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ense of happines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3초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 대한 유머감각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 이유신;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10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Methods: Participants were 29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83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Teachers completed a rating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ir demographic variables, job stress, sense of humor, and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happiness. And childcare teachers' sense of humor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of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sense of humor predicted their happiness.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happiness among those who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sense of humor.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ir happiness, especially for those with the highest level of sense of humor Conclusion/Implications: We suggested that having a sense of humor might be valuable for childcare teachers in order to buffer the link between their job stress and happiness.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e of Happines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 고정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5-165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teaching flow on Happiness)

  • 박승연;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99-30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 보육교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공감 요인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교수몰입 요인은 행복감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하위요인인 인지적 공감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며, 교수몰입 요인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교수몰입, 행복감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의 행복감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Happiness from Childcare Teacher :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Result of Job Stres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김은숙;이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연구 (Study of Correlations Resilience of the Beauty Industry Employees and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dex)

  • 김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00-309
    • /
    • 2016
  • 미용 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미용종사자의 전문적인 노동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미용종사자는 고객과 직접 접촉하고 지극히 세심한 배려를 요하는 서비스업으로 서비스의 접점에 있는 종사자의 행복감은 미용 산업의 성장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 행복지수, 직무만족 분석을 통해 고객의 만족만을 강조하는 서비스 산업에서 서비스업의 성공여부는 서비스 종사자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 및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가설을 통해 검증해본 결과 미용종사자의 회복탄력성은 행복지수와 직무만족에, 행복지수는 직무만족과 회복탄력성에, 직무만족은 회복탄력성과 행복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개인의 행복이 증대되면 직무에 대한 만족이 증대되고 직무의 성과도 높아지게 되므로 미용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용인의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절제와 간소, 자율성, 소득 수준에 따른 성인소비자 유형분류와 유형별 행복 비교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s by Moderation and Simplicity, Autonomy, and Income Level, and Comparison of Happiness Accordingly)

  • 김미린;홍은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47
    • /
    • 2016
  •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ers' moderation and simplicity, autonomy, and income level on happiness, and based on this, classifies consumer types and examines the differences in consumer happiness and life happiness in accordance with this classifi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in their 20's through 60's. Moreov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n consumer happiness, moderation and simplicity, income level, autonomy, education level, and gend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life happiness, moderation and simplicity, income level, autonomy, and education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Second,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moderation and simplicity, autonomy, and income level, and when making a comparison based on these factors between consumer happiness and life happiness, both consumer happiness and life happ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detailed aspects were different. In the case of consumer happiness, non-autonomous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were reported to have the highest sense of happiness, followed by autonomous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and passive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but in the case of life happiness, autonomous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were reported to have the highest sense of happiness, followed by non-autonomous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and passive moderation and simplicity type.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권리 인식이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 최정화;김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33-148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the happiness of infants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83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South Korea.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child's sense of happi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education and child's gender.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the child's sense of happiness. Third, the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was significant, and in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righ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is important in promot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raise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based on education on children's rights for mot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s.

중학생의 시민의식과 공동체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ivic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on Happiness in Adolescent: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sision)

  • 이명하;조옥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5호
    • /
    • pp.97-107
    • /
    • 2023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시민의식, 공동체의식, 진로결정과 행복감의 영향 관계에서 진로결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년 Z세대 10대 청소년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중학생 2,703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및 PROCESS MACRO Model Number 4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Bootstrapp 기법을 적용하여 간접효과와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학생의 시민의식과 공동체의식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둘째, 시민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공동체의식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중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어린이집 교사들의 생태소양 인식과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Sense of Happiness of Child Day Care Teachers)

  • 안효진;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5-72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들의 생태소양인식과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인천 지역 어린이집 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생태소양과 행복감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해 F검증, t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경력에 따라 어린이집 교사들의 생태소양의 신념과 태도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학력에 따라서는 생태소양 태도 중 관계 실천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경험 중 어린 시절에 자연 친숙한 환경에서 자란 어린이집 교사들인 경우 생태소양이 높았으며, 현직 교육에서 생태교육을 받은 경우, 생태소양의 태도 면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태소양이 높은 교사가 더 많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생태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이들의 행복감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on Their Sense of Happiness and Enthusiasm for Teaching Profes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조안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41-351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유아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 열정에 대한 설문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행복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전체적 열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 스트레스가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직에 대한 열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행복감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교직열정에는 교직열정전체를 제외한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와 영유아가 모두 행복한 교실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