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l count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1초

Selection of indigenous starter culture for safety and its effect on reduction of biogenic amine content in Moo som

  • Tangwatcharin, Pussadee;Nithisantawakhup, Jiraroj;Sorapukdee, Supal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0호
    • /
    • pp.1580-1590
    • /
    • 2019
  •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select one stra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L. plantarum) for a potential indigenous safe starter culture with low level antibiotic resistant and low biogenic amine production and evaluate its effect on biogenic amines reduction in Moo som. Methods: Three strains of indigenous L. plantarum starter culture (KL101, KL102, and KL103)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safety including antibiotic resistance and decarboxylase activity, and fermentation property as compared with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L. plantarum TISIR543). Subsequently, the effect of the selected indigenous safe starter culture on biogenic amines formation during Moo som fermentation was studied. Results: KL102 and TISIR 543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G, tetracycline,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ycin, streptomycin, vancomycin, ciprofloxacin and trimethoprim (MIC90 ranging from 0.25 to $4{\mu}g/mL$). All strains were negative amino acid-decarboxylase for lysis of biogenic amines in screening medium. For fermentation in Moo som broth, a relatively high maximum growth rate of KL102 and TISIR543 resulted in a generation time than in the other strains (p<0.05). These strain counts were constant during the end of fermentation. Similarly, KL102 or TISIR543 addition supported increases of lactic acid bacterial count and total acidity in Moo som fermentation. For biogenic amine reduction, tyramine, putrescine, histamine and spermine contents in Moo som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KL102 during 1 d of fermentation (p<0.05). In final product, histamine, spermine and tryptamine contents in Moo som inoculated with KL102 were lower amount those with TISIR543 (p<0.05). Conclusion: KL102 was a suitable starter culture to reduce the biogenic amine formation in Moo som.

Assessment of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marinated turkey meat with the use of dairy products and lemon juice

  • Augustynska-Prejsnar, Anna;Hanus, Pawel;Sokolowicz, Zofia;Kacaniova, Miroslav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2호
    • /
    • pp.2003-2011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rinating turkey meat with buttermilk and acid whey on the technological trait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product. Methods: Slices of turkey meat muscles were marinated for 12 hours in buttermilk (n = 30), acid whey (n = 30) and comparatively, in lemon juice (n = 30). The control group (n = 30) consisted of unmarinated slices of turkey breast muscles. Physical parameters (pH, water holding capacity, colour L*a*b*, shear force, weight loss) were assessed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and roasted products was performed. The microbiological parameters were determined as the total viable counts of mesophilic aerobic bacteria, of the Enterobacteriaceae family, and Pseudomonas spp. Bacterial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Results: Marinating turkey meat in buttermilk and whey compared to marinating in lemon juice and the control sample resulted in a higher (p<0.05) degree of yellow color saturation (b*) and a reduction (p<0.05) in the number of mesophilic aerobic bacteria, Pseudomonas spp. and Enterobacteriaceae family as well as the number of identified mesophilic aerobic bacteria in both raw and roasted samples. The lowest (p<0.05) shear force values were found in products marinated in whey. Conclusion: The use of buttermilk and acid whey as a marinade for meat increases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product compared to marinating in lemon juice, while maintaining good technological features of the product.

사료 내 Prebiotic과 Probiotics의 첨가가 참돔(Pagrus major)의 성장, 면역력, 항산화력,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ebiotics and Probiotics on Growth, Immune Response, Anti-oxidant Capacity and Some Intestinal Bacterial Groups of the Red Seabream Pagrus major)

  • 임종호;엄건호;노충환;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9-98
    • /
    • 2023
  • We evaluated the effects of prebiotic (mannan oligosaccharides, Mos) and probiotic diet supplements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tioxidant activity, and intestinal changes in the microbial flora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A basal diet (Con) was formulated to mee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red seabream. The dietary starch in Con was replaced with 0.6% Mos, Lactobacillus plantarum,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 and probiotic mixture (labeled as Mos, Pro-LP, Pro-BS, Pro-BL and Pro-Mix, respectively). We stocked 450 fish in 18 polypropylene tanks (400 L) in triplicate groups per dietary treatment. The fish were fed one of the diets twice (08:30, 18:30 h) a day for 63 days. Lysozyme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he supplemented groups than that of the Con group. The immunoglobulin level of Pro-Mix, anti-protease activity of Pro-BL,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Pro-BS, Pro-BL and Pro-Mix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 group. The ratio of total Vibrio/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coun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Pro-LP, Pro-BL and Pro-Mix groups than that of the Con group. Therefore, dietary supplementation of Mos and probiotics to improves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inhibits Vibrio bacteria in the intestine.

