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권리 인식이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최정화 (목포대학교 가정학과 아동학전공) ;
  • 김정화 (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21.06.14
  • Accepted : 2021.12.15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on the happiness of infants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83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Jeollanam-do, South Korea.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child's sense of happi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education and child's gender.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the child's sense of happiness. Third, the effect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was significant, and in the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righ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is important in promoting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children. Through this study, we would like to raise the need for parental education based on education on children's rights for mot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s.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욱 (2009). 유아의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 한영논총, 13, 451-477.
  2. 김도란, 김정원 (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3. 김성범 (2012). 가족의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doi:10.18023/kjece.2013.33.3.016
  5. 김연화 (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은숙 (2020).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친사회적 행동과 놀이만족도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진이 (2018). 유아의 행복감, 어머니 행복감과 양육행동, 가족환경 변인들 간의 관계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9, 53-77. doi:10.37918/kce.2018.03.109.53
  8. 김정화 (2014).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과 유아권리존중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43-364.
  9. 김젤나, 이재연 (2007). 학교에서 아동의 참여권 행사와 적응과의 관계. 아동과권리, 11(2), 167-185.
  10. 김진숙, 서영숙 (2012).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33-162.
  11. 김진숙, 서혜정 (2011).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51-79.
  12. 김하정 (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아동권리 인식 및 아동권리 존중 실행에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남궁선혜, 김현정 (2011). 유아인권 및 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아동보육연구, 7(2), 5-27.
  14. 남현정 (2019).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문민정 (2008).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 수용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예은, 이주연 (202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와 대화시간의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1), 85-104. doi:10.14698/jkcce. 2021.17.01.085
  17. 박소현 (2016).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또래관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찬옥, 안은정 (2008). 3세 유아에게 적합한 자율성 교육 방향 모색. 아동과 권리, 12(3). 331-360.
  19. 서보순, 한민경 (2017). 발달지체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권리존중 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특수아동교육연구, 19(2), 21-45. doi:10.21075/kacsn.2017.19.2.21
  20. 송미숙 (2013).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 행복감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지현, 김경화 (2005). 어린이집 학부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보육학회지, 5(1), 123-140.
  22. 아동복지법 (2020.12). 아동복지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5%84%EB%8F%99%EB%B3%B5%EC%A7%80%EB%B2%95에서 2021년 9월 30일 인출
  23. 안사라 (2012).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영유아보육법 (2021.8). 영유아보육법.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8%81%EC%9C%A0%EC%95%84%EB%B3%B4%EC%9C%A1%EB%B2%95에서 2021년 10월3일 인출
  25. 오현정, 문혜련 (2020).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4(3). 7-28. doi:10.22590/ecec.2020.24.3.7
  26. 우다정 (2016). 어머니의 영아권리인식과 실천수준 및 부모역할지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유엔아동권리협약 (2006).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선택의정서. 서울: 유엔아동권리협약 한국 NPO 연대.
  28. 윤미리 (2020). 보육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전문성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배근 (2008. 6).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 2008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 서울.
  30. 이수정 (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권리인식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은경 (201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권리인식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은주 (2010).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이은주, 정계숙 (2012). 부모의 아동 권리 인식과 양육태도와의 관계. 생애학회지, 2(2), 33-50.
  34. 이은진 (201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행복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재연, 강성희 (1997).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아동과 권리, 1(1), 65-83.
  36. 이정미 (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 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지지 및 안념감 간이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이주화 (2015). 유아의 행복감에 부모 양육태도, 교사-유아관계 및 또래상호작용이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호균, 고유희, 김철홍, 장화정, 전미선, 조인섭, 황옥경 (2014). 아동관련 종사자에 대한 아동권리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아동권리교육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8(3). 387-409.
  39. 이하정, 탁정화 (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39-61. doi:10.14698/kjcce.2015.11.4.039
  40. 이혜인 (2015). 가족체계환경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정영선 (2016). 가정보육시설의 보육서비스 품질과 부모 만족 및 유아의 행복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정진이 (2014). 보육교사의 인권인식 및 민감성과 영유아 학대 인식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말옥 (2011).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교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2), 19-40.
  44. 최유석, 임지영 (2021).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및 행복감간의 구조적관계. Family and Enyironment Research, 59(1), 71-82. doi:10.6115/fer.2.21.006
  45. 황소영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아동관과 아동권리존중 양육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황옥경 (2012). 영유아기 권리에 대한 유엔의 권고 분석: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1), 27-49.
  47. 황옥경, 정연아, 송미령, 명준희 (2019).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 책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실행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19. doi:10.14698/jkcce.2019.15.02.001
  48. 황현주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1(2). 135-152.
  49. 허은 (2014). 아버지의 아동권리 인식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Furnham, A., & Cheng, H. (2000). Perceived parental behaviour, self-esteem and happines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35(10), 463-470. doi:10.1007/s001270050265
  51. Huebner, E. S. (2004).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1), 3-33. doi:10.1023/B:SOCI.0000007497.57754.e3
  52. Jin, B. K., & Ahn H. Y. (2019).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A focus on family strength and self-control.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3), 245-254. doi:10.4094/chnr.2019.25.3.245
  53. OECD (2015). How's Life?: Measuring Well-Bing. Retrieved May 21, 2021, from https://www.oecd.org/statistics/how-s- life-23089679.htm
  54.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2009). Convention on the Rights ofthe Child. General Comment No. 12. The Right of the Child to be heard. Retrieved October 1,2020 from http://tbinternet.ohchr.org
  55. Wolfson, A., Lacks, P. & Futterman, A. (1992). Effects of parent training on infant sleeping, patterns, parents' stress, and perceived parental compet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 60(1), 41-48. doi:10.1037/0022-006X.60.1.41