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risk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echnological Risk)

  • 윤진효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5-103
    • /
    • 2003
  • 현대사회가 위험사회에 들어서면서, 기술위험이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라는 기존의 협의의 기술위험의 구조를 넘어서고 있다.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 다양한 사회 경제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확대된 위험인 기술 사회 시스템 위험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위험사회의 기술위험의 구조변화 양상이다. 때로는 기술위험이 사회 경제시스템과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시스템과의 상호작용으로 확대되어 위험의 일상화와 전면화로 연결되기도 한다. 현대 위험사회는 기술위험의 구조변화와 함께 위험에 대한 관리 절차상의 변화를 요구한다. 위험의 예상, 발생한 위험의 통제, 사후처리라는 위험관리 절차의 전 과정에서 전문가에 의한 합리적 통제뿐만 아니라 직 간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일반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가 요구된다. 즉, 현대사회에 발생하고 있는 기술위험은 위험에 대한 거버넌스의 혁신 즉, 전문가 중심의 거버넌스에서 시민참여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PDF

위험인식의 특성과 의미: 한국인의 기술위험 인지도에 대한 Psychometric 분석 (A Study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 : A Psychometric Analysis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 정익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5
    • /
    • 2014
  • A survey of risk perception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in 2007 to evaluate relative riskiness of typical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risks.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risk perception using psychometric analyses. The survey with a sample size of 1,194 reviews the perceived level of 25 risk items in the areas of transportation, chemicals, environment, industry,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newly-introduced risks. Six categories of risk identified by a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level of perceived risk does not correspond to the statistical level. Psychometric analyses including voluntariness, severity, effect manifestation, exposure pattern, controllability, familiarity, benefit and necessity demonstrate that voluntary, familiar and immediate risks are perceived as less risky than involuntary, unfamiliar and delayed ones. Risk communication is critical in reducing the discrepance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level of risk. However, the amount of risk information does not always justify a successful risk communication. A safety policy, risk communication strategy in particular, should take into account diverse dimensions of risk reviewed by psychometric analyses in the study. Social policy toward safety can be improved by integrating policy, human, and social factors as well as technological advances.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환경 및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위해도 인식 차이 (Differences of Experts and Non-experts in Perceiving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Risks)

  • 함명일;권호장;이후연;박화규;이상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9-277
    • /
    • 2009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xperts and the public perceived various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hazards based on psychometric paradigm. Methods : We conducted a survey that included 30 hazards and 10 risk attribut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people with three groups; (1) experts (55 people), (2) graduates( 78 people), (3) under graduates (81 people). Factor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common risk attribute from 8 risk attributes.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on perceived risk and benefit of hazards. Results : This study revealed that experts tend to be more tolerant than graduates and under graduate students for the 30 hazards. Using factor analysis, two main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 1, commonly called "Dread Risk", and factors 2, commonly called, "Unknown Risk" in the literature. We identified that environmental hormone concentration and global warming ranked high in both dread risk and unknown risk.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test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social risk and perceived social benefit with two main factors. Dread risk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perceived social risk and benefit. We identified that the experts were less likely to perceived dread risk and know more information about the hazards. Conclusions : There were differences of risk perception between experts and lay people. Especially, experts' perception of risk was commonly lower than other people's perception.

기술위험 관리와 위험갈등 :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유해성 논란 (Managing Technological Risk and Risk Conflict : Public Debates on Health Risks of Mobile Phones EMF)

  • 정병걸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97-129
    • /
    • 2008
  •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확산으로 인해 기술 위험의 가능성과 영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불확실성을 기본적 속성으로 하는 위험의 특성상 지식의 불확실성 해소는 기술 위험관리의 핵심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지식의 불확실성이 기술위험 갈등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식 축적만으로 기술위험 갈등이 해소되는 것은 아니다. 기술위험의 성격에 따라서는 기술위험에 대한 합의의 부족이 갈등의 주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논란은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 여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관련 지식이 꾸준히 축적되어 왔기 때문에 지식의 불확실성은 높지 않다. 산업계는 유해성을 입증할만한 뚜렷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법적 규제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시민단체들은 유해 가능성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적 차원의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민단체의 지속적인 문제제기에 따라 정부는 인체흡수율(SAR) 기준을 설정하고 인체 흡수율 정보를 공개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입장에서 보면 인체 흡수율 기준은 전신이 아닌 얼굴 부위에만 적용되는 제한적 기준이며, 인체 흡수율 정보도 자율적으로 공개토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완화된 형식적 규제라고 할 수 있다. 예방적 규제를 지지하는 시민단체와 산업계 보호의 관점에서 완화된 규제를 유지하려는 정부간에는 여전히 큰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휴대전화 전자파의 기술 위험은 기술의 친숙성으로 인해 심각한 위험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심각한 갈등과 재난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의 목표를 경제적 목표와 통합하는 정책 통합과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촉진을 통해 갈등 가능성과 재난의 발생의 소지를 차단하는 기술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 PDF

탈(脫)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기술 위험 관리 (Technology Risk Management in the Post-catchup Innovation System)

  • 성지은;정병걸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33-66
    • /
    • 2007
  • 탈(脫)추격 단계에서는 높은 불확실성을 가진 기술혁신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 위험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책적 차원에서 위험을 수용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위험을 정치사회적 시각에서 재정리하고 새로운 기술과 정책이 겪는 시행착오와 실패가능성이 더욱 높아지는 탈(脫)추격 단계의 기술위험의 특성을 파악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추격단계에서 형성되어온 과거의 유산이 여전히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위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위험관리체계의 재정립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강화, 기술 유형별 위험 관리, 예방적 접근과 한정된 범위의 시행착오 전략의 활용, 지식축적과 학습의 강화가 필요하다.

