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9722/JGTE.2016.26.1.53

The Secondary Gifte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TEAM and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Seo, BoKyoung (Heungdeok High School)
Maeng, HeeJu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26, no.1, 2016 , pp. 53-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Keywords
STEAM;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for gifted teachers;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gifted education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2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창의인재정책관.
3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8-3-1.
4 김영옥, 맹희주 (2015).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25(6), 799-815.
5 김왕동 (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 97-119.
6 김윤나 (2014).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석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7 맹희주 (2005). 통합 과학교육의 적용과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과학 교수 효능신념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 981-1001.   DOI
9 맹희주, 강병직 (2013). 예술영재 담당 교원 연수 현황 및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24(3), 379-398.   DOI
10 맹희주, 손연아 (2011).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601-614.
11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12 배성열, 박윤배 (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72-581.
13 백희수 (2014). 수학영재를 위한 융합영재교육 교육과정 모형 개발. 과학영재교육, 6(3), 134-144.
14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15 손혁준 (2014). 초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학과 예술의 융합형 영재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인섭, 도승이, 이정규, 김누리, 성은현 (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융합형 창의 인재육성).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17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18 우정희, 유미현 (2013).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82-95.
19 안혜란 (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20 왕희경 (2014).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영재지도교사와 예비영재지도교사의 인식 분석. 석사학위 논문. 대구교육대학교.
21 이경화, 태진미 (2015). 민사고를 통해 본 한국형 융합영재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14(2), 145-169.
22 이슬비 (2013). 미술.과학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23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16(1), 123-130.
24 이호민, 손정우 (2015). 과학.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9(2), 255-266.
25 최승현, 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26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DOI
27 태지훈 (2012). 영재를 위한 차별화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방향 모색. 석사학위 논문. 인천대학교.
2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12.
29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30 Davidson, J. E. (1986). The role of insight in giftedness. In R. J. Sternberg and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Yager, R. E., Blunk, S. M. & Dass, P. M. (1995). Science as a way of knowing. Thrust for Educational Leadership, OCT, 22-25.
32 Hart, E. P. (1990).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Critique of the reform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189-203.   DOI
33 Ludwig, G. & Cullinan, D. (1984). Behavior problem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girl and boys. Gifted Child Quarterly, 28, 37-3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