고추가루의 살균(殺菌)을 위한 ${\gamma}$-선(線) 조사효과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terilization of Red Pepper Powder)

  • 권중호;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8-192
    • /
    • 1984
  • 유통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위생적인 측면에 감안하여 건조 고추를 직접 구입하여 마쇄한 시료와 분말 제품화된 시료의 미생물 오염도와 ${\gamma}$-선 살균 선량 및 저장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통되고 있는 고추가루의 일반 세균은 g당 $3.83{\sim}6.68{\times}10^6$정도였으며, 대장균 군이 양성으로 나타난 시료도 있었다. 2. ${\gamma}$-선의 살균효과에서 일반 세균은 6kGy조사로서 1/2로 감균되었고, 9 kGy 조사에서는 완전 살균 되어 3개월 저장 후에도 미생물은 전혀 생육되지 않았으며, 세균의 $D_{10}$ 값은 1.52${\sim}$1.58 kGy로 나타났고 대장균 군은 3 kGy 조사로서 불활성화 되었다. 3. 고추가루의 수분, 전당 및 환원당은 저장 중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며, capsanthin 함량은 조사 직후 다소 감소되었으나 저장 기간의 경과로 비조사구와 비슷한 수준이었고 capsaicin은 살균 선량에서 조금 낮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 조준일;하상도;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55-360
    • /
    • 2004
  • 시판중인 딸기의 미생물에 대한 잔류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 잔류 미생물들을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 그리고 효모/곰팡이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총호기성균은 약 8 log CFU/g, 대장균군은 약 2 log CFU/g, 그리고 유산균은 약 3 log CFU/g 정도씩 각각 검출되었다. 그리고 대장균과 효모/곰팡이는 검출한계(< 10 cells/g)미만에서 불검출되었다. 그리고 model system으로서 딸기 paste를 제조하여 7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온도, 보존제, 딸기 paste의 pH 등 3가지 hurdle들이 딸기에 잔류하는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그리고 유산균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딸기 paste의 저장온도는 저온($4^{\circ}C$), 상온($20^{\circ}C$), 그리고 고온($37^{\circ}C$)을 선정하였고, 보존제는 0.1% potassium sorbate를 사용하였으며, 딸기 paste의 pH는 4와 7로 조정하였다. 이들 3가지 hurdle별 딸기 paste의 저장기간 중 잔류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저장온도 >pH> potassium sorbate 첨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hurdle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딸기 paste의 pH를 4로 하여 potassium sorbate를 0.1% 첨가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딸기 중 잔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 정승혜;허명제;주정화;김경애;오성숙;고종명;김용희;임정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0-25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잎채소의 미생물 오염을 평가하는 것이다. 신선한 채소에서 미생물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 및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Eschey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와 같은 식중독균을 검사하였다. 또한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수돗물 세척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척전후로 검사하였다. 깻잎, 미나리, 배추, 부추, 상추, 쑥갓, 참나물, 치커리의 8종류의 야채 124건을 인천 도매시장에서 채취하였다 야채 각각에 대해 총호기성균의 평균은 $2.2\times10^6\;CFU/g$부터 $6.0\times10^7\;CFU/g$이고, 총대장균군은 $4.1\times10^5\;CFU/g$부터 $9.8\times10^6\;CFU/g$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모두 3월부터 9월의 기간 중 여름철에 최고수치를 보였다. 수돗물로 세척한 후 감소율은 총호기성균은 81.0%이고 대장균군은 82.5%이었다. 식중독균은 Staphylococcus aureus 8.1%, Bacillus cereus 14.5%, Clostridium perfringens 5.6%, Escherichia coli 18.5%로 검출되었다. 이 중에서 11가지 검체에서는 두가지 균이 검출되었다. 각각의 야채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최고 검출율과 최저 검출율이 0.0% 에서 22.2%, Bacillus cereus가 0.0%에서 29.4%, Clostridium perfringens는 0.0%에서 23.1%, Escherichia coli는 0.0%에서 35.0%로 검출되었다.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신선한 야채에서의 병원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Antimicrobial Effects of EcoCal® and GF Bactostop® Formulated in Emulsified Sausages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 Lee, Yewon;Cheong, Sunghee;Yoon, Yoha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9-283
    • /
    • 2020
  • 본 연구는 EcoCal® (산화 칼슘) 및 GF Bactostop® (유기산염 믹스)을 소시지에 사용하였을 때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소시지 제조 시, 대조군과 0.1% EcoCal® (0.1ECO), 0.1% EcoCal®+0.5% GF Bactostop® (0.1ECO + 0.5GF), 0.2% EcoCal® (0.2ECO) 및 0.2% EcoCal®+0.5% GF GF Bactostop® (0.2ECO+0.5GF) 등 총 5개 군을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제조가 완료된 소시지를 진공포장하고 10주 동안 10℃에서 저장하며 7-10일 마다 시료를 균질화 하고 tryptic soy agar 및 Lactobacilli MRS agar에 도포하여 호기성 일반세균 및 젖산균을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0.1ECO+0.5GF 첨가한 소시지가 가장 효과적인 항균 효과를 나타냈으며, 0.1ECO 첨가 소시지가 두번째로 효과적인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P<0.05). 일반세균수는 대조군, 0.2ECO 및 0.2ECO+0.5GF 첨가 소시지에서는 저장 후 42일까지 점차 증가했지만(P<0.05), 0.1ECO 및 0.1ECO+0.5GF 첨가 소시지에서는 저장 후 49일까지 일반세균의 생장이 억제되었다(P<0.05). 젖산균 수는 대조군, 0.2ECO 및 0.2ECO+0.5GF 첨가 소시지에서 약 49일까지 증가하였으나(P<0.05), 0.1ECO 및 0.1ECO+0.5GF 첨가 소시지에서 젖산균 생장이 억제되었다. 본 결과는 소시지 제형에 0.1% EcoCal®+0.5% GF Bactostop®을 첨가하면 젖산균의 생장을 억제하여 소시지의 보존 기한을 연장시키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구.경북지역 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유통단계별 미생물 평가 - 어육류, 냉동가공 제품 -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Deliver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Seafood, Meat and Frozen Processing Food-)