  • PDF

Roles of Malaysian Online Newspapers in the Construction of Public Opinion on Rare Earth Risks

  • Hasan, Nik Norma Nik;Dauda, Sharaf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432-452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the representation of risks from the controversial Lynas rare earth refining as a risk event by five Malaysian online mainstream and alternative newspapers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he aim is to uncover the role of the news media in the social amplification and attenuation of risks within the literature evidence as those roles are still uncertain. Content analysis is used to explore the online newspapers' roles guided by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Framework (SARF). The representations typified environmental, financial, health, occupational, property, radioactive, and technological risks and established connections between four risk types (environmental, financial, radioactive, and health risks). Radioactive risk was repeatedly associated with other risks, suggesting that the volume and information flow focused on radioactive risk as a key ingredient for amplification. This connection shows that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s is multidimensional, contradicting the unidirectional type found in previous studies. Alternative online newspapers amplified and attenuated more risks, thus, providing more diverse coverage than mainstream sources.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risk representation from rare earth refining in a digital news environment is multidimensional and intensified or weakened in a multi-layered pattern. The stakeholders are engaged in a contestation by positioning their narratives to oppose or support their interests, which are amplified or attenuated by the online newspapers as social amplification stations.

한국인의 위험인지에 대한 경험적 분석 (An Empirical Review of Korean Perception for Technological Risks)

  • 정익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1-97
    • /
    • 2007
  • 본 연구는 기술위험에 대한 한국인의 인지수준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표본 크기 1,870)를 실시하고,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배경으로 그 특성을 정리하였다. 설문에서 교통, 유해화학물질, 환경, 산업안전, 원자력 그리고 새로운 기술 등 6개 분야의 25개 위험에 대한 상대적인 위험수준을 평가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응답자의 위험인지에서 독특한 행태적 특성을 발견하였다. 통계에 거한 객관적 위험평가와 주관적 위험인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는 이러한 차이를 의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 소도시에 거주하는 저소득 저학력의 30-40대 기혼 여성이 다른 사회집단 구성원보다 위험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생소하거나 막연한 대상의 위험 수준을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위험인지에서 나타나는 개인 차원의 오류와 편견을 줄이고, 위험관리 정책과 안전규제를 효과적으로 집행하는데 요구되는 기반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위험인지의 사회집단별 차별성은 안전과 관련된 과학적인 지식과 정보를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현대사회의 위험관리는 기술공학적 접근과 더불어 사회 문화적 변수를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한다.

소셜커머스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U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강현모;김지헌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7-139
    • /
    • 2013
  •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which is represented by Twitter and Facebook, social commerce market which combines on-line shopping mall and SNS is expanding. With increasing speed of its market, this study is to focus on detecting the crucial variables promoting the use intention, which results in th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social commerce market.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the u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Also,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in explaining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s applied for pinpointing the antecedents of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and for revealing cross-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a survey of 452 participants reveal that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ease for use and subjective norm on intentions to use social commerce differ across gender. Findings imply that the risk-free quality and portrayal of in-group or out-group situations of social commerce need to be communicated to female consumers, along with the social norms of using social commerce. When targeting male consumers, the technological features illustrating the usefulness of social commerce should be focused. This study will provide diverse implications companies providing social commerce services.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정책적 대응 방향: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Risk Issues and Policy for Future Society of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 구본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30권1호
    • /
    • pp.1-20
    • /
    • 2022
  •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짓화(digitisation)와 디지털화(digitalisation)의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경제/사회 발전 및 삶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하지만 부정적 영향(개인정보 오남용, 윤리문제 야기, 사회적 격차 심화 등)을 미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산업 경쟁력 및 기술 패권 확보 등을 위하여 디지털 전환 촉진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 관련 위험이슈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초래할 수 있는 미래사회 위험이슈를 Embedded Topic Modeling 방법론 기반의 언론기사 빅데이터 정량분석으로 체계화 및 구체화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 이슈들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주요국과 한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이슈를 구체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정부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은 기술 분야에만 한정되어 나타나지 않고 국가안보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전환의 순기능 촉진뿐만 아니라 역기능 대응을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 세부이슈들은 국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정부는 국가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해관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의 큰 방향을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벤처기업의 R&D협력에서 사회적 자본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Valu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ocial Capital for Enhancing Collective Performance in R&D Collaborations of Korean Ventures)

  • 서리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
    • /
    • 2017
  •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인 벤처기업이 외부주체와 수행하는 R&D협력에서 협력성과 강화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고찰하고, 각 요인이 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협력성과는 R&D협력을 통해 개발된 기술이 기업의 경쟁우위에 기여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기술경쟁력과, 해당 기술을 상업적으로 활용하여 달성한 기업성과로 구분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R&D협력을 수행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18개 표본기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R&D협력에서 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협력주체 간 사회적 자본은 협력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형성에 기여하며, 기업가적 지향성은 사회적 자본과 협력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기업가적 지향성-협력성과]의 R&D협력성과 창출구조가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가 내포한 학문적 및 실무적 의의는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