인성적 자질의 세 측면에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와 외국에서 현재 취하고 있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 및 임용 제도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사례로는 미국과 싱가포르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우수한 자질을 갖춘 영재교육 담당 교원을 양성하고 임용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Proposing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 Shin Myeong-Kyeong;Park Jong-Wook;Chung Byung-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7-357
    • /
    • 2005
  • Since 1998, 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e in Korea has hosted the center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institute hired undergraduate students to escort and liaison each class of the gifted student participants with assisting classroom activities. These liaison teachers observed the gifted classroom activities and evaluated them by using a given checklist and filling out pre-made evaluation forms. Currently this system is being transferred from part-time jobs for students to earn allowance into well organized pre-service teacher program focusing on the gifte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system is being shifted from how liaison teachers facilitate the gifted program to how the system helps the liaison teachers to be quality teachers for the gifted who can understand what the gifted are and how to facilitate them. Analyzed were the self reports of the liaison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s and beliefs of the gifted and their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participant liaison teachers purposed to have more live experiences with getting along with students as well. Liaison teachers’ perceptions on establishing a gifted teacher professional education seque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The potential scaffolding of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of the gifted education was provided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영재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수준

  • 이수남;오연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63-84
    • /
    • 1999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problems of teaching gifted children and suggest elements(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setting up goals thereof by analyzing incumbent teachers awareness. 121 teachers were arbitrarily selected from 30 different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Anyang, and they were interviewed with two parts questionnaires(or opinions) of improving current practice. The first part of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questions about teachers awareness of gifted children, actual state of teaching gifted children, effects of teaching in kindergarten for gifted children, and desired direction for teaching improvement. The second part of the questionnaire provided interpretation of precociousness by study habit, creativity and definitive properties and asked the number of children qualified in their classes. Since the results of the first interview as to awareness of gifted children were dismal, 40 teachers were thereafter randomly selected again, and the second interview was warranted. The results alarmingly revealed that program of teaching gifted children were barely existing even though the teachers awareness for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precocious as well of study materials and programs thereof was high. In addition, the teachers familiarity of gifted children was surprisingly low. At the second interview whereby gifted children was explained, the teachers awareness of gifted children was dramatically improved to 40% in comparing with 7.4% at the first interview without explanation of gifted children. Teachers awareness of gifted children was low because of lacking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 of having gifted children and special programs therof in their classes as well as teachers nonchalance. Therefore not only adequate training and education of teachers, but also cultivation of qualified teachers for special programs for the precocious are obligatory. Training of incumbent teachers and determination of gifted children are prerequisite for timely discovery of gifted children and adequate education for them.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diffusion are also crucial.

  • PDF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TEAM and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 서보경;맹희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53-76
    • /
    • 2016
  •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 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awareness for mathematical gifted education using technology)

  • 이헌수;박형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01-122
    • /
    • 2011
  • 본 논문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J 대학교 교육연수원에서 60시간의 영재교육 직무연수에 참여한 2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영재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이 영재교사의 전문성 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능력과 영재에 대한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에 포함된 다. 둘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은 영재아들에게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셋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은 직관적 통찰, 정보의 조직화와 공간화/시각화 능력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준다. 넷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재교육은 영재아들에게 창의성의 구성요소 중 유창성, 융통성과 독창성 개발에 도움을 준다.

  • PDF

디지털 시대의 융·복합 교육을 위한 영어영재 교사교육 방안 (Way of Training English Teacher's of Verbally Talented Children for convergence-based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 박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5-192
    • /
    • 2016
  • 본 논문은 영재 영어교육을 담당하는 영어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영어교육과 영재교육의 지식과 그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먼저, 지나치게 원어민 중심, 속진 중심 영어전용 교육 중심의 영어교육과 영어교사 교육에 내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영재교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먼저 이 두 분야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에 따른 영재 영어교사 연수의 방향을 제시한다. 지나치게 영어 하나에 초점을 둔 현재의 영재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이중언어 중심의 내용중심과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융 복합 기반의 표현중심 영재 영어교육을 해야 하고 그에 맞는 영재 영어교사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