  • 김윤화;류경;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76-28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에 공급되는 냉장, 냉동유통 제품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의 유통단계를 분석하고, 유통과정에서의 미생물 변화와 학교급식에 이용되는 식재료의 미생물 품질 평가를 위하여 실시되었다.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가공업체에서 학교로 냉동차량을 이용하여 직배송 되었으나 다른 어육류와 냉동가공제품들은 농산물과 함께 직납업체를 거쳐 냉장(${\leq}10$)으로 혼재 배송되고 있었다. 학교 도착 후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절단생선 $2.0{\times}10^2{\sim}3.2{\times}10^5$, $<5{\sim}4.0{\times}10^3CFU/g$, 오징어 $2.5{\times}10^4{\sim}6.6{\times}10^5$, $1.6{\times}10^2{\sim}6.0{\times}10^3CFU/g$, 깐 조개류 $3.2{\times}10^5{\sim}1.7{\times}10^3$, $4.0{\times}10^3{\sim}3.0{\times}10\;CFU/g$, 어묵 $1.9{\times}10^4$, <5 CFU/g, 쇠고기 $9.2{\times}10^2{\sim}6.4{\times}10^4$, $<5{\sim}2.0{\times}10\;CFU/g$, 돼지고기 $2.6{\times}10^3{\sim}1.3{\times}10^6$, $<5{\sim}2.7{\times}10^2CFU/g$, 닭고기 $1.0{\times}10^4$, $2.4{\times}10^2CFU/g$, 난류 $<5{\sim}2.3{\times}10^2$, <5 CFU/g, 냉동만두류 $3.2{\times}10^3{\sim}9.5{\times}10^4$, <5 CFU/g, 냉동면류 $<5{\sim}9.0{\times}10$, <5 CFU/g 이었으며, 깐조개에서 E. coli와 B. cereus가 각각 $1.0{\times}10$, $2.0{\times}10\;CFU/g$ 검출되었고, 돼지고기, 닭고기에서 S. aureus 각각 $3.1{\times}10$, $7.8{\times}10\;CFU/g$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식재료들이 비닐과 박스로 이중 포장되어 배송되었고, 유통과정에서 교차오염은 없었으며, 냉장으로 배송되는 수산물에서 일반세균이 소량 증가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서는 식재료의 제조 가공 단계에서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고, 냉동식품과 냉장식재료의 혼재 배송되는 것을 막고, 철저한 온도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통단계에서의 위생인증과 유통단계를 줄일 수 있는 제도적인 방안이 요구되었다.

재구성 스틱형 육포의 포장방법이 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tick Type Restructured Jerky)

  • 최윤상;정종연;최지훈;한두정;김학연;이미애;백현동;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0-298
    • /
    • 2007
  • 재구성 스틱형 육포의 저장 중 안정성 및 저장성 확보를 위하여 육포의 포장 방법 및 저장기간에 따른 pH, 수분활성도, 지방산패도, 경도,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측정하여, 육포의 품질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육포를 제조하여 상온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시료를 분석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일반포장과 진공포장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활성도는 진공포장에서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포장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 육포의 TBA 수치는 저장 15일부터 포장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고추장 육포는 저장 30일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경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진공포장이 일반포장에 비해 경도의 변화가 적었다. 총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저장 동안 진공포장을 한 육포가 일반포장에 비해서 총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진공포장이 일반포장과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일반포장은 소량의 공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지방산패에 의한 산패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식감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육포의 저장 중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공포장으로 유통하는 것이 저장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 and Recipes)

  • 김희영;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0-526
    • /
    • 2013
  • 한국산 배추와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식 및 일본식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도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가 일본산으로 만든 것보다 발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 3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에 비해 총균은 낮고 유산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총균수가 가장 낮았고 유산균수는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김치 제조 직후부터 4주차까지 한국산 배추의 조직감이 일본산 배추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였으며,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assay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저해율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92%),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91%),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88%)로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실험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저해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는 57%,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38%,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 26%로 나타나 DPPH assay와 같은 경향을 보여 일본산 배추보다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이 더 높았다(p<0.05). 따라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김치의 주재료로서 더 적합하며, 이러한 한국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제조 방법으로 만든 김치가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방법으로 만든 김치보